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18)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8)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5)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59)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8-08 04:4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공연리뷰]연인들의 손 더 꼭 쥐게 했던 연극

극단 나비의 ‘정인’ 부부의 애틋한 사랑 다뤄…객석과의 호흡도 재미


창원 용호동 문화의 거리 한복판에 있는 극단 나비의 ‘나비아트홀’에선 ‘태양의 후예’의 드라마 작가 김은숙이 쓴 ‘정인’이 공연되고 있다. 내년 115일까지 진행된다. 지난 주말께 공연을 봤다.


창원 정우상가 뒤편 용호동 문화의거리에 있는 ‘나비아트홀’ 소극장 입구.


나비아트홀 소극장은 예상밖의 장소에 있다. 정우상가 뒤편 사람들의 통행이 잦은 문화의 거리에서 바로 보인다. 그런데 건물 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건물과 건물 사이, 즉 길 가운데 있다. 얼핏 보면 지하도로 들어가는 입구 같기도 하고 또 얼핏 보면 무슨 건물 옆에 딸린 나이트클럽으로 들어가는 입구 같기도 하다.


나이트클럽이라고 착각하기 쉬운 이유는 간판의 디자인도 그러하지만 ‘나비아트홀’이란 글자에서 그 유사성을 쉽게 떠올릴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여하튼 극단 나비가 이곳에 터를 잡은 지 오래되지는 않았지만 위치로 보나 내부의 규모 면에서 보나 소극장으로서 손색이 없는 공간임에 틀림이 없다.


연극 도입부. 유치원생 김동엽이 관객과 소통을 하고 있다.


연극 ‘정인’은 극단의 대표이자 연출가인 김동원 감독이 맡았다. 김은숙의 드라마가 대부분 그러하듯이 ‘정인’ 역시 감성 멜로드라마다. 남녀 간의 만남과 사랑, 생활, 대립, 이별의 아픔을 호소력 있는 언어로 풀어낸 작품이다.


이러한 작품의 기본적인 얼개 위에 연출 김동원 감독이 연말연시 분위기에 맞게 상큼한 웃음을 덧뿌려 조미한 작품이 이번 ‘정인’이 아니었나 싶다. 그러한 웃음이 있었기에 작품 후반에서 흘린 눈물이 더 애틋하게 느껴졌던 것 같다.


유치원생 김동엽의 아버지 김영희와 유치원 선생님 정인의 첫 만남.


플롯을 간단히 소개하면 이렇다.


먼저 유치원 장면. 유치원 복장을 한 배우가 나타난다. 휴대폰 전원을 끄라더니 알고 보니 극중 인물 김동엽이다. 유치원 선생과 작당(?)하여 객석과 소통한다. 관객을 자연스레 배우로 만들어버리는 기술이 보통을 넘는다.


동엽이가 유치원 선생님한테 돈 500원을 준다. 그냥 그러려니 했는데 이 500원이 동엽의 아버지 김영희와 유치원 선생님 정인을 연결하는 결정적 매체가 됨을 관객은 나중에야 발견하게 된다.


결혼. 주례는 관객 중 한명이 맡았다.


김영희와 정인의 만남, 그리고 결혼. 결혼식 주례는 관객의 역할이다. 웃음을 유발하는 몇 가지 장치들이 이 장면에서 발휘되는데 이 또한 소극장 연극의 매력일 것이다. 이 웃음 요소를 공개하고 싶으나 마술의 비밀을 알고 나면 재미가 없듯이 이 부분 역시 그렇게 비밀을 지켜줘야 할 것 같다. 주례 보러 무대에 올라섰던 관객이 아주 난처했던 순간은 독자의 상상에 맡긴다.


김영희와 정인은 신혼여행을 다녀오고 또 신혼살림을 살면서 알콩달콩 산다. 벌이가 시원찮은 무명배우 최혁, 김영희의 예명이다. 여전히 유치원 쌤을 하면서 실질적인 가정의 재원을 조달하는 정인. 만나자마자 20일 만에 결혼할 정도로 한눈에 ‘뿅’ 간 두 사람의 신혼생활은 그야말로 깨가 서 말이다.


신혼여행. 짝을 잃은 사람과 조우.




지지고 볶고 알콩달콩 티격태격 살아가는 두 사람.


이 세상 대부분의 부부가 그러하듯이 사랑만으로 모든 생활이 해결해지지는 않는다. 아무리 사랑하는 마음이 있어도 계속 반복되는 상대의 못난 구석은 가면 갈수록 크게 보이기 마련이다. 이 남자는 다른 집 남자들이 다 하는 일들 중에 할 줄 아는 게 없다. 이 여자는 집안 살림에는 영 젬병이다.


