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18)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8)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5)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59)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7-15 21:12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이것이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양궁이 아닌 국궁을 한 번이라도 당겨본 사람은 아마도 알 것입니다만 처음 보시는 분들이 많지 싶습니다. 아래에 있는 사진은 국궁에서 활 시위를 당길 때 쓰는 물건입니다. 이름은 '깍지'입니다. '깍지손을 끼다' 할 때 그 깍지와 같은 의미로 엄지손가락 깍지 마디에 거는 물건이어서 이름을 그렇게 붙인 듯합니다.

활쏘기를 시작한지 1주일 만에 사범으로부터 깍지와 손가락 보호대를 받았습니다. 희한하게 생긴 물건이란 생각만 들었지 이것을 어떻게 활용하는 건지 아리송했습니다. 엄지손가락에 끼어보라고 해서 끼웠지만 방향이 맞는 것인지 이걸 어떻게 하는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았습니다.

결국 가르침을 받고 바로 끼워 현의 가운데 걸어서 당겼는데, 이룬 ㅠㅠ, 손가락이 빠지는 줄 알았습니다. 35파운드나 되는 활의 줄을 엄지손가락 하나로 당기는데 아프지 않다면 로봇이지요.

아파도 참고 몇 번을 당겼더니 손가락에 피도 몰리고 무엇보다 뼈마디가 우리한 게 병원에라도 찾아가야 할 것 같은 기분이었습니다. 사범 왈 "처음엔 다 그래요. 자꾸 훈련하면서 손가락에 굳은 살이 배겨 나중에 편합니다." 헐, 이 고통을 참아야 된다니... 궁도를 그만둘까? 순간적으로 그런 생각까지 들었습니다.

일단 전략을 새로 세웠습니다. 손가락이 아프면 빼고 좀 나으면 끼고 그렇게 하자. 괜히 무리했다가 손가락 못쓰게 되면 안 하니만 못한 거니까. 이후 몇 번이고 깍지를 뺀 상태에서 가죽을 현에 걸어 검지와 중지로 당겼는데 이를 두고 뭐라고 하는 사범이 없어서 다행이었습니다.*^^*


처음 사범으로부터 받은 깍지는 이것이 아니었습니다. 진한 고동색이었는데 우궁 자세, 즉 왼손으로 활을 잡고 오른손으로 현을 당기는 자세가 불안하여 좌궁으로 바꾸었는데 왼손엄지에 낀 깍지가 너무 헐거웠습니다. 그래서 며칠동안 없이 활시위를 당기다가 사범에게 이야기하여 바꿨습니다. 그게 사진에 있는 깍지입니다.

참, 깍지에 걸린 가죽은 엄지에 끼었을 때 깍지가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가죽의 한쪽은 가늘고 다른 쪽은 굵게 만들어져 있는데 가는 쪽에서 굵은 쪽으로 당기면 깍지가 엄지에 꽉 끼어 안정적으로 됩니다. 너무 심하게 당기면 손가락 피가 안 통해 얼얼하기도 합니다. 지릿지릿하다고 해야 하나?

깍지를 바꾸면서 내 오른손 엄지와 왼손 엄지의 굵기가 다르단 걸 알았습니다. 그것도 깍지가 마디를 벗어나 쏙 빠질 정도로 말입니다. 눈으로 보긴엔 별 차이가 없는데... 오른손 엄지를 쓸 일이 많았나 봅니다. ㅋㅋ.

참고로 깍지엔 수깍지와 암깍지가 있는데 수깍지는 대체로 남자용, 암깍지는 여자용으로 인식됩니다. 암깍지는 궁력이 약해 파운드가 낮은 활을 사용할 때 적합하고 수깍지는 센활을 사용할 때 쓰입니다. 아무래도 힘을 많이 줄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겠지요. 그런데 이 수깍지를 사용한 지는 그렇게 오래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수십년 안쪽이라는... 듣기로는 경남지역의 한 궁사가 처음 시작해 전국으로 번졌다고 합니다.

대신 수깍지는 튀어나온 길이에 따라 길면 손가락에 힘이 덜 들어가고 짧으면 많이 들어가는데 고수일 수록 짧다고 합니다. 짧은 깍지가 명중률도 높고요. 아무래도 현이 깍지 안쪽에서 끝으로 미끌어져 가는 길이가 짧으니가 그렇겠지요. 일리가 있습니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지난해 텃밭에 심었던 배추는 칠순의 아버지와 다섯해 젊은, 그래도 신체나이는 아버지보다도 훨씬 많은 어머니가 수시로 벌레도 잡고 물도 주고, 난리도 아니었는데... 배추 수확하던 날 한숨밖에 나오는 게 없었던 그 기억이 새록새록 납니다.

