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01)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8)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5)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5-15 00:0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아들이 한자를 너무 몰라 한자를 어떻게 공부하는지 깨우치게 하려고 숙제를 내보았습니다.

"아빠에게 필요한 자료가 있는데 좀 작성해줄래?" 하고 시작된 한자 미션은 1주일이 지나고서야 완료되었습니다.

칠언율시에 대해 살펴보고 괜찮은 율시를 이면지에 적어 아빠한테 보여주고 그것을 다시 아래아 한글 워드프로세서로 작성하기였습니다.

미션을 수행하면서 아들은 "이거 꼭 해야 돼요?" "너무 힘들어요." 하면서 미션수행을 자꾸 회피하려고 했습니다.

그냥 그만 둘까 생각을 했다가 그래도 한 번 시작했던 건데 중도에 그만 둬버리면 다른 것도 조금 어렵게 여겨지면 쉽게 포기할 것 같아서 이번만 한 번 성공해봐라면서 독려를 했지요.

한자를 베껴 쓰는 것은 여렵고 지겨운지 짜증을 내더니 워드 작업을 할 때엔 금방 해버리더군요.  한자를 일일이 열어서 확인하면서 입력하려면 그것도 쉬운일이 아닐텐데... 뜻밖이었습니다.

1시간도 안 되어 금방 해치우고 노트북을 들고 와서는 "이제 TV봐도 되죠?" 하는 겁니다.

"야~, 이렇게 빨리 했어?" 했더니, "이건 쉬워요." 합니다.

아들이 작성한 칠언율시 미션입니다.

칠언율시

당대에 정해졌으며, 근체시에 속한다. 8구로 되어 있으며, 1구가 5자인 오언율시와 7자인 칠언율시의 두 가지가 있다. 율시는 육조의 제·양 때 심약 등의 사성팔병설을 대표로 하는 움직임, 즉 시의 음성미에 대한 자각의 움직임이 그 기원이다. 구 안의 성조가 갖는 균정미와 함께, 종래의 20구 내지 12구의 중편형식이 차차 10구 내지 8구로 짧게 고정되고, 중간 4구에 대구를 쓰는 규칙도 정해졌다. 대체로 초당의 사걸 시대에 오언율시부터 먼저 성립하였으며, 8세기 전반에 심전기·송지문에 의하여 칠언율시가 성립하였다. 처음에는 수사성에 치중되어, 응수와 제영 등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예술적으로 고도의 내용을 가지게 된 것은 두보의 출현부터이다. 형식은 다음과 같다. 2구 1연이 4연 있으며, 중간의 2연에는 반드시 대구를 쓰도록 되어 있는 것이 특색이다. 절구의 경우의 재치나 기지에 비해서 율시의 경우에는 대구를 중심으로 한 균정미나 수사의 세련미가 관심의 초점이 된다. 율시의 변형으로서, 중간의 대구 부분이 3연, 4연으로 길어진 것을 배율 또는 장률이라고 한다. 긴 것은 100구 이상이나 되는데, 이것도 두보가 완성자이다. 이것이 빚어내는 중후한 맛은 공식 자리에서의 응수 등에 적합하며, 과거의 시 과목에서는 12구 배율을 쓰는 것이 관례였다. 배율은 오언 위주이며, 칠언은 별로 없다

칠언율시(七言律詩)

事不三思必有悔 일을 함에 있어서 세 번 이상 생각하지 안하고 행하면 후에 반드시 후회하리라.

事不三思終有敗 일을 함에 있어서 세 번 이상 생각하지 안하면 마침내 끝에는 패함이 있으리라.

人能百忍萬無憂 사람이 백번 참으면 만가지 근심이 없으리라.

人能百忍必無憂 사람이 능히 온갖 것을 참으면 근심이 없으리라.

忍之又忍萬福來 참고 또 참는 자는 후에 만복이 들어온다.

願得三山不老草 원하건데 삼산에서 불로초를 얻어,

拜獻高堂鶴髮親 좋은 집 높이 지어 학같이 흰 백발의 부모에게 불로초를 드리고 절하니,

堂上父母千年壽 높으신 부모님은 천년을 누리시고,

膝下子孫萬歲榮 슬하 자손은 만세의 영화를 누리리라.

忠孝傳家子璵孫 충과 효를 전통으로 삼는 가문, 자와 손이 더불어 흥왕한다.

