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01)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8)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5)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7-02 03:33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밀양 표충사 입구, 특히 대형주차장 바로 위의 계곡은 캠프장과 적당한 수량의 환경이 아이들과 함께하기에 아주 적절한 피서지다.

무엇보다 반가운 것은 텐트를 치는데 자리값이 없다는 것과 주차비가 무료라는 점, 그리고 화장실이 '아름다운 화장실'이라는 타이틀이 붙을 만큼 관리가 잘 되어있다는 점이다. 올해로 두번째 다녀왔는데 아내와 친구 부인들이 더 좋아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캠프장의 풍경이다. 평평하게 조성된 덕분에 허리에 베길 돌부리 걱정은 전혀 하지 않아도 된다. 또 그늘이 많아 땡볕이 따가운 한낮에도 햇볕을 우습게 볼 수 있는 여유가 있지만 바로 옆에 붙은 계곡의 물을 어찌 마다하랴. 그럼에도 어찌 카메라 렌즈에 들어온 장면은.... 고돌이? 설마 이 아저씨들 이 사진 인터넷에 공개됐다고 나를 고발하진 않겠지. 텐트촌을 찍는다고 찍은 것이 문화놀이하는 장면이 어찌 들어왔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계곡은 쉽게 보아선 안된다. 화면 가운데야 아이들과 공놀이를 해도 될만큼 안전하지만 오른쪽 끝부분엔 어른 머리보다 더 깊은 곳이 있다. 넓이가 크진 않지만 헤엄을 잘 못치는 아이가 들어가 잘못되면 손쓰기 난감한 위험이 있다. 대신 수영 좀 하는 사람이라면 물살을 거슬러 헤엄쳐 올라가는 재미는 좀 있다. 나도 한 번 시도해봤는데... 거의 다가서는 도로 떠내려 왔다. 밥을 너무 많이 먹어서 그랬다. 진짜로. 다시 도전해보려 했는데... 아이들이 같이 놀자는 눈치가 있어 그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들이다. 인상이 거의 엽기다. 초등학생 특유의 별스러운 점이 온몸에 가득하다. 또한 아무리 추워서 턱을 떨어도 결코 물밖으로 나오지 않으려 한다. "조금만 더 놀고요." '그래 놀러왔으니, 실컷 놀자. 아자!'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문을 열고 들어서면 아이들이 비닐 천막 그늘 잔디 위 목욕풀에서 놀고있다.
가만히 있어도 땀이 물흐르듯 빰을 적시는 날씨에 이보다 더 좋은 피서가 어디 있으랴.
돈도 거의 들지 않고. 거의라고 표현한 이유는 천막 사는데 1만 6000원 투자한 것 때문이다.
물론 앞으로 쭈욱 사용할 물건이지만. 이렇게 투자하니 아이들도 좋아하고 어른들도 좋다.
바닥이 잔디밭이라 아스팔트처럼 더운 열기가 푹푹 올라오는 것도 아니요, 촌집 마당이라 바람도 시원하다. 자리를 깔고 누우면 금세 잠이라도 쏟아질 것 같다.
아이들 노는 것을 지켜보며 독서도 겸했다. 내가 생각해도 그림이 죽인다.
이번 토요일엔 천막 아래 흔들의자도 갖다놓고 여유를 즐겨봐야겠다.
아쉬운 것은 풀이 너무 작다는 것인데... 다음에 돈 좀 모이면 살까 고민 중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잊을 수 없는 혁명가들에 대한 기록/ 임경석 지음/ 역사비평사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남과 북으로 갈라진 후 사회주의운동에 관련한 우리의 현대사는 반공이데올로기에 휘둘려 왜곡되고 은폐되어 왔다.

자본주의 사회 역사가들은 그들이 목숨을 바쳐 항일운동에 뛰어들었음에도 조선공산당을 주축으로 사회주의운동을 했고 빨치산활동을 했다고 해서 외면하고 쓰레기통에 처박아 버리고 말았다.

역사학자 임경석은 이렇게 버림받은 역사를 다시 펴서 다림질하고 있다. <잊을 수 없는 혁명가들에 대한 기록>은 일제강점기 민족해방운동과 사회주의운동을 펼친 윤자영, 박헌영, 김단야, 임원근, 강달영, 김철수, 고광수, 남도부, 안병렬, 이렇게 아홉 명의 초상화를 다시 선명하게 그린 책이다.

