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01)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8)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5)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4-24 00:0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잠깐 수업 시작하기 전에 오늘의 강의 영화 <천국의 아이들> 줄거리를 볼작시면.


알리와 자라, 두 남매는 가정현편이 너무 어려워 알리는 운동화 하나, 자라는 구두 하나가 전부다. 게다가 너무 낡았다. 알리는 자라의 구두를 수선하러 갔다가 그마저도 잃어버린다. 자라는 당장 학교에 신고 갈 신발이 없다.

알리가 궁여지책 끝에 자신은 오후반이므로 오전반인 동생과 자신의 운동화를 나누어 신기로 한다. 오전에는 자라가, 오후에는 자신이 운동화를 신고 학교에 가지만 이것도 여의치 않다.


자라는 오빠의 크고 낡은 운동화 때문에 친구들이 볼까 부끄럽다. 산수 시험치는 날에도 대충 답을 적고 제일 먼저 제출하고 사력을 다해 뛰어 보지만 운동화를 기다리는 알리는 번번히 발을 동동 구른다. 알리는 자라로부터 바톤터치된 운동화를 신고 학교로 내달리지만 여러번 지각으로 학교에서 내쫓길 뻔한다. 한편 이들은 잃어버린 구도를 수소문하지만 과연 구두를 찾을 수 있을까? 이들은 운동화 하나로 언제까지 버틸 수 있을까?



이 영화는 이란 영화다.

페르시아 문화는 영적이고 신비주의 적인 문화를 추구한다. 오늘날 신비적 경향의 문화는 페르시아가 근원인 경우가 많다. 페르시아는 시의 나라였다. 이란이 그런 나라다. 이란에서 코란 다음으로 읽히는 시가 하페즈의 시다. 뉴스를 시작하기 전에 시를 먼저 읽고 하기도 한다.


이란의 문화 무시할 수 없다. 


압바스 키아로스타미(1940~2016)

1997년 <체리향기>로 칸영화제에서 대상 수상.

2010년 <사랑을 카피하다> 칸에서 여우주연상




자파르 파나히 1960~

이란의 3세대 감독

2000년 <서클>로 황금사자상.

2015년 <택시>로 

베를린 영화제에서 대상. 택시 운전을 하면서 촬영. 


마지드 마지디(1959~)

1992년 영화 <바둑>으로 칸영화제 초청받아 주목. 

1999년 <천국의 아이들>로 바르샤바 영화제 관객상

2008년 <참새들의 합창>


<천국의 아이들>은 첫 장면부터 롱테이크로 시작한다. 



마지막 장면, 아버지가 자라의 빨간 구두를 사서 집으로 오는 장면.

알리와 자라의 감성선과 연결될 것.


이 두 아이는 이 영화로 더이상 영화에 출연하지 않는다. 이 작품에서 이렇게 연기를 잘 했음에도 배우로 성장하지 않는다. 


전문배우 없이 일반인 대상으로 촬영했는데도 참 잘 만든 영화다.

해상도 높지 않지만 화상이 멋지다. 너무 잘찍은 것도 문제.

있는 그대로의 색감을 잘 살렸다.


이들은 행복해 보였나?

행복하냐고 물어보면 아무도 행복하다고 말하지 않는다.


인간의 존재는 어쩌다 보니 이 세상에 던져진 존재다. 

왜 이 집에 태어나게 되었는지 모른다.


하이데거의 말. 인간은 불안하다. 반드시 죽는다. 이 두가지 말고는 없다.

행복해지는 일은 절대로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면, 이 아이들은 행복한가? 


이 영화에서 감동받은 점. 우리 아이들과 다른 것은 무엇인가?

내 자식한테 마구 퍼줘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우리 자식들은 마구 받아야 한다고 여겨.


자녀들에게 물어보니, 부모가 언제 죽었으면 좋겠나 질문에 68세. 부모 재산을 내가 쓰고 싶다. 지금은 그런 사회.


이 작품 속 아이들은 부모를 이해하고 가족을 위해 헌신할 수 있는 게 무엇일까 여기는 삶을 살고 있다. 


우리가 지금 퍼주기만 하고 받지 않는다? 그게 옳은가 생각하게 된다.



알리와 자라의 대화에서 얼마나 가족을 생각하는가를 알 수 있다. 아버지의 모습에서 진실성을 보여줘. 설탕 문제. 남의 것이면 설탕 한조각이라도 탐을 내어선 안 된다는 것을 보여줘. 자전거 사고에서 아버지만 다치게 된 모습에서도 진성성 있는 아버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못 사는 집에서 수프를 끓여서 옆집에 나눠먹는 모습. 그리고 알리의 마라톤에서 3등의 의미. 1등은 알리에게 의미가 없어. 3등을 해야만 운동화를 받을 수 있는데 그게 안 되어 우울해하는 모습. 알리의 순수한 모습을 보여준다.