一勤天下無難事 한결같이 부지런하면 세상에 어려운 일이 없고,

百忍堂中有泰和 온갖 것을 참는 집안에는 크게 화목이 있으리라.

親慈子孝全家福 어버이 사랑하고 자식이 효도하면 온 집안이 복을 받을 것이요.

兄友弟恭萬事和 형이 우애하고 아우가 공경하면 모든 일이 잘 되느니라.

傳家有道惟存厚 전통있는 집은 도가 있으니 오직 후덕을 보존하고,

處世無奇但率眞 처세하는데 기연이란 없고 단지 진실을 가지고 거느릴 것이니라.

藏書萬卷可敎子 책을 많이 가지고 있으면, 가히 자식들을 가르칠 것이고,

買地十畝皆種松 땅을 많이 가지고 있으면 다 소나무를 심으라.

學以精神通廣大 학문을 함으로써 정신이 크게 트이고,

家從淸儉足平安 가정에서 청렴과 검소를 따르면 족히 편안하리라.

靜坐常思自己過 고요히 자리에 앉아 기도하면 항상 자기 허물을 생각해 보고,

夢談莫論人事非 꿈에 말이라도 남의 일 그른 것을 의논치 말 것이니라.

積善堂前無限樂 좋은 일을 많이 하는 집 앞에는 무한한 낙이 있고,

長春花下有餘香 긴 봄 꽃나무 아래에는 남은 향기가 있더라.

天經地義無今古 하늘의 경륜과 땅의 의리는 예와 지금이 없고,

智水仁山有性情 지혜로운 물과 어진 산은 성품과 정이 있더라.

芳春不習詩書禮 꽃다운 청춘에 시와 서와 예를 익히지 아니면,

霜落頭邊恨奈何 머리에 서리가 내릴 때 한한들 어찌하리.

莫謂當年學日多 당년에 배울 날이 많다고 말하지 말라.

無情歲月若流水 무정한 세월은 유수와 같다.

-------------
한자를 좀 익혔을까요?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2012년 벽두, 김두관 도지사와 박완수 창원시장, 최충경 창원상의 회장, 김학송 의원 등이 진해루에서 해맞이 활쏘기 퍼포먼스를 했습니다.


(출처 : 경남도민일보)

(출처 : 창원시)

평소 같았으면 예사로 보아 넘겼을 장면인데 활을 배우다 보니 이 장면이 목에 가시처럼 걸리네요.

아무리 퍼포먼스라고 해도 화살을 활에 얹는 법도 엉터리로 하였으니 이런 우사가 어디 있겠습니까?

손에 쥔 활이 양궁이라면 이해를 합니다. 하지만 국궁은 화살을 바깥쪽으로 얹어서 날린다는 것쯤은 국궁장에 한번이라도 다녀간 사람이라면 다 아는 사실.

그리고 시위(현)에 건 화살의 오늬도 위치가 제각각이어서 중구난방이고 활의 재질이나 굵기로 보아 장직용 활은 아닐까 의심마저 되네요.

깍지와 쌈지를 하지 않은 것이야 활쏘기 시합을 하자고 한 것이 아니므로 이해한다지만 잡는 법이라도 제대로 알려주고 자세를 취하라고 했다면 하는 아쉬움이 큽니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활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훈련이 궁체잡기와 궁력쌓기가 아닐까 합니다.

궁체를 잡는 이유는 활을 쏘는 자세가 올바르게 습관이 들어야 사대에 서서도 흔들림이 없고 안정된 자세로 시(화살)를 날려보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 궁력을 키워야 하는 이유는 활을 당겨 만작을 취했을 때 힘이 달려 호흡이 고르지 못하게 되거나 손이 떨리거나, 혹은 몸이 활을 못이겨 고통을 느낀다면 시를 과녁까지 제대로 날려보낼 수 없기 때문입니다.

궁체를 바로 잡기 위해서는 일단 궁력을 일정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합니다. 궁력이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제대로 된 궁체를 형성할 수 없습니다.

궁력을 키운다는 의미는 자신의 신체가 발휘할 수 있는 힘의 한계선까지 힘을 기르는 것입니다. 예를 자신의 신체가 발휘하는 힘은 활의 강도로 환산해 46파운드라고 쳤을 때 처음엔 35파운드 짜리 활도 당기기 쉽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계속 35파운드 활을 구입해 쓴다면 나중에 궁력이 제대로 쌓이고 나면 쓸모없는 활이 될 것입니다.

