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01)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8)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5)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5-04 00:08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도심산책]상록수 같은 상념 안고 걷는 길

비가 올 듯한 흐린 날 마산 자산동 솔밭공원을 산책하다


지난 주말 키가 큰 소나무가 빽빽하게 모여 키재기를 하고 있는 창원시 마산합포구 자산동 솔밭공원에 들어섰을 때 하늘은 그다지 맑지 못했다. 눈물을 흘릴 듯 말 듯 울먹이는 표정이었고 덩달아 산책을 나선 마음도 해맑진 못했다.


“그댄 낙엽 지면 무슨 생각 하나요/나는 요 둘이 걷던 솔밭 길 홀로 걸어요.”(배따라기 ‘그댄 봄비를 무척 좋아하나요’)


가을도 없이 겨울로 직행하나 싶은 요즘 계절에 날씨마저 시무룩하니 쓸쓸한 분위기의 노래가 절로 새어나온다. 송림 안 산책로는 황토로 잘 조성되어 있다. 사람들이 많이 다녀서 그런지 산책로엔 낙엽이 그다지 많지 않다.


주민들이 자주 애용하는 장소임에도 날씨 때문인지 고즈녁한 분위기가 흐른다.


이런 소나무 숲을 걷다 보니 소나무 사진으로 유명한 배병우 작가의 작품이 떠오른다. 원작을 직접 본 적은 없지만 언젠가 경주 삼릉을 들렀을 때 그 현장을 먼저 눈으로 보고 다시 사진을 접했을 때 들었던 작은 충격, 그것은 카메라를 통해 보는 눈은 작가의 감성이 필터링되어 있다는 것이었다.




다시 자산동 솔밭공원에서 그러한 감정을 느낀다. 여러 모습을 카메라에 담아봤지만 배병우 작가의 작품에 나타난 그러한 감성이 드러나지 않음은 당연하리라. 경치만 좋으면 그것이 예술이 되어 카메라 렌즈로 빨려 들어올 것이라는 생각을 했던 것부터가 언감생심이었다.


한참을 카메라로 여기저기 들이대고 셔터를 누른 뒤에야 이렇게 괜찮은 숲에 들어왔으면 욕심일랑 내려놓고 눈에 보이면 보이는 대로 마음을 열고 받아들이는 게 나 자신을 편하게 하는 길임을 이제야 깨닫는다.


남천.


털머위.


자송정.


산책로 길가엔 남천이 줄을 지어 있다. 아직 빨간 열매가 초록의 잎과 더불어 눈길을 끌고 있다. 곳곳에 홍가시나무도 붉은 이파리를 삐쭉 벋어내며 손짓을 하는 듯하다. 길이 아닌 숲 안쪽엔 털머위가 노란 꽃을 피웠다. 약용으로 쓰인다는 말곰취가 요녀석들이다. 무더기로 모여있는 모습이 앙증맞다.


걷다 보면 여기저기 다양한 식물들을 만난다. 꽃댕강나무도 있고, 꽝꽝나무, 산수유, 황매화, 영산홍…. 자료를 찾아보니 이곳에 수종이 27종으로 총 39400여 본의 수종이 있다고 있다.


걷다 보니 저기 팔각정이 보인다. 그래 숲 속에 이런 정자 하나는 있어야 운치가 있지 하는 생각이 들면서 발걸음은 그곳으로 향한다. 지금은 이러한 정자는 그저 쉼터 이상의 역할을 하지 않지만 옛날엔 이런 정자에서 선비들이 풍류를 즐기기도 하고 학문을 논하기도 했겠다. 정자, 하면 먼저 떠오르는 모습이 함양 화림계곡의 정자들이다. 지리산 자락에서 흐르는 계곡의 물소리를 들으며 더위를 씻는 사람들의 모습.


소나무 숲의 정자에도 그러한 정취는 충분히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사방을 둘러싼 소나무들이 비틀비틀 제멋대로 자란 때문에 더욱 자연스러운 분위기가 느껴진다. 그래서 마음이 편안하다.