아옹다옹하기도 하고 또 웃으며 넘기기도 한다. 사는 게 뭐 그런 거지. 그렇게 이 부부는 여느 부부들처럼 티격태격, 깔깔껄껄 살아간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이 남자 김영희에게 암 진단이 내려진다. 거의 말기다.



의사에게서 암 판정을 통보받는 김영희.


남편의 암 판명 소식을 듣고는 오히려 심술을 부리며 귤을 먹고 있는 정인.


이거 하나만은 영업상 비밀(?)이라도 밝혀야겠다. 정인이 남편 김영희에게 화를 내는 장면이 나오는데 그 이유가 왜 귤이 먹고 싶은데 귤을 바로 사오지 않느냐는 거다. 귤을 먹으면서 눈물 섞인 짜증을 낸다. 울컥했다.


극의 마지막 부분. 죽음을 앞둔 김영희는 아내 정인에게 집안 살림 잘하는 법을 가르쳐준다. 아주 평온한 모습이다. 아무 일 없는 것처럼 보이는 두 사람의 표정에서 슬픔을 억누르는 안간힘이 느껴진다.


남편이 적어준 살림 요령을 읽고 있는 정인.


1시간 20분가량의 러닝타임 동안 무려 일고여덟 번의 암전이 있는데 이 암전도 1분여 동안 경쾌한 음악으로 메워진다. 밝은 무대를 보다가 암전이 되면 사실 옆 사람 얼굴조차 볼 수 없는 상황이다. 연출은 왜 암전을 이렇게 길게 잡았을까?


공연은 115일까지 계속되며 매주 수··금요일엔 오후 8, 토요일엔 오후 4, 8시 그리고 일요일은 오후 4시에 열린다. 현매 3만 원, 예매 15000원이며 인터파크에서 예매할 수 있다. 문의 : 055-275-0618.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전시 행사는 끝났다. 시상식이 있던 지난 13일부터 크리스마스인 25일까지 열사흩날을 경남도립미술관에서 1부 서예 중심 2부 회화 중심의 경남미술대전 전시가 모두 끝났다. 시간 나면 보러가야지 하는 생각은 애초부터 하는 게 아니었다. 그 생각 때문에 미루고 미루다 마지막날에야 겨우 억지로라도 시간을 내어 보았던 것인데... 진작 생각 났을 때 그냥 보러 갔더라면 조금이라도 더 많은 사람이 볼 수 있도록 글이라도 한줄 보탤 수 있었을 텐데 싶다.


두고두고 감상하려고 사진을 찍어 블로그에 올린다만 실물을 보고 느낀 감흥에야 발뒤꿈치에도 따라가진 못할 터. 하루에 정해진 시간을 아무리 쪼개어 내어도 작품 하나하나 감상을 다 적기는 무리니 일단 사진만이라도 쭈~욱 붙여본다. 뭐 내키면 한 마디 덧붙이기도 하고.




오브제를 보고 느낄 줄만 알면 미술감상할 안목은 가졌다고 봐야 옳다. 예를 들어 커피를 끓일 때 얼마나 뜨거워졌나를 알기 위해 무식하게 손가락을 집어넣는 수준의 감각만 아니라면 얼마든지 미술작품을 감상할 능력이 있다고 하겠다.



대상 작 김미나의 '기다리는 마음'


민화 부문 대상 정미영의 '정열의 계절'




서양화 대상 김동준의 '사유의 일상'



수채화 대상 박혜경의 '울림-생명의 소리'



공예 부문 대상 김지영의 '바람이 불어오는 곳'



서예한글(캘리그래피) 대상 김경미의 '정철의 사미인곡''



서각 대상 이수경의 '심선영'



서예 한문 대상 정점희의 '청허선사시 일수'



조소 부문 대상 정경현의 '생존과 진화'



입선 박지현의 '기념비'. 이런저런 미술전람회 다니다 보면 한 번씩 눈에 들어오는 그림체의 그림이다.



특선 변수현 '드러내기'



입선 마민이 '기억(2)'



특선 정순영의 '주변이야기' 가까이서 보면 전혀 군중임을 알 수 없는데... 떨어져 보니 꽉찬 군중을 발견하게 된다.



미술관람 뒷모습. 하지만 그림 속으로 들어간 그들의 시선이 읽힌다.



특선 김민주 '진정해1'



입선 김언주 '자유1'. 비오는 날 자동차 안에서 바라보는 앞날은 몽롱하다. 지금 비가 지나칠 정도로 쏟아지고 있다. 정치권 얘기다.