못 산다고 해서 불행한 건 아닌데... 행불행이 무엇인가를 생각하게끔 하는 영화다. 너무 많이 가지는 것이 행복한 게 아니라 가장 필요한 만큼만 얻을 수 있다면 그게 행복 아닌가.


욕망은 다가갈 수록 멀어지는 것. 가질 수 없기 때문에 욕망이다. 행복을 추구한다는 자체가 이미 맞는 말이 아니다. 3등의 가치를 인식하는 것이 행복 아닐까.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지난해 경남예술극단이 18회 정기공연으로 무대에 올린 <안녕이라 말하지마>는 제법 관심을 갖고 홍보도 하고 공연도 봤다. 그런데 이번 19회 공연인 <맹사장 환장하네>는 작년만큼 관심이 덜하다. 이유가 뭔지는 모르겠다. 이리저리 많이 바빠서 그런가.


이 작품은 벌써 지난 6월 2일 진해 소극장 판 공연을 시작으로 함양을 둘러 이번 김해 진영한빛도서관에서 공연한다.


제목 <맹사장 환장하네>를 처음 접했을 때 오영진 작 <맹진사댁 경사났네>를 떠올렸다. 그 제목의 패러디라고 확신했지만 내용까지 그 작품을 각색했으리라고는 생각 못했었는데. 진해 고도의 유철 감독이 각색·연출했구나.




오는 16일 오후 4시 김해 공연은 마지막 공연이다. <맹진사댁 경사>는 뮤지컬에 영화에 워낙 다양한 작품으로 제작되어 내용을 모르는 이 없을 것인데, 이를 맹사장네로 치환해서 풀어냈다는 얘기. 정말 궁금하다.


소개한 글의 일부를 보아하니,


"돈만 많은 졸부, 절름발이 사윗감 등 원작의 설정을 그대로 살리고 배경만 현대적으로 바꿨다. 부와 명예를 향한 인간의 허영과 욕심을 신랄한 풍자와 해학으로 풀어낸다. 작품의 줄거리는 이렇다. 관광호텔나이트를 운영하는 졸부 맹태랑은 어느 날, 일류기업 반성그룹과 사돈을 맺게 되어 세상을 다 가진 듯 우쭐하며 주체할 수 없을 만큼 기뻐한다. 하지만 사위감이 절름발이라는 소식을 접하게 되고 기절초풍해 하며 골머리가 썩는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1996년 3월 27일 경남연극제가 마산서 열렸다. 연극제가 마산서 열렸고 당시 나는 편집부 기자였음에도 공연을 본 게 하나도 없다. 잊고 지낸 시기였다. 생활의 사이클은 직장 동료와 얽혀 있었고 또한 직장 내 컴퓨터 동아리 회장을 맡아 일을 보던 터라 딴 생각을 할 겨를이 없었는지도 모른다.



연극제는 마산종합운동장 내에 있는 올림픽국민생활관 공연장에서 4월 6일까지 진행됐다. 이때 출품작을 보니 창작 초연작이 제법 눈에 띈다. 통영 벅수골 박용구 작 장창석 연출의 <계단 위의 거울>, 창원현대극장 황숙경 작 천영형 연출의 <파라다이스 호텔>, 거창 입체 이상용 작 이종일 연출 <흔들리는 항구>. 이 세 편이다.


박용구 작가는 만나 본 적이 없어 모르겠고 황숙경 작가는 현재 극단 상상창꼬에 같은 단원으로 있고 이상용 작가는 극단 마산 대표였고 현재는 경남연극계 어른으로 모르는 사람이 없다.


황숙경 기자, 나는 그를 처음 만난 게 4~5년 전 기자로 처음 만났다. 그는 경남신문 기자였고 나는 경남도민일보. 당시 3.15아트센터에서 어떤 공연을 보고서였을 것이다. 그가 벌써, 이미 14회 경남연극제에 희곡을 써서 출품했다니 놀라울 따름이다. 김소정 감독이 숙경 씨를 높게 치는 이유를 알겠다.




사진으로 보는 역대 경남연극제(1983년~1995년). 아마 14회 경남연극제 팸플릿에 수록한 것일 텐데 이런 기획이 참 괜찮다 싶다. 창원대 극회도 올해 40주년인데 그동안의 공연 내역을 화보로 만들어 공유하면 좋겠다. 요새야 전자책으로 만들면 비용 거의 들이지 않으니 좀 좋아.