자신의 힘에 맞춰 최대한 강한 활을 권하는 이유는 강한 활일수록 살고(날아가는 화살의 높이)가 낮고 바람의 영향을 덜 받으므로 명중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궁력을 키우려면 좌궁일 경우, 오른 팔은 미는 힘을 키우고 왼팔은 당기는 힘을 키워야 합니다. 활이 없을 때엔 벽을 밀거나 타이어 튜브를 당기는 등 여러 방법들이 있겠으나 가능하면 활을 가지고 궁력을 키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처음엔 낮은 강도의 활을 가지고 빈활을 당기면서 서서히 세기를 조절해가면 대체로 2개월 정도(하루에 1시간 정도 훈련을 했을 때)가 되면 자신에게 맞는 활을 정할 수 있습니다.

활을 배울 때 가장 힘든 고비가 첫 2개월입니다. 이때엔 몸을 활에 맞추는 기간이라서 지루하고 힘든 일밖에 없으니까요. 처음부터 화살을 날리게 되면 잘못된 궁체가 몸에 배여 나중에 고치려면 더 어렵기 때문에 가능하면 지겹고 힘들더라도 참고 이 기간을 극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 정에 회원으로 등록했다가 2개월이 안 되어 그만 둔 사람들은 모두 이러한 과정을 극복하지 못했기 때문일 겁니다.

나의 경우, 꼬박 2개월 동안 화살을 활에 얹지 않고 힘을 키우고 궁체를 바로 잡는 훈련만 했습니다. 46파운드 당기는 힘이 52파운드로 고정되었고 궁체역시 활을 쏠 때마다 거의 변화가 없이 고정화 되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멀리서 보면 활을 쏘는 모습이 사람마다 다 똑같게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모두 다른 자세로 활을 쏘고 있음을 발견할 것입니다.

다리를 옆으로 벌려서 쏘는 사람, 허리를 홱 돌려 쏘는 사람, 활을 아래서부터 끌어당기며 올려서 조준하는 사람 등등... 각양각색입니다. 궁체가 이렇게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은 일정 정도의 수준에 오른 사람들이 기본기를 바탕으로 궁체를 자신에 맞게 개발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제대로 된 궁체는 어떤 자세일까요. <조선의 궁술>이라든지 몇 가지 서책에서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공통적으로 발의 모양, 깎지손 형태, 죽머리와 죽 넣기 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용마정 최낙도 사범으로부터 배운 궁체를 설명하겠습니다.

1. 발의 자세는 '丁' 모양도 아니고 '八' 모양도 아니게, 즉 비정비팔(非丁非八)로 하되 자신의 몸을 안정적으로 떠받치는 자세를 취하면 됩니다. 양발에 힘은 똑같이 나누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쪽으로 힘이 쏠리면 화살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2. 오금과 괄약근에 힘을 줍니다. 오금과 괄약근에 힘을 주면 상체가 곧추서고 흔들리지 않는 안정된 자세에서 시위를 당길 수 있습니다.

3. 상체는 힘을 뺀 상태에서 서서히 활을 당기되 호흡은 들이쉬었다가 70% 정도 내뱉은 다음 만작을 취하고 3초 정도의 유전(활을 당겨서 그대로 유지하는 것) 후에 살을 보냅니다.

4. 줌손(활을 잡은 손)은 항상 일정하게 줌통을 잡아야 합니다. 이것이 잡을 때마다 오르락내리락한다면 화살의 사거리가 들쭉날쭉하겠지요. 활을 잡을 때 줌손은 하삼지, 즉 아랫쪽 세 손가락으로 줌통을 감아쥐게 되는데 이 세손가락에 힘을 주어야 현이 뺨과 팔을 때리지 않습니다. 며칠 전 아홉순(다섯발씩 발시 9회)을 쏘다보니 줌손에 힘이 빠져 뺨을 세게 맞았는데 기분이 별로 안 좋습니다. 궁력향상이 절실한 대목입니다.

