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책]잊혀가는 사회주의 혁명가들의 초상
잊을 수 없는 혁명가들에 대한 기록/ 임경석 지음/ 역사비평사
자본주의 사회 역사가들은 그들이 목숨을 바쳐 항일운동에 뛰어들었음에도 조선공산당을 주축으로 사회주의운동을 했고 빨치산활동을 했다고 해서 외면하고 쓰레기통에 처박아 버리고 말았다.
역사학자 임경석은 이렇게 버림받은 역사를 다시 펴서 다림질하고 있다. <잊을 수 없는 혁명가들에 대한 기록>은 일제강점기 민족해방운동과 사회주의운동을 펼친 윤자영, 박헌영, 김단야, 임원근, 강달영, 김철수, 고광수, 남도부, 안병렬, 이렇게 아홉 명의 초상화를 다시 선명하게 그린 책이다.
"이 책에 수록된 사람들은 한이 많은 사람들이다. 한 사람을 제외하고는 모두 비명에 저세상으로 갔다. 더러는 고문 탓에 죽고, 더러는 형장의 이슬이 됐다.
어떤 이는 평생 맞서 싸웠던 적의 첩자라는 누명을 쓴 채 이승을 떠났다. 그들의 영혼이 있다면 필시 저세상으로 건너가지 못한 채 지금도 중음신이 되어 떠돌고 있을지 모를 일이다."
사진설명 : 책에 수록된 일제강점기 혁명가들. 왼쪽 맨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김단야 박헌영 임원근 윤자영 강달영 남도부 고광수 김철수. 가운데는 창녕의 한 시골집에서 발굴한 남도부의 유품.
지은이 임경석은 일제강점기엔 이들의 존재를 공공연히 거론하는 것이 불가능했던 점, 광복 후에도 냉전과 분단의 음울한 분위기에서 언급하는 것이 금기였던 점을 아쉬워했다. 너무 긴 시간이 흐른 탓이다. 자료는 인멸되었고 기억은 점차 색이 바래고 있어서다.
일제강점기 민족해방운동·사회주의 운동가 9명 재조명
지은이가 사회주의운동가 아홉 명의 사료를 찾는 과정을 소개한 것 중에 눈에 띄는 장면이 있다. 빨치산활동을 했던 남도부의 흔적을 찾는 모습이다. 휴전 당시 29세였던 남도부. 빨치산 참가자 성일기의 증언을 토대로 창녕군 대지면 석동 성씨네 집 한 귀퉁이에서 남도부의 유품을 찾으려고 삽을 들고 땅을 파는 모습이다.
"부엌 기둥 주춧돌 옆 땅속 20~30㎝ 깊이에 자그마한 항아리를 파묻었다고 했다. 그러나 찾는 물건은 나오지 않았다.
구덩이는 더 넓어졌고 더 깊어졌다. 급기야 바닥 흙색깔이 바뀌어 거무튀튀한 진흙이 나오기 시작했다. … 그럼 그렇지 거의 50년 전에 땅에 파묻은 문서가 지금껏 남아 있을 리가 있겠나. 파장 분위기였다. … 오후 4시 경이었다.
어! 어! 구덩이 언저리를 더 파내려가던 두 사람의 입에서 동시에 소리가 터져 나왔다. … 흙더미 사이로 삐죽이 무언가 반질거리는 물체가 보였다." 지은이는 남도부편 후기에서 2001년 10월 21일 발굴 당시의 상황을 이렇게 묘사했다.
창녕서 찾은 빨치산 남도부 유품 발굴과정 생생히 묘사
48년 만에 햇빛을 보게 된 병 속에는 둥글게 만 공책이 나왔는데 표지에는 '비장문건'이라는 제목과 아래쪽에는 '제4당지구당부'라는 명칭이 적혀있었다. 연필로 적은 깨알 같은 글씨는 남도부의 활동과 지리산 주변 빨치산의 궤적을 상세하게 증언하고 있었다.뿐만 아니라 지은이는 한국 사회주의자들의 발자취를 추적하기 위해 러시아 구 코민테른 문서고와 일제 고등경찰이 남긴 사법기록, 스파이가 작성한 정보문서와 주인공들의 학습노트 등을 꼼꼼히 살폈다. 그래서 주인공과 관련한 역사적 사실의 전개가 광범위하게 펼쳐진다. 사료의 기술이지만 드라마를 보는 것처럼 생생한 묘사가 글 읽기를 지루하지 않게 한다.
생전에 부귀공명과는 전혀 무관했던 사람들, 학생신분, 교수, 농부, 신문기자 등의 직업을 가졌던 이들 아홉 명의 삶 앞에는 자신에게 주어진 사명을 완수하려는 용기와 정열의 '혁명'만이 있을 뿐이었다. 주인공들의 삶을 따라가다 보면 한국 현대사의 이면을 들여다볼 수 있다. 300쪽. 1만 2000원.
'이책 읽어보세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세상을 탐하다 (0) | 2008.08.10 |
---|---|
내 딸아, 여자라서 불가능한 일은 없단다 (0) | 2008.08.10 |
[어린이책]잘 가라, 산도깨비야, 열한 살 미소의 비밀 (0) | 2008.08.02 |
[새책]생명은 끝이 없는 길을 간다 등 (0) | 2008.08.02 |
[책]예술의 노예가 되어 불꽃처럼 살다 가다 (0) | 2008.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