1983년 첫 연극제에선 통영 박수골이 이강백 작 장현 연출 <알>이 대상을 받았군.

84년 2회 땐 거창 입체 오태석 작 이종일 연출 <태> 연달이 한 글자 제목 작품이 수상했네.

85년 3회 또 거창 입체 이상용 작 이종일 연출 <징소리>.

86년 4회 극단 마산 이상용 작 현태영 연출 <삼각파도>. 이상용 샘은 왕성한 극작활동을 하셨군.

87년 5회 다시 거창 입체가 이종일 작.연출로 올린 <밀항선>이 대상을 먹었다.



제6회 경남연극제가 열린 1988년 대상엔 극단 마산 윤대성 작 현태영 연출 <노비문서>.

89년 7회 또 극단 마산. 최현묵 작 현태영 연출 <네야마이다>.

90년 8회 거창 입체 이강백 작 이종일 연출 <칠산리>.

91년 9회 진주 현장 이상용 작 방성진 연출 <진주성>. 진주성 이 작품 기억이 난다. 그러고 보니 이때 나는 벌써 문화부 기자를 거쳐 사회부 기자로 있을 때군. 세월 빠르다. 내가 83학번이라 83년도에 경남연극제가 시작했다는 것을 잊어먹지는 않겠다.

92년 10회 거창 입체 김상열 작 이종일 연출 <님의 침묵>


대상 수상작의 면면을 보면 역사적 사건을 다룬 작품이 많다. 



1993년 11회 통영 벅수골 이강백 작 장창석 연출 <봄날>.

1994년 12회 진주 현장 이상범 작 조구환 연출 <마술가게>

1995년 13회 창원예술극장 현태영 작 연출 <실향기>



1996년 14회 경남연극제에서 대상을 받은 극단 마산의 <그것은 목탁구멍 속의 작은 어둠이었습니다>(이만희 작 문종근 연출)이 그해 전국연극제 출품돼 최우수상인 대통령상을 받았다. <경남신문>에서 문화면 전면을 할애해 소식을 실었군. 



내가 있던 <경남매일> 역시 상당 분량으로 기사를 실었다. 신입단원 모집 광고까지... ㅎㅎ





1997년 3월 1일부터 9일까지 열린 제15회 경남연극제는 거제에서 열렸는데, 공연장이 대우종합직훈다목적홀이다. 거제에 그렇게 공연장이 없었나 싶기도 하다.



극단 마산이 어린이 뮤지컬 <미녀와 야수>를 가지고 대전 대덕과학문화센터까지 가서 공연을 한 적이 있었네. 출연진을 보니 최성봉, 김재한, 김동원... 김동원 감독도 이때 함께 작업을 했었군. 



극단 마산의 <배비장전> 일본 공연. 



1997년 극단 마산은 제2회 마산국제연극제, 9회전국소극장 연극축제를 묶어 '97전국연극축제'를 열었다. 공연장은 마산올림픽국민생활관 공연장과 극단 마산 전용소극장, 로얄호텔 공연장 등 세 곳에서 진행했다.일본에서 두 팀이 참가한 게 눈에 띈다. 당시 로얄호텔에 연극 공연을 올릴 만한 무대가 있었나 싶기도 하다.



99년 5월 마산국제연극제를 개최하면서 팸플릿에 회수를 11회로 표기했다. 이는 소극장축제의 맥을 잇는다는 의미인가? 



그런데 그해 11월 전국소극장연극축제를 개최하면서 회수를 11회로 표기했다. 국제연극제와 소극장축제를 묶을 것인가 분리할 것인가 고민이 있었던 거 아닐까 추측한다. 조만간 이 부분은 이상용 선생이나 문종근 감독에게 연락해 확인을 해봐야겠다.


이 시기 나로서는 정말 바쁜 나날을 보냈던 때다. 98년 10월 경남매일이 폐간하고 이듬해 5월 경남도민일보를 창간하면서 그 과정이 참 많이 힘들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위에 있는 국제연극제 팸플릿엔 경남매일이 없고 아래 소극장축제 팸플릿엔 후원으로 경남도민일보가 들어갔다.





1999년 10월 극단 마산의 킬링 콘텐츠 <에쿠우스>를 문종근 연출로 마산MBC홀에서 올렸다. 마산MBC홀은 3.15아트센터가 생기기 전까지 연극 무대로 종종 활용되었다. 물론 더 일찍 성산아트홀이 생기면서 유사한 과정을 거친 KBS창원홀처럼 지금도 어린이 뮤지컬이나 가수들의 공연장으로 이용되고 있구.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