곳곳에 조성된 벤치.


숲속의 바위가 조화를 이루고 있다.


목재로 조성한 터널.


벤치가 깨끗하다. 날씨가 흐리긴 했어도 산책 나온 사람들이 이런 벤치를 많이 이용한다. 어르신 혼자 나왔는지, 아니면 누구를 기다리는 건지 벤치에 앉아 발끝에 떨어진 솔방울을 한참 내려다보며 미동도 않는다.


강아지 소리가 들린다. 40대 쯤으로 보이는 여성이 강아지 세 마리와 산책을 즐기고 있다. 모두 키가 작은 강아지다. 늘 자기들을 돌봐주는 사람과 함께 산책을 즐겨서 그런지 낯선 사람을 보고도 전혀 경계심이 없다.


송림,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공간인 것 같다. 소나무가 뿜어주는 피톤치드 때문일까? 머리도 맑아진 기분이다. 산책로가 아닌 숲 속으로 들어간다. 솔방울이 흐드러지게(?) 깔렸다. 이곳을 지나가려면 도저히 솔방울을 밟지 않고는 지나갈 수가 없을 정도다. 솔잎을 밟으며 걷는 기분이 묘하다.


솔방울을 뿌려놓은 듯한 숲속.


실개천이 이어진 연못.


인공위성에서 내려다 본 지도.(다음지도)


툭툭! 걸음 뒤로 솔방울이 떨어지는 소리가 들린다. 머리에 맞을 수도 있겠다 싶어 고개를 들어본다. 소나무 가지들은 하늘을 완전히 가린 게 아니다. 소나무의 키가 너무 커서 나 자신이 더욱 왜소하게 느껴진다. 그럼에도, 소나무는 내가 하늘을 올려다 볼 수 있게 숨통을 틔워놓았다.


거의 한 바퀴 돌았다 보다. 도심의 ‘아주’ 작은 공원이지만 곳곳에 이정표가 있다. 일부러 조성한 실개천을 만난다. 어쩌면 그냥 관상용으로 만든 것일 게다. 물레방아가 있지만 돌지 않고 물길은 있지만 물이 흐르지 않고 연못이 있지만 물이 고여 있지 않다.


하지만, 실개천 고랑을 따라 걷는 기분은 좋다. 한 바퀴 돌고 나니 문신미술관 앞 조각공원처럼 이곳에도 걷다가 1분 정도라도 서서 감상할 만한 조각품 몇 개 놓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가을을 감싸는 따스한 바이올린 선율

10일 김해문화의전당 차세대 바이올리니스트 김봄소리의 ‘아침음악회’


노랗게 발갛게 물든 단풍잎이 바람의 선율에 몸을 맡기는 이 깊은 가을에 덩달아 식어가는 우리의 몸과 마음을 따스한 감성의 바이올린 선율에 맡겨보면 어떨까.


차세대 바이올리니스트로 주목받는 김봄소리가 오는 10일 오전 11시 김해문화의전당 누리홀에서 ‘따스한 그 선율’이란 주제로 관객을 만난다.


김봄소리는 지난 7월 중국 하얼빈에서 열린 ‘2016 앨리스 앤 엘레노어 쇤펠드 국제 현악콩쿠르’에서 바이올린 부문 공동 2위를 차지한 실력파다.




그는 2004년 금호영재콘서트를 통해 데뷔했고 예원학교와 서울예고를 거쳐 서울대, 뉴욕 줄리아드 음악원을 졸업했다. 현재 한국인 바이올리니스트로는 최초로 줄리아드음악원 아티스트 디플로마(Artist Diploma) 과정에 합격해 실비아 로젠버그와 로날드 콥스를 사사하며 전액장학생으로 재학 중이라고 한다.


