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01)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8)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5)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7-06 14:48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김윤수, 정현수, 천태수. 우리는 한동안 삼총사로 불렸다. 1975년, 우리는 초등학교 5학년이었고 한동네 살았고 우연히 모두 한반이었다. 우선 사진부터 설명하자면 5학년 때 경주 수학여행에서 찍은 모습이다. 아마도 선생님께서 찍었지 싶다. 단체사진을 빼면 유일하다. 다른 친구들은 여기저기서 막 사진을 찍던데 나는 사진값이 걱정된 데다 그땐 사진 찍히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였지 싶다.

 사진을 보니 나의 바지가 가장 짧다. 바지를 이렇게 짧게 입은 어린이는 나밖에 없었다. 나는 이렇게 짧은 바지를 싫어했다. 그러나 어머니는 바지가 이것밖에 없다며 입고 가라며 늘 등을 떠밀었다. 있는 바지 두고 다른 새바지를 살 만큼 집안의 여유가 없었던 시기였기에 약간의 쪽팔림을 억누르며 학교에 다녔던 기억이 난다.

 35년 전의 교복은 지금에 비하면 참 촌티가 펄펄 날린다. 이당시 대한민국 초등학생이라면 모두 똑같은 교복을 입었다. 한참 후에야 알아차린 것이지만 이 교복이 일제의 잔존이란 사실에 깜짝 놀랐다. 요즘도 일본 만화영화 도라에몽을 보면 확인할 수 있다.

 윤수와 태수 그리고 나, 우리 셋은 성격이 제각각 차이가 많이 났다. 윤수는 활달하고 도전적이었고 태수는 똑똑했고 신중했으며 나는 어쩌면 얌전하기만 했다. 어쩌다 장난기가 발동하면 셋이 의기투합해 여학생들이 놀이하고 있던 고무줄을 끊고 도망치는 미션을 감행하기도 했지만 말이다.

 희한하게도 이때 친구 셋이 모두 이름 끝자가 '수'였는데 15년 세월이 흐른 후 첫 직장에서 만난 동기 중에서도 이름 끝자가 '수'로 끝난 사람이 셋이 있어서 '수트리오'로 불린 적이 있다. 우리 나이에 '수'자가 들어가는 이름이 많은 모양이다.

 윤수와 태수, 이 친구들이 지금 무엇을 하는지 전혀 모른다. 그렇게 삼총사로 의기투합하며 교정을 휘젖고 다녔어도 각기 다른 중학교로 진학하면서 눈에서 멀어지고 마음에서 멀어졌는지 모른다. 그렇게 잊힌 친구들이 사진속에 옛모습을 그대로 남겨놓았으니... 이렇게 추억 속으로 여행을 할 수 있다는게 어쩌면 다행한 일이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전진은 우측 깜빡이, 후진은 좌측 깜빡이

지게차 회사에 입사한 지 스무날이 되었다. 2주 정도는 사무실이 있는 공터에서 팔레트 넘기는 연습과 기사들을 따라다니며 어떻게 작업을 하는지 견습을 하며 지냈다. 그러다보니 하루에 지게차를 많이 몰아도 3시간이 채못되었다. 3주째부터 삼성중공업 작업장에 파견되어 일을 하고 있다. 선박자재를 하차 및 상차하고 분류별 정리를 하는 작업이다. 수습기간이긴 하지만 견습을 끝내고 본격적인 작업을 시작한 셈이다. 작업장을 배치받았으니...

그렇게 시작한 지게차 운전이 1주일 되었다. 하루에 8시간 이상 지게차를 몰다보니 이상한 습관이 생겼다. 승용차에 앉아 시동을 걸고 출발할 때 우회전 깜빡이를 넣는 것이다. 지게차 전진하려면 왼쪽 전후진 기어를 이용해 앞으로 미는 습관이 승용차에도 그대로 반영된 때문이다. 그리고 후진할 때엔 왼쪽 깜빡이가 깜빡깜빡한다.

그런데 희한한 것은 기어는 기어대로 넣고 깜빡이를 넣는다는 점이다. 지게차와 승용차 운전법이 짬뽕된 셈이다. 오래 지게차를 탄 사람의 말 대로라면 한 달쯤 걸린단다. 그러면 직업병은 아니겠군. ㅋㅋ.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요즘 나는 지게차 정비하는데 심부름하느라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아침에 8시까지 출근하면 주차되어있는 지게차에 키를 꽂고 오일과 냉각수 확인하고 리프트와 틸트, 바퀴 네곳 등 그리스 주입이 필요한 곳을 확인한 다음 유리창이 너무 지저분하면 닦기도 하면서 하루 일과를 시작합니다.

 

특히 요즘엔 장비를 정비소에 이동하여 정비하는 것을 돕고 있습니다. 아직 오일 필터를 갈거나 에어클리너를 갈거나하진 않지만 세척이 필요한 것은 세척을 하고 엔진오일을 쳐야할 부분에 치기도 하면서 일상 정비하는 법을 배우고 있지요.

 

오늘은, 다들 아시겠지만 지게차 핸들이 일반 차량에 비해 유격이 많잖아요. 주행하다보면 직선 길이라도 계속 핸들을 좌우로 왔다갔다 하며 운전을 할 수밖에 없는데, 오늘 정비한 차가 좌우로 '춤을 추듯'(어디서 많이 들은 이야기죠?) 해서 그것을 고쳤습니다. 아니 고치는 것을 봤습니다.

 

뒷바퀴를 한쪽으로 힘껏 감아 너클부싱(어떤 책에는 링크라고 나와 있음)과 너클핀을 교체했는데 오래된 장비라 그런지 너무 뻑뻑해서 망치로 치고 지렛대로 조향실린더를 들어올리고... 겨우 연결해 조립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정비기사가 시키는 대로 핸들을 감고 풀고 하느라 자세하게는 보질 못했습니다. 그렇게 뚝딱거리고는 다됐다는데 핸들감각이 훨씬 좋아졌습니다. 사이드브레이크 라이닝 교체하는 것도 봤는데, 이것도 바이스에 물려서 뚝딱거리고 풀고 죄고... 이러다 정비기사 되는 것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처음으로 에어콤프레셔에 공기분출기를 조립해 씻은 부품 물기도 불어내어 봤습니다. 집에 저런 게 있다면 컴퓨터 청소할 때 좋겠다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ㅋㅋ.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