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299)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7)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4)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11-27 18:55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전시리뷰]크기 만큼의 울림 ‘전업작가 대작전’

21일 막 내린 창원 성산아트홀 전업미술가협회 19회 전시회



미술전람회를 다니다 보면 회화 작가마다 각기 다른 개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공책 크기의 작은 화폭에 그림을 그리는 것을 즐기는 작가가 있는가 하면 100호 이상의 중대형 화폭에 그림을 그려넣는 것을 즐기는 작가도 있다.


또 어떤 작가는 평면보다는 화폭에 그림을 담더라도 좀 입체적으로 담기도 하고 어떤 이는 물감 외에도 다양한 소재를 활용해 그림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어떤 작가는 아주 구상적인 묘사에 치중하는가 하면 또 어떤 작가는 추상성을 강조하기도 한다.


성산아트홀 제1전시실에서 관람하는 사람들.


개인전을 관람하면 하나의 통일된 묘사에서 약간씩의 다른 분위기를 느끼는 기분에 해당 작가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는가 하면 협회전 같이 여러 작가가 한꺼번에 작품을 걸어놓을 땐 미술 작품의 다양성을 느껴보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지난 16일부터 21일까지 창원 성산아트홀 제1~7전시실 전관에 걸쳐 진행된 ‘2016 경남전업미술가협회 대작전’ 역시 그러한 전시회였다. 특히 이번 전시회는 말 그대로 ‘대작전(大作展)’이어서 작품의 규모에서 감흥을 배가시키는 효과를 보이는 듯했다.


1전시실. 16폭 병풍의 그림을 감상하는 관람객.


1전시실에 들어서면 맞은 편에 한국적 색상의 대형 회화가 눈에 가득 들어찬다. 신랑 신부의 전통 결혼예복을 반반씩 짝을 짓게 해 그려놓았다. 화려한 문양이 다른 쪽으로 돌아가려는 시선을 계속 붙잡는다. 그러고 보면 우리의 전통 색상이 아주 선명하고 자극적이었구나 하는 생각에 미치게 된다.


오른쪽으로 방향을 돌려 몇 발자국 걸으면 구름과 산과 대숲이 어우러진 한국화가 눈에 들어온다. 문운식 작가의 ‘청산백운’이란 작품이다. 한지에 수묵담채로 표현한 작품이다. 산맥에 걸친 하얀 구름과 바위 위로 우거진 대숲의 조화가 자연의 웅장함을 가중시키는 듯하다.


1전시실. 박순흔 작 ‘동행’.


1전시실엔 다른 전시실에 비해 규모가 큰 작품들이 많이 걸렸다. 그런데 한 바퀴 돌다 보면 마지막 모서리에 자연이나 추상이 아닌 인물화가 있어 관심을 끈다. 박순흔 작가의 ‘동행’이다. 관람객은 제목에서 대청에 앉은 두 노인의 사이를 대충 눈치 챈다. 나이가 더 들어 뵈는 할머니는 양지에 얼굴을 드러냈고 다른 할머니는 얼굴이 처마 그늘에 가렸다. 오랜 세월을 두 사람이 함께 살면서 겪어야 했던 수많은 이야기가 묻어난 그림이다. 그림 앞에서 물러서려는데 그림 속의 무엇인가가 발걸음을 쉬 떼지 못하게 한다. 왜 마루 위의 할머니에겐 신발이 없을까?


2전시실.


2전시실은 중국 작가의 작품이 상당수 걸렸다. 팝아트 분위기의 작품이 있는가 하면 몽환적 분위기의 채색화도 눈에 띈다. 중국작가들의 그림은 대체로 크기가 중간 이하의 것들로 구성되었다. 3전시실에서 가장 눈에 띄는 작품은 도소정의 ‘비와 그리고 나’로 빗속을 걸어가는 인간군상을 소재로 삼은 작품이다. 선명한 색상을 구현하면서도 거친 붓터치를 통해 강렬한 인상을 주는 작품이다. 가까이 서 있으면 그대로 비를 맞을 것 같은 분위기다.


4전시실. 도소정 작가의 ‘비와 그리고 나’.


5전시실. 변수현 작가의 ‘드러내기’.