5. 화살 끝(오늬)깍지손은 약간 안쪽으로 감아쥡니다. 그래야 화살이 밖으로 회전을 하면서 살대가 흔들리지 않고 공기 저항을 줄이면서 힘있게 날아갈 수  있는 것입니다. 깍지 이야기가 나왔으니 말인데 엄지에 끼는 깍지가 얼마나 자신의 손가락에 잘 맞느냐하는 것은 활을 당기는 궁력을 키우는 일만큰 중요합니다. 깍지가 손가락에 맞지 않으면 엄지의 고통은 활을 쏘는 내내 따라다니게 됩니다. 또한 습사를 2개월 넘게 하다보면 자연히 엄지 마디에 굳은 살이 생기면서 손가락이 조금 굵어집니다. 그러다보면 처음 손가락에 맞던 깍지가 작아진 듯한 느낌을 받게되는데 심한 경우 깍지가 손가락에 잘 들어가지 않는 상황도 벌어집니다. 처음 구입할 때 약간 큰듯한 것을 사는 게 좋겠습니다.

6. 깍지 이야길 약간 덧붙이면, 깍지는 소의 뿔로 만든 것이므로 사포로 문지르면 잘 깍여나갑니다. 앞의 예에서처럼 손가락이 굵어지면서 깍지가 맞지 않으면 사포로 안쪽을 긁어내어 손가락에 맞추어야 합니다. 그러려면 아무래도 처음 살 때 약간 굵은 깍지가 좋겠죠. 깍지에는 손가락에 끼웠을 때 이를 고정시키는 가죽이 있는데 조금 굵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나는 조금 넓게 된 것을 사용했는데 손가락에 피가 통하지 않아 무척 애를 먹었으면서도 한동안 이게 정상인줄 알고 사용했지 뭡니까.

7. 깍지손은 최대한 가슴에 붙이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줌팔에 힘이 덜 들어가고 과녁을 겨냥하기도 수월합니다. 이때 고개는 반듯히 세운 상태에서 과녁을 향해야 합니다. 두눈은 뜨되 좌궁일 경우 왼쪽 눈을 기준으로 과녁을 조준해야 합니다.

8. 대체로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는 활을 사용할 경우 만작을 취하면 촉이 줌손 엄지손가락에 살짝 걸치게 되는데 중요한 것은 당길때마다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1밀리 더 당기느냐 아니냐에 따라 화살이 날아가는 거리는 많은 차이가 납니다. 만작일 때 활의 세기가 극대화되기 때문입니다.

9. 처음 활을 배우는 신사에겐 거궁자세도 중요합니다. 구사들 중에 교과서적인 거궁자세를 취하는 사람이 별로 없는 듯합니다. 어느 정도 수련과정을 거치고나면 나름대로 거궁자세를 개발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일부는 잘못 배워서 자신만의 거궁자세가 형성된 사람도 있을 터이고요.

10. 교과서적 거궁자세는, 참 거궁을 하는 이유는 활 시위를 제대로 당기기 위함입니다. 활의 줌통과 오늬가 낀 현을 잡은 양손을 항아리를 감싸듯 하면서 높이 든 자세입니다. 이때 양팔은 원을 그립니다. 중요한 것은 어깨도 함께 추켜세워야 합니다. 그래야 만작을 취할 때 어께 죽머리도 팔꿈치 죽과 함께 들어가 전추태산(前推太山), 태산을 떠밀듯한 자세가 되어 강한 힘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11. 만작을 취하고 난 다음의 동작은 발시, 즉 화살을 날리는 행동입니다. 궁체와 궁력만 제대로 갖춰져 있다면 발시 순간이 희열일 수 있습니다. 발시 다음, 2초 7 혹은 3초 후에 화살이 과녁을 때릴 테니까요. *^^*

신사의 경우 얼마나 궁력올리기와 궁체잡기에 노력을 많이 했느냐에 따라 3~4개월 후 시수(명중 수) 차이가 많이 납니다. 궁력을 키우기에 게을리 한 궁사는 몇 순을 쏘지도 못하고서 힘이 빠져 살을 보내기 힘들게 되며 궁체를 제대로 잡지 못한 궁사는 살을 날릴 때마다 이랬다 저랬다 하게 되어 명중률을 높일 수 없습니다. 이것이 궁력과 궁체의 중요성입니다.


(신사집궁)초보 활잡이가 알아야 할 집궁 자세(2)거궁원칙

(신사집궁)초보 활잡이가 알아야 할 집궁 자세(1)마음을 쏴라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