그가 이날 연주할 곡들은 바흐와 포레, 모차르트, 엘가, 왁스만, 비에냐프스키 등인데 대부분 상당한 기교가 받쳐져야 제대로 작품이 뽑아져 나오는 곡들이다.




바흐의 곡 ‘파르티타 1번 샤콘느’는 ‘무반주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와 파르티타’란 작품 중에서 파르티타 2BWV1004의 마지막 부분의 곡이다. 조성은 D단조인데 피아노나 오케스트라의 반주 없어 바이올린 혼자 여러 개의 성부를 동시에 연주하는 데 상당한 테크닉이 필요하다고 한다. 잘 들어보면 여러 대의 바이올린이 동시에 울리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바흐의 이 샤콘느는 선율보다는 화성이 강조된 만큼 복잡하고도 차가운 느낌이 든다고 한다. 유튜브를 통해 정경화의 연주로 먼저 들어보니 애잔하면서도 장중한 느낌도 들었다.


다음 곡은 가브리엘 포레의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1A장조 작품번호 13번’이다. 4악장으로 된 이 곡은 포레가 초기에 지은 것으로 그 자신을 당당히 작곡가의 반열에 올려놓은 작품이다.


앞의 두 곡은 음악에 대한 열정이 테마였다면 다음 두 곡은 사랑에 대한 열정이 테마다. 모차르트의 바이올린 소나타 e단조 k304. 클래식을 싫어하지 않는다면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음직한 곡이다. 클래식 계에서 널리 알려지기로 모차르트만큼 바이올린 곡을 아름답게 표현한 사람이 별로 없을 거라는 평이 있다.


그리고 엘가의 ‘사랑의 인사’ 역시 모차르트의 바이올린 곡만큼이나 유명하다. 특히 영화 ‘미술관 옆 동물원’에 삽입되어 익숙한 곡이 되었으며 피아노와 어울려 애잔함이 더욱 돋보이는 곡이다.




세 번째 삶에 대한 열정 테마에는 왁스만의 ‘카르멘 환상곡’과 비에냐프스키의 ‘화려한 폴로네이즈 1D장조 op. 4’가 준비되어 있다.


프란츠 왁스만의 ‘카르멘 환상곡’은 먼저 연주되어 나오는 피아노곡만 들어도 어떤 음악인지 눈치 챌 정도로 널리 알려진 곡이다. 왁스만은 오늘날 바이올린 연주자들이 선호하는 작곡가라고 한다.


후기 낭만파로 분류되는 비에냐프스키의 이 곡은 ‘바이올린에 있어서의 쇼팽’이란 별호가 붙을 정도로 명작이라고 한다. 곡이 호화롭고 현란한 폴로네이즈 무곡조를 구사하고 있다. 구성이 웅장하면서도 곡에 담긴 정취가 풍부하다는 평이다.


전석 18000. 공연 후 다과 제공. 문의 : 055-320-1234.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gogo즐기go]4~10일 경남의 공연·전시


창원


<공연>




△극단 미소 ‘할배요’ = 5일 오후 730. 도파니아트홀. 유료(감동후불제). 055-264-5264.

△경남교원필하모닉오케스트라 제11회 정기연주회 = 5일 오후 5. 성산아트홀 대극장. 무료. 010-3337-9649.

△경남플루트앙상블 제6회 정기연주회 = 5일 오후 730. 성산아트홀 소극장. 무료. 010-9587-9118.

△어린이뮤지컬 ‘눈의 여왕’ = 5일 오후 1, 3. 진해문화센터 공연장. 유료. 1566-1318.

△솟대패사물놀이예술단 정기공연 ‘쟁이 하늘로 솟다’ = 6일 오후 6. 성산아트홀 대극장. 무료. 055-284-5960.

CWNU윈드오케스트라 사랑나눔음악회 = 8일 오후 730. 성산아트홀 대극장. 무료. 010-6486-7712.

△모닝콘서트 – 영상과 함께하는 시네마콘서트 = 8일 오전 11. 성산아트홀 소극장. 유료. 055-719-7800.