5전시실에서 또 눈에 띄는 작품이 있다. 변수현 작가의 ‘드러내기’다. 누드 작가로도 잘 알려진 변 작가는 이번 전시회엔 폭이 넓은 붓으로 한 번에 일필휘지 그려낸 누드화를 선보였다. 몸을 나타낸 부분은 붓의 속도감마저 느껴지는 크로키 같기도 하다.


7전시실까지 이 밖에도 눈에 띄는 다양한 작품들이 관람객을 맞았다. 그림마다 개성을 달리하듯 그림을 보는 관람객도 보는 눈이 다를 터이다. 이렇게 많은 작가가 참여한 전시회의 다양한 작품들을 대하면서 마음에 드는 그림을 골라보는 재미도 있다. 그림 앞에서 ‘셀카’를 찍으며 기념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을 보면 요즘 그림 전시회의 한 풍속도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미술 관람을 즐기는 사람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gogo즐기go]18~24일 경남의 공연·전시


창원


<공연>




△극단 상상창꼬 ‘라디오 여자’ = 18일 오후 730, 19·20일 오후 4·730. 창동예술촌 가배소극장. 유료. 010-3232-7297.

△제7회 전안윈드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 = 18일 오후 7. 3·15아트센터 대극장. 무료. 010-3368-6537.

△창원시남성합창단 제10회 정기연주회 = 18일 오후 730. 성산아트홀 대극장. 무료. 010-5872-2683.

△경기민요 6잡가 최금옥 = 18일 오후 7. 성산아트홀 소극장. 무료. 010-9668-6111.

△인애복지재단 설립 70주년 기념음악회 = 19일 오후 3. 3·15아트센터 대극장. 무료. 055-298-8600.

△창작무용극 ‘님이여 우리를 버리시렵니까’ = 19일 오후 7. 성산아트홀 대극장. 무료. 055-262-7908.

△복있는 사람 남성합창단 정기연주회 = 19일 오후 730. 성산아트홀 소극장. 무료. 010-7162-4921.

△진해안젤루스소년소녀합창단 제15회 정기연주회 = 19일 오후 5. 진해문화센터 공연장. 무료. 010-8536-8817.

△창단 20주년 경남재즈오케스트라 정기공연 = 20일 오후 7. 성산아트홀 대극장. 무료. 010-3838-5886.

△제6회 경남학생합창제 = 22일 오전 11. 3·15아트센터 대극장. 무료. 055-250-0117.

△창원대학교 제19회 무용학과 졸업작품 발표회 = 22일 오후 730. 성산아트홀 소극장. 무료. 055-213-3950.

△제10회 창원대학교 예술대학 음악과 오페라 정기연주회 ‘까발레리아 루스티카나’ = 22일 오후 2, 730. 성산아트홀 대극장. 무료. 055-213-3900.

△경남관악단 제14회 정기연주회 = 23일 오후 730. 성산아트홀 대극장. 무료. 010-3871-9124.

2016년 창원현대음악제 실내악을 위한 창작음악회 = 23일 오후 730. 성산아트홀 소극장. 무료. 010-8446-9913.

△오페라 콘서트 ‘리골레토’ = 24일 오후 730. 성산아트홀 대극장. 유료. 010-3782-4878.

2016년 창신대학교 음악학과 정기연주회 ‘여배우들’ = 24일 오후 730. 3·15아트센터 대극장. 무료. 055-250-1325.

△루시드 트리오 제1회 정기연주회 = 24일 오후 730. 3·15아트센터 소극장. 무료. 010-2940-2520.

△창원시립 합창단 정기공연 = 24일 오후 730. 진해문화센터 공연장. 무료. 055-225-7382.


<전시>


전업미술가협회대작전.


2016 경남전업미술가협회 대작전 = 21일까지. 성산아트홀 제1~7전시실. 무료. 010-2646-9496.

△경남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제29회 졸업전시회 = 22일까지. 3·15아트센터 제1~2전시실. 무료. 010-2446-9319.

△마산문인협회 출판기념회 및 문학대축제 = 22일까지. 3·15아트센터 제3전시실. 무료. 010-2585-8344.

△또바기 서각 회원전 = 22일까지. 3·15아트센터 제4전시실. 무료. 010-4545-9961.

△냉정과 열정 사이-김계완 박재영 2인전 = 26일까지. 월남동 장원빌딩 그림갤러리. 무료. 055-243-0999.

Exhibition Of Fabric Art 2016 = 23~28. 성산아트홀 제5전시실. 무료. 010-9900-1130

△경남예술창작센터 제9기 입주작가 결과전 = 23~28. 성산아트홀 제1전시실. 무료. 010-2707-3588.