단지 농약만 안 쳤다 뿐인데 배추가 속이 텅 빈 데다가 잎마다 구멍이 숭숭 뚫려 징그럽게도 보였던 그 배추만 생각하면 '두 번 다시 배추는 심지 않는다'는 아버지의 각오를 떠올립니다. 아버지는 아무리 배추가 비싸도 사먹지 심지마라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올해 또 배추를 심고 말았습니다. 텃밭 장소를 바꿔서 예전 포도나무 있던 곳에 배추 마흔 포기를 심었습니다. 양지바른 곳이어서 배추가 생각보다 잘 되었습니다. 아마도... 올해 배추가 이렇게 잘 된 데는 농약의 힘이 컸을 겁니다.

심을 때 퇴비를 한포대 다 뿌린 것도 영향을 받았을 것입니다. 배추 모종을 줄지어 심고 애매한 곁에 심은 것은 거의 자라지 않습니다. 그곳에는 퇴비를 뿌리지 않았거든요. 퇴비를 뿌리고 농약을 친 배추는 자라기도 잘 자라거니와 벌레도 별로 없습니다. 배추잎을 모아서 묶기 전에 한 번만 더 농약을 칠 계획입니다. 총 네 번 정도 치게 되네요. 농약이 쌓여 몸에 해로울 것 같긴 한데, 그래서 김장을 할 때 깨끗이 씻어서 절이려고요.

어차피 우리가 먹을 건데 괜찮아요. 좀 더 신경을 써서 김장을 할 수 있을 거니까요. 시장에서 산 배추는 그냥 예사로 흐르는 물에 한 번 흔들어 씻어서 담그게 되죠. 우리보다 더 농약을 쳤을 수도 있는데 모르고 그냥 지나치는 거죠.

우리 꺼는 농약을 네 번이나 쳤다는 것을 아니까 소홀이 할 수 없죠. 오히려 안전할 거란 생각이 드네요. 그런데 이 배추를 남에게 줄 수는 없을 것 같아요. 농약을 무려 네 번이나 친 것을 남에게 줄 수는 없잖아요. 그런데 올핸 배추보다 양념값이 너무 비싸 김장할 엄두를 못낼 것이라 하던데...

아, 괜히 배추를 심었나.

배추 자란 화단 가에는 국화가 눈을 뜨고 있습니다. 배추에 치중했을 땐 다 베어버리고 싶었는에. 가을이 짙어지면 보람도 있겠지요.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오늘(10자) 4면에 박원순을 공습하는 기사를 실었네요. 묘하게도 나경원은 야구대회에서 시구하는 모습이 옆에 나란히 실렸고요.

누가 뭐래도 속이 뻔한 편집인데 부끄럽지도 않을까요.

박원순에 대해서는 나경원의 선대위 대변인의 말을 꺼집어 내서 "박원순 형제, 현역 안 가려 기획입양 의혹"이라고 크게 제목을 뽑았습니다.

홍준표도 "호적 공무원과 공모 의혹"이 있다고 한 말을 그대로 제목에 옮겼고요, 또한 "도덕성 치명적 문제"란 제목을 따로 뽑아서 공격을 했네요.

반면 박원순의 해명은 "제사라도 지내려고 입적한 것 병역 기피하려는 의도 없었다"란 궁색한 변명처럼 비치게 한 줄 넣은 정도이네요.

더욱 가관인 게 이 기사 바로 옆에 나경원이 야구 스타일을 갖춰 종황기 전국 사회인 야구대회에서 시구를 하는 모습을 실었다는 것입니다.

다분히 나경원을 띄우고 박원순을 깔아뭉개는 편집입니다. 이렇게 균형을 잃은 편집을 하는 게 소위 재벌언론들의 횡포입니다.

이런 재벌언론들이 미디어렙을 무시하고 제맘대로 광고 유치를 하게 놔둔다면 광고시장은 금세 혼돈에 빠지게 될 것입니다.

그렇잖아도 재벌신문에 보험성, 눈치성 광고가 넘쳐나는데 방송까지 종편을 장악했으니 미디어렙이라도 적용하지 않는다면 광고시장의 폐해는 정도를 가늠키 어려울 정도가 될 것입니다.

다시 기사와 관련해서 한마디 하자면 박원순 후보가 13살 때 입양한 것을 두고 병역을 기피할 의도라고 매도하고 있는데 그렇게 말하는 사람들은 초등학교 6학년때 벌써 군생활을 어떻게 할까 고민했던 사람인지 궁금하네요.

어찌 말도 안되는 소릴 자꾸 소 되새김질 하듯 하는지 참 어이가 없네요.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