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18)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8)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5)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59)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7-18 07:01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몽골은 4년에 한 번씩 총선과 대선(총선 이듬해) 투표를 합니다. 시골에선 투표일이 되면 꼬박 하루를 투표하는데 시간을 보 보낸답니다. 

 

똑 투표일에는 축제에 참가하는 기분으로 준비를 하는데 아침 일찍부터 예쁜 옷을 고르고 화장을 하고 집을 나선다고 합니다.

 

차가 없는 사람은 말을 타고 투표소로 가는데 이날엔 정말 오랜 만에 다른 지역에 사는 사람들을 만나기 때문에 말도 좋은 놈으로 골라 타고 간다고 하네요.

 

투표를 하고 친구를 만나는 것도 잠시. 바로 출발하지 않으면 어둑해야 집에 도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투표율이 적게는 70%, 많게는 80%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참고로 지난 2009년 대통령선거 때엔 73.52% 투표율을 보였군요.

 

한국 상황에 접목을 해보았습니다. 만약 투표하는 것이 이런 상황이라면 과연 투표하러 가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아내와 나는 지난 4.11총선 때 40분이나 줄을 서서 기다린 끝에 투표를 했습니다. 아내는 투표율이 최소한 80%는 될 거라고 예상했나 봅니다. 그런데 정작 투표일 밤에 드러난 투표율은 54.3%, 역대 총선 투표율 가운데 꼴찌에서 두번째 수준입니다.

 

아내는 이해를 못했습니다. 그렇게 줄을 서서 투표했는데도 이것밖에 안나와 하는 반응이었습니다. 4년에 한 번 주어지는 권리를 포기하는 것이 이해 안 된다는 표정이었습니다.

 

민주주의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 한국엔 많다는 방증일까요?

 

아내가 신문에 쓴 글을 갈무리해 실었습니다. 도민일보 사이트에 있는 원본을 보시려면 클릭 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377728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오늘자(12일) 경남도민일보 6면은 투표한 유권자들의 인증샷으로 꾸몄네요. 인증샷은 지난 지방선거와 그 앞의 총선과 대선 쯤에서 생겨난 신 풍속도로 알고 있습니다. 김제동 등 유명 연예인이 이런 행동으로 트위터 등 SNS에 올리면서 급속히 확산한 문화이지요.

 

이번 총선 투표율이 54.3%에 그쳤으니 아직 투표권 행사를 소중하게 여기는 유권자가 늘지 않았다는 방증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가운데 투표 인증샷이 투표 독려 문화에 도움이 될 거라는 기대를 해봅니다. 경남도민일보는 인증샷을 보내온 유권자 중 3명을 선정해 <피플파워> 1년 정기구독권을 주었습니다.

 

언론뿐만 아니라 일반 회사나 유통업체, 또는 정부기관에서 인증샷을 활용한 이벤트를 하면 훨씬 더 투표 독려가 될 듯도 합니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오전 10시쯤 아내와 함께 내년이면 투표권이 주어지는 큰 딸을 데리고 투표장에 갔습니다.

 

우리가 투표하는 곳은 창원시 북면 1투표소입니다.

 

도착했을 때부터 사람들이 100미터 정도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에구 언제 투표하고 가나... 아내는 친구들과 약속이 있었던 터라 그냥 돌아가자고 하였습니다.

 

이번 일요일이 생일이라 당겨서 하기로 했다면서요.

 

"안 된다. 죽어도 투표는 하고 가라."

 

내가 너무 강경했나요?

 

그래도 아내는 투표하는 것이 소중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두말 않고 줄을 서서 기다렸습니다.

 

창원 북면 1투표소가 이 시간에 한꺼번에 유권자들이 모인 데는 이유가 있었습니다.

 

지난번 지방선거 때엔 집에서 가까운 북면주민센터 화천출장소에서 했지만 이번에는 여러 투표소를 한 곳으로 합치는 바람에 몰린 이유도 있었던 데다 아침 비오던 날씨가 개이면서 10시 전후로 집중된 경향도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줄을 서서 기다리던 중년 분들의 불만이 여기저기서 터져나왔습니다.

 

어르신들은 다리가 아픈지 줄을 선 군데군데 앉기도 했습니다. 보다못한 주민들이 선관위 참관인으로 나온 사람들에게 "할매 할배들은 먼저 투표하고 가게 해라. 이번엔 말라꼬 이 먼데까정 투표하게 하느냐?" 하면서 불만을 토로했습니다.

 

참관인들은 "할매 할배들께선 앞으로 오이소. 요~, 의자가 있으니께 여~ 와서 앉아서 기다리이소." 하면서 편의를 봐주었습니다. 설사 그것이 새치기였대도 줄을 서서 기다리던 주민들은 아무런 불만을 내비치지 않았습니다.

 

보기가 좋았습니다.

 

인증샷을 찍는 사람도 더러 보였습니다. 촌동네라 그런 풍경이 없을 줄 알았는데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많아져서 그런지 이젠 선거 날 일상풍경이 된 듯한 느낌입니다. 스스로 찍기도 하고 서로 찍어주기도 하였습니다.

 

물론 우리도 찍었습니다. 우린 딸이 찍어주었습니다. 딸도 다음번 투표할 때 인증샷을 찍겠죠. 이런 것도 하나의 재미라고 생각합니다. 내가 투표했다는 것을 친구들에게 알리는 것이 일종의 놀이처럼 되고 나니 투표도 재미가 있어졌습니다.

 

 

 

줄을 서서 기다린 게 한 40분 정도 걸렸고요. 우리가 줄을 처음 섰을 때 대략 200명 정도 되어보였습니다. 길이로 보아 100미터는 넘어 보였고요. 사진에서 보면 왼쪽 끝에서 기표소 입구까지 한 30명 정도 줄을 서 있고요. 우리 뒤쪽으로도 7, 80명 정도 줄을 서 있었습니다. 우리가 줄의 절반정도 왔을 때 사진을 찍었으니까요.

 


우리는 투표를 하고서 몇번을 찍었는지 암호화해서 인증샷을 찍기로 하였습니다. 아내와 저는 같은 성향이라 같은 후보와 같은 정당을 찍었습니다. 우리의 포즈 속에 숨은 기호는 몇 번일까요? ㅋㅋ. 맞춰도 선물은 없습니다. ㅎㅎ.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