△초심묵연회 = 23~28. 성산아트홀 제2전시실. 무료. 010-5028-2885.

△정은승 서양화전 = 23~28. 성산아트홀 제3전시실. 무료. 010-6663-2584.

△창원사랑고향만들기 제20회 정기전 = 23~28. 성산아트홀 제4전시실. 무료. 010-8589-6706.

△제16회 경남도예작가회전 = 23~28. 성산아트홀 제6전시실. 무료.010-3139-7511.

△제19회 영·호남 교류전 = 24~293·15아트센터 제1전시실. 무료. 010-6626-5771.

2016한마전 = 24~293·15아트센터 제2전시실. 무료. 010-5593-2631.

△신민섭 다지인 개인전 = 24~293·15아트센터 제3전시실. 무료. 010-2568-6054.

△경남 100100작 신종식전 = 124일까지. 경남도립미술관 제3, 4전시실. 유료. 055-254-4600.

△피카소와 세 개의 정원 = 124일까지. 경남도립미술관 제1,2,3전시실. 유료. 055-254-4600.

△황종명 초대전 = 1218일까지. 창원 사파동 ‘갤러리 아트 인 만나’. 무료. 070-4147-8297.


진주


<공연>




△유니버설발레단 호두까기 인형 = 18일 오후 730, 19일 오후 4. 경남도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1544-6711.


<전시>


△제12회 진주사생대회 전시회 = 22일까지. 경남도문화예술회관 제1전시실. 무료. 055-772-5686.

△경남 청년작가 정기전 = 24~29. 경남도문화예술회관 제1전시실. 무료. 010-4859-2750.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기획전 ‘보이는 감각’ = 30일까지. 경남도문화예술회관 제2전시실. 무료. 1544-6711.


김해


<공연>




2016년 김해시 청소년어울림마당= 19일 오후 3. 김해문화의전당 애두름마당. 무료. 010-4208-0086.

△버즈(BUZZ)콘서트 전국투어 – 김해공연 = 19일 오후 7, 20일 오후 5. 김해문화의전당 마루홀. 유료. 055-320-1234.

△시각장애인 창작시 음악축제 = 19일 오후 3. 김해문화의전당 누리홀. 무료. 055-320-1244.

△서울시 국악관현악단 ‘희망 국악을 듣다’ = 23일 오후 730. 김해문화의전당 마루홀. 무료. 055-320-1235.

△제15회 김해 플루트 앙상블 정기연주회 = 24일 오후 730. 김해문화의전당 누리홀. 유료. 010-7829-4437.


<전시>


△한국화 김영애 개인전 = 20일까지. 윤슬미술관 제2전시실. 무료. 010-4540-0050.

20회 김해한국화가회전 = 20일까지. 윤슬미술관 제1전시실. 무료. 010-9310-4830.

△제11회 한국서예협회 김해지부 회원전 = 22~27. 윤슬미술관 제2전시실. 무료. 055-314-0169.

△제40회 김해미협 정기전 = 22~27. 윤슬미술관 제1전시실. 무료. 055-320-1261.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개관 10주년전 ‘Post-Tile, 타일 이후의 타일’ = 1225일까지. 유료. 055-340-7007.


밀양


<공연>




△밀양전자고 개교 50주년 기념음악회 ‘사제동행’ = 19일 오후 5. 밀양아리랑아트센터 대공연장. 무료. 010-2836-0842.

△제10회 예림 윈드 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 = 22일 오후 730. 밀양아리랑아트센터 대공연장. 무료. 010-9340-6671.

△수요예술아카데미 ‘렉쳐 콘서트’ Part. 1 김현철이 전하는 재미있는 클래식 이야기 = 23일 오후 730. 밀양아리랑아트센터 소공연장. 유료. 055-359-4524.


<전시>


2016 밀양문화재단 기획 ‘고 이두옥 기획초대전’ = 124일까지. 밀양아리랑아트센터 전시실. 무료. 055-359-4524.


양산


<공연>


연극 ‘늘근도둑 이야기’의 한 장면.


△연극 ‘늘근도둑 이야기’ = 19일 오후 3, 730. 양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055-379-8550.


통영


<공연>




△타펠무지크 바로크 오케스트라 = 19일 오후 5. 통영국제음악당 콘서트홀. 유료. 055-650-0400.