"이 책에 수록된 사람들은 한이 많은 사람들이다. 한 사람을 제외하고는 모두 비명에 저세상으로 갔다. 더러는 고문 탓에 죽고, 더러는 형장의 이슬이 됐다.

어떤 이는 평생 맞서 싸웠던 적의 첩자라는 누명을 쓴 채 이승을 떠났다. 그들의 영혼이 있다면 필시 저세상으로 건너가지 못한 채 지금도 중음신이 되어 떠돌고 있을지 모를 일이다."

 사진설명 : 책에 수록된 일제강점기 혁명가들. 왼쪽 맨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김단야 박헌영 임원근 윤자영 강달영 남도부 고광수 김철수. 가운데는 창녕의 한 시골집에서 발굴한 남도부의 유품.

지은이 임경석은 일제강점기엔 이들의 존재를 공공연히 거론하는 것이 불가능했던 점, 광복 후에도 냉전과 분단의 음울한 분위기에서 언급하는 것이 금기였던 점을 아쉬워했다. 너무 긴 시간이 흐른 탓이다. 자료는 인멸되었고 기억은 점차 색이 바래고 있어서다.

일제강점기 민족해방운동·사회주의 운동가 9명 재조명

지은이가 사회주의운동가 아홉 명의 사료를 찾는 과정을 소개한 것 중에 눈에 띄는 장면이 있다. 빨치산활동을 했던 남도부의 흔적을 찾는 모습이다. 휴전 당시 29세였던 남도부. 빨치산 참가자 성일기의 증언을 토대로 창녕군 대지면 석동 성씨네 집 한 귀퉁이에서 남도부의 유품을 찾으려고 삽을 들고 땅을 파는 모습이다.

"부엌 기둥 주춧돌 옆 땅속 20~30㎝ 깊이에 자그마한 항아리를 파묻었다고 했다. 그러나 찾는 물건은 나오지 않았다.

구덩이는 더 넓어졌고 더 깊어졌다. 급기야 바닥 흙색깔이 바뀌어 거무튀튀한 진흙이 나오기 시작했다. … 그럼 그렇지 거의 50년 전에 땅에 파묻은 문서가 지금껏 남아 있을 리가 있겠나. 파장 분위기였다. … 오후 4시 경이었다.

어! 어! 구덩이 언저리를 더 파내려가던 두 사람의 입에서 동시에 소리가 터져 나왔다. … 흙더미 사이로 삐죽이 무언가 반질거리는 물체가 보였다." 지은이는 남도부편 후기에서 2001년 10월 21일 발굴 당시의 상황을 이렇게 묘사했다.

창녕서 찾은 빨치산 남도부 유품 발굴과정 생생히 묘사 

사용자 삽입 이미지
48년 만에 햇빛을 보게 된 병 속에는 둥글게 만 공책이 나왔는데 표지에는 '비장문건'이라는 제목과 아래쪽에는 '제4당지구당부'라는 명칭이 적혀있었다. 연필로 적은 깨알 같은 글씨는 남도부의 활동과 지리산 주변 빨치산의 궤적을 상세하게 증언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지은이는 한국 사회주의자들의 발자취를 추적하기 위해 러시아 구 코민테른 문서고와 일제 고등경찰이 남긴 사법기록, 스파이가 작성한 정보문서와 주인공들의 학습노트 등을 꼼꼼히 살폈다. 그래서 주인공과 관련한 역사적 사실의 전개가 광범위하게 펼쳐진다. 사료의 기술이지만 드라마를 보는 것처럼 생생한 묘사가 글 읽기를 지루하지 않게 한다.

생전에 부귀공명과는 전혀 무관했던 사람들, 학생신분, 교수, 농부, 신문기자 등의 직업을 가졌던 이들 아홉 명의 삶 앞에는 자신에게 주어진 사명을 완수하려는 용기와 정열의 '혁명'만이 있을 뿐이었다. 주인공들의 삶을 따라가다 보면 한국 현대사의 이면을 들여다볼 수 있다. 300쪽. 1만 2000원.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