△소프라노 이나원 독창회 = 8일 오후 730. 성산아트홀 소극장. 무료. 010-7166-6064.

△가족 뮤지컬 ‘브레멘음악대’ = 8일 오전 1015, 1120. 진해문화센터 공연장. 유료. 1666-1318.

△창작국악관현악 groove = 9일 오후 730. 3·15아트센터 대극장. 유료. 055-241-2074.

△제2회 창원실내악축제 ‘With Music’ = 9일 오후 730. 3·15아트센터 소극장. 무료. 010-7200-1282.

△제9회 이수인 가곡의 밤 = 10일 오후 730. 3·15아트센터 대극장. 유료. 055-266-5580.

△코리안 드림 신포니에타 제11회 정기연주회 = 10일 오후 730. 3·15아트센터 소극장. 무료. 055-289-7745.

△제8회 시와 함께하는 가을음악회 = 10일 오후 7. 성산아트홀 소극장. 유료. 010-5373-6678.

△재즈파크빅밴드와 정수라의 힐링콘서트 = 10일 오후 730. 진해문화센터 공연장. 유료. 055-719-7800.


<전시>


장일순 작 ‘만물여아동체’.


2016문자문명전 = 6일까지. 무료. 성산아트홀 제1~7전시실. 무료. 055-719-7832.

△무위당 장일순의 삶과 수묵전 = 6일까지. 3·15아트센터 제1전시실. 무료. 055-298-0573.

△코리아부경아트 아동그림전시 = 6. 3·15아트센터 제4전시실. 무료. 010-3586-0888.

2016경남건축문화제 = 7일까지. 3·15아트센터 제2~3전시실. 무료. 055-246-4530.

△고 권영호 화백 회고전 = 11일까지. 경남은행 본점 1층 갤러리. 무료. 055-274-2066.

△제23회 경남서단전 = 9~14. 성산아트홀 제1전시실. 무료. 010-9205-8500.

△제21회 둥지회전 = 9~14. 성산아트홀 제2전시실. 무료. 010-3865-9189.

△마산교구설정 50주년 가톨릭미술인전 = 9~14. 성산아트홀 제3전시실. 무료. 010-3419-7282.

△제30회 경남산업디자이너협회전 = 9~14. 성산아트홀 제4전시실. 무료. 010-3576-5887.

△그리미 제9회 정기전 = 9~14. 성산아트홀 제5전시실. 무료. 010-6529-3959.

Exhibition Of Fablic Art 2016 = 9~14. 성산아트홀 제6전시실. 무료. 010-9900-1130.

△냉정과 열정 사이-김계완 박재영 2인전 = 26일까지. 월남동 장원빌딩 그림갤러리. 무료. 055-243-0999.

△경남 100100작 신종식전 = 124일까지. 경남도립미술관 제3, 4전시실. 유료. 055-254-4600.

△피카소와 세 개의 정원 = 124일까지. 경남도립미술관 제1,2,3전시실. 유료. 055-254-4600.


진주


<공연>




△모노드라마 손숙의 ‘그 여자’ = 4일 오후 730. 경남도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1544-6711.

△대한민국 실버 페스티벌 = 5일 오후 3. 경남도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료. 055-763-5677.

△진주챔버콰이어 정기연주회 = 8일 오후 930. 경남도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055-747-9759.


<전시>


△한국서예협회 진주지부전·경남학생서예대전 = 4~8. 경남도문화예술회관 제1전시실. 무료. 010-38892166.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기획전 ‘보이는 감각’ = 30일까지. 경남도문화예술회관 제2전시실. 무료. 1544-6711.


김해


<공연>




△어린이 연극 ‘피노키오’ = 4일 오전 11·오후 1·4, 5일 오전 11· 오후 2. 김해문화의전당 누리홀. 유료. 77-4868.

△제10회 김해연예예술인협회 정기공연 = 4일 오후 6. 김해문화의전당 애두름마당. 무료. 055-313-0475.