입선 김동진 '등'



입선 노경희 '가을산책'



입선 김다순 '내면여행 2016-1'



특선 명현주 '그 겨울... 마지막 흔적'



미순전시실의 아름다움은 단지 그림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특선 최현정 '너에게로 가는 길'



특선 박지영 '모고현소경'






입선 문경순 '목련이 수 놓은 산사'



특선 강두리 '축제'



특선 허남숙 '비개인 정원2'



특선 박규민 '바닷속 이야기'



입선 양하순 '가을이야기-2016'



2층 전시실 올라가는 골마루 끝에 설치된 조형물을 감상하고 있는 가족.



우수상 문영미 '컴포지션-5'



특선 현광숙 '투영'



특선 이미향 '내면의 묘법1'



특선 강혜순 '사랑과 희망'



입선 곽혜정 '어디서 무엇이 되어1'



우수상 정정숙 '마음'



특선 서석순 '해상군학도'



특선 김점숙 '책가도'. 원근법이 제대로 적용된 책가도는 이게 처음이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gogo즐기go]23~29일 경남의 공연·전시


창원


<공연>




극단 나비 ‘정인’ = 2017115일까지 매주 수··금 오후 8, 토 오후 4· 8, 일 오후 4. 나비아트홀. 055-275-0618.

△국민연극 ‘라이어’ 1= 23일 오후 7·10, 24일 오후 4·7·10, 25일 오후 1·4·7시 창원성산아트홀 소극장. 유료. 1599-7448.

△연극 친정엄마와 23= 23일 오후 8, 24일 오후 3·7. 3·15아트센터 대극장. 유료. 1566-9621.

△뮤지컬 ‘헬로 카봇 시즌2-카봇구조대’ = 24일 오전 11시 오후 2430, 25일 전 11시 오후 2. 성산아트홀 대극장. 유료. 1599-7448.

△제11회 창원중학생음악회 = 27일 오전 11, 오후 3. 3·15아트센터 대극장. 무료. 055-210-0422.

△마산성신대제 공연 = 27일 오후 7. 3·15아트센터 소극장. 무료. 055-293-1186.

△웅남중필하모닉오케스트라 제9회 정기연주회 = 28일 오후 7. 성산아트홀 대극장. 무료. 010-3595-2024.

△국악관현악단 다루 향 제5회 정기공연 = 28일 오후 6. 3·15아트센터 대극장. 055-231-5618.

△앙상블 벨르 송년연주회 = 28. 3·15아트센터 소극장. 무료. 010-2727-1018.

△경남행복오케스트라 2016 희망의 하모니 = 29일 오후 730. 성산아트홀 대극장. 무료. 010-3595-2024.

2016 창원다문화소년소녀합창단 모두 정기연주회 = 29일 오후 7. 성산아트홀 소극장. 무료. 055-256-8779.

△어린이 뮤지컬 장화신은 고양이 = 29일 오전 1040. 진해문화센터 공연장. 유료. 02-882-9001.

△경남아트오케스트라 2016 송년음악회 = 29일 오후 730. 3·15아트센터 소극장. 무료. 010-3782-4878.


<전시>




△제39회 경남미술대전(2: 민화, 서양화, 수채화, 조소, 공예, 디자인) = 25일까지. 경남도립미술관 1~5전시실. 무료.

△제32회 동행회 = 26일까지. 성산아트홀 제1전시실. 무료. 010-3572-7554.

△제23회 수조각전 = 26일까지. 성산아트홀 제2전시실. 무료. 010-3821-6579.

△제6회 현작회전 = 26일까지. 성산아트홀 제3전시실. 무료. 010-3935-5051.

△서혜주 신작창작전 = 26일까지. 성산아트홀 제5전시실. 무료. 010-5262-7780.

△한국분재협회창원시지부 제23회 분재전 = 26일까지. 성산아트홀 제4전시실. 무료. 010-3575-8282.

△창동예술촌 해외 교류 프로젝트 ‘MAGIC GARDEN-매직가든’ = 2017114일까지. 창동예술촌 아고라광장. 무료. 055-222-2155.

△박연규 개인전 ‘Send a Message to You-너에게 보내는 메시지’ = 2017114일까지. 창동예술촌 아고라광장. 무료. 055-222-2155.

△사인사색전(감성빈 김택균 엄경근 정규옥) = 2017122일까지. 문신미술관 제2전시관. 유료. 055-225-7181.