△시민과 함께하는 예술한마당 = 5일 오후 5. 김해문화의전당 애두름마당. 무료. 055-311-7621.

△경남 우수 문화예술공연 유치사업 선정작 ‘불효자는 웁니다’ = 5일 오후 3·7, 6일 오후 2·6. 김해문화의전당 마루홀. 유료. 055-320-1234.

△김해신포니에타 제32회 정기연주회 = 8일 오후 730. 김해문화전당 마루홀. 무료. 010-6334-9557.

△아침의음악회 ‘RED 바이올리니스트 김봄소리-따스한 그 선율’ = 10일 오전 11. 김해문화의전당 누리홀. 유료. 055-320-1234.

△김해교향악단 제48회 정기연주회 = 10일 오후 730. 김해문화의전당 마루홀. 무료. 010-9403-1462.


<전시>




△제9회 김해미술대전 = 5일까지. 윤슬미술관 제1전시실. 무료. 070-4248-5163.

△제6회 임호서각 전시회 = 6일까지. 윤슬미술관 제3전시실. 무료. 010-3871-0554.

△제16회 김해구상작가회 정기전 = 7~13. 윤슬미술관 제3전시실. 무료. 055-320-1261.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개관 10주년전 ‘Post-Tile, 타일 이후의 타일’ = 1225일까지. 유료. 055-340-7007.


밀양


<공연>




△고재경의 마임콘서트 = 4일 오후 730, 5일 오후 5. 밀양아리랑아트센터 소공연장. 유료. 055-359-4541.

△제10회 밀양오페라단 정기공연 = 8일 오후 730. 밀양아리랑아트센터 대공연장. 유료. 010-2666-2515.


<전시>


△밀양청년작가회 정기전 = 6일까지. 밀양시립도서관 미리내갤러리. 무료. 017-554-2622.


통영


<공연>




△뜨라토리아 델 아르테 재즈나이트 = 4일 오후 830. 통영국제음악당 뜨라토리아 델 아르테. 유료. 055-650-0400.

2016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결선 = 5일 오후 2. 통영국제음악당 콘서트홀. 유료. 055-650-0400.


<전시>




△섬, 그 소리 없는 아우성-피아노전 = 11일까지. 통영국제음악당 블랙박스. 무료. 055-650-0400.

△통영아트페어 미술전시회 = 24일까지. 통영시민문화회관 전시실. 무료. 010-3557-4256.


거제


<공연>




△국립오페라단 ‘토스카’ = 4일 오후 730, 5일 오후 3. 거제문화예술회관 대극장. 유료. 055-680-1050.

△뮤지컬 ‘비밥’ = 8·9·10일 오전 10. 거제문화예술회관 대극장. 무료. 055-680-1050.


<전시>


김록희 개인전 출품작.


△제15회 거제문화화가회 정기회원전 = 17일까지. 거제문화예술회관 전시실. 무료. 010-8517-6821.

△김록희 개인전 = 9~14. 거제문화예술회관 전시실. 무료. 010-2658-6571.


사천


<전시>




△리미술관 서른 번째 초대전 ‘그대와 함께’ = 30일까지. 리미술관 제2전시관. 무료. 055-835-2015.

△리미술관 스믈아홉번째 초대전 ‘사천의 사계’ = 30일까지. 리미술관 제1전시관. 무료. 055-835-2015.


창녕


<공연>




△국악힐링콘서트 = 4일 오후 730. 창녕문화예수회관 대공연장. 유료. 055-530-1911.


<전시>



△제34회 창녕미술협회전 = 9일까지. 창녕문화예술회관 전시실. 무료. 055-530-1911.


함안


<공연>




△뮤지컬 ‘빨래’ = 5일 오후 3·7. 함안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055-580-3608.


함양


<공연>




△뮤지컬 ‘루나틱’ = 5일 오후 5. 함양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료. 055-960-5544.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