△창동예술촌 기획 입주예술인 정기 발표회 ‘Resonant – 공명’ =2017122일까지. 창동예술촌 아트센터 2층 전시실. 무료. 055-222-2155.


진주


<공연>


△진주중학교 관악부 제 7회 정기연주회 = 23일 오후 7. 경남도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료. 055-741-4552


<전시>


△깊은 마음 작은 그림전 = 25일까지. 경상남도문화예술회관 제1전시실. 055-758-0049.

△열일곱 번째 아름다운 여행전 = 26일까지. 경상남도문화예술회관 제1전시실. 무료. 010-3852-5935.

△제30회 죽헌묵연전 = 26일까지. 경남도문화예술회관 제2전시실. 무료. 055-745-1006.


김해


<공연>




△끼리프로젝트 몽키댄스 = 25일까지 평일 오후 730, 토 오후 4·730, 일 오후 4. 김해문화의전당 누리홀. 유료. 051-988-7721.

△경남피아노듀오협회 = 26일 오후 730. 김해문화의전당 마루홀. 무료. 010-5583-5591.

△뻔하지 않고 FUNFUN&FUN 콘서트 = 28일 오후 7. 김해문화의전당 마루홀. 유료. 055-345-5553.


<전시>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개관 10주년전 ‘Post-Tile, 타일 이후의 타일’ = 25일까지. 유료. 055-340-7007.

△세라믹창작센터 입주작가전 ‘A.I.R’ = 25일까지.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큐빅하우스. 유료. 055-340-7007.

△어린이 특별전 ‘얼렁뚱땅 색깔공장’ = 2017228. 윤슬미술관 제1전시실. 유료. 070-5102-6037.


밀양


<공연>


 현대를 거닐다 ‘가곡전수관’ 공연 모습.


△박준형 피아노 독주회 = 23. 밀양아리랑센터 대공연장. 무료. 055-359-4541.

△풍류, 현대를 거닐다(유료회원의 밤) = 28일 오후 730. 밀양아리랑아트센터 대공연장. 무료. 055-359-4541.

△밀양연극촌 ‘하녀들’ = 28~29일 오후 730. 가마골소극장. 유료. 055-355-2308.


양산


<공연>


△문화가 있는 날 무료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 = 28일 오후 7. 양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료. 055-379-8550.


거제


<전시>


장갑석 전시회.


△거제농재묵연회 = 22~25. 거제문화예술회관 전시실. 무료. 010-4256-4163.

△장갑석 작가 ‘길을 걷다, 순간을 보다’전 = 30일까지. 유경미술관. 무료. 055-632-0670.

17번째 향토작가 초대전 = 28~201712. 거제문화예술회관 전시실. 무료. 055-681-2063.


사천


<공연>


△인형극 ‘시골쥐, 서울쥐와 산타할아버지’ = 25일 오후 1·3. 사천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010-5351-9437.

△문화가 있는 날 시문학 콘서트 ‘시담시담’ = 28일 오후 730. 사천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055-831-2460.


<전시>



사천 리미술관 '바다가꿈꾼다'전


△서른한 번째 초대전 ‘바다가 꿈꾼다전’ = 31일까지. 리미술관 제1전시실. 무료. 055-835-2015.

△서른두 번째 초대전 ‘민들레의 꿈전’ = 31일까지. 리미술관 제2전시실. 무료. 055-835-2015.

△서른세 번째 초대전 ‘꽃삶 피고지고전’ = 31일까지. 리미술관 제3전시실. 무료. 055-835-2015.


창녕


<공연>




△최고의 보컬리스트와 함께하는 송년음악회 = 23일 오후 7. 창녕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055-530-1911.

△전제덕 하모니카 콘서트 = 28일 오후 7. 창녕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료. 055-530-1911.


<전시>


Funny POP = 23일까지. 창녕문화예술회관 전시실. 무료. 055-530-1911.


함안


<공연>




K2·Flower 출연 ‘크리스마스 콘서트’ = 23일 오후 730. 함안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055-580-3608.

KYDO 함안청소년오케스트라 제6회 정기연주회 = 27일 오후 7. 함안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1566-7855.

△문화가 있는 날 하우스콘서트 ‘브라스 마켓’ = 28일 오후 730. 함안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료. 055-580-3608.


거창


<공연>




△김포크 밴드의 ‘미니콘서트’ = 28일 오후 730. 거창문화센터 대공연장. 무료. 055-940-8460.


함양


<공연>




△천원의 행복 ‘한겨울 밤의 재즈 선율-송인섭 트리오’ = 28일 오후 730. 함양문화예술회관. 유료. 055-960-5531.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