△아이키즈밴드 콘서트= 19일 오후 3. 통영시민문화회관 소극장. 무료. 010-4158-5208.

△제46회 승전무 정기발표회 = 20일 오후 5. 통영시민문화회관 대극장. 무료. 010-3409-1734.


<전시>


△통영아트페어 미술전시회 = 24일까지. 통영시민문화회관 전시실. 무료. 010-3557-4256.


거제


<공연>


△거제YWCA청소년오케스트라 = 19일 오후 5. 거제문화예술회관 대극장. 무료. 055-682-4950.


<전시>




△최위숙 영성그래피 개인전 = 21일까지. 거제문화예술회관 전시실. 무료. 010-8952-6666.

△권기주 ‘재생과 생성’전 = 29일까지. 유경미술관 제5. 무료. 055-632-0670.


사천


<공연>




△가족뮤지컬 ‘백설공주와 샤넬왕자’ = 20일 오후 1, 3. 사천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010-8718-7747.

△영상으로 만나는 ‘코리안심포니 연주회-스피릿 오브 베토벤’ = 23일 오후 7. 사천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료. 055-831-2460.


<전시>


조순미작 ‘그대와 함께.


△리미술관 서른 번째 초대전 ‘그대와 함께’ = 30일까지. 리미술관 제2전시관. 무료. 055-835-2015.

△리미술관 스물아홉 번째 초대전 ‘사천의 사계’ = 30일까지. 리미술관 제1전시관. 무료. 055-835-2015.


창녕


<공연>




△영상으로 만나는 ‘심청’ = 22일 오후 730. 창녕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료. 055-530-1911.


고성


<공연>


△극단 미소 ‘뒤집기 춘향전’ = 18일 오후 2. 고성농업기술센터 강당. 무료. 055-264-5264.


창녕


<전시>


△국립현대미술관 ‘마실나간 미술관’ = 1210일까지. 창녕문화예술회관 전시실. 무료. 055-530-1911.


함안


<공연>




△코미디 ‘쇼그맨’ = 19일 오후 3, 7. 함안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055-580-3608.


함양


<공연>


△연극 ‘뿌왕뿌왕 할머니와 꼬방 고양이’ = 18일 오후 6. 함양문화예술회관 전시실. 유료. 055-960-5288.


거창


<공연>




△경남도민예술단 ‘청춘극장’ = 24일 오후 730. 거창문화센터 공연장. 무료. 055-940-8460.


<전시>




△거창작가 초대전 = 21~124. 거창문화센터 전시실. 무료. 055-940-8460.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주말에 뭘볼까]솟대 위에서 재주 한번 넘어 보는디!

진주 솟대쟁이놀이보존회 19일 진주박물관 앞마당서 3차 복원 공연


지난해 5월 경남민속예술제에서 이 솟대쟁이 놀음판을 본 적이 있다. 이날도 다양한 기예를 선보였는데 놀음패의 이름을 보아서도 짐작하겠지만 대표적인 놀이가 솟대 위에서 노는 것이렸다.


솟대 위에서 펼쳐지는 온갖 기예는 아슬아슬해 손에 땀을 쥐게도 하지만 그 예인의 능청스러움에 웃음이 묻어나기도 한다. 특히 솟대 아래에서 재담을 풀어놓는 매호씨(어릿광대)와의 대화는 개그 프로의 장면을 보는 듯도 하다.


솟대 위에서 악기치기./솟대놀이보존회


쌍줄백이놀이.


우리의 전통놀이 중에서 이렇게 재미있는 게 있었나 할 정도로 눈을 다시 눈을 뜨게 만든 것이 이 솟대쟁이놀이였으니 오는 19일 오후 2시 진주성 내 박물관 앞 야외공연장에서 3차 복원한 내용을 포함해 공연을 한다고 하니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구나.


솟대쟁이는 1800년대부터 진주 지역을 본거지로 하여 전국을 떠돌아다니며, 오늘날의 말로 하면 서커스를 펼쳤다 하니 그 역사도 예사가 아니구나. 하지만, 이렇게 재미있는 놀이가 최근에 와서야 복원되고 있다고 하니 안타깝고도 아쉬운 마음이 그지없다.


지난해 경남민속예술제 때 본 것이 2차 복원한 놀이였고 올해 3차 복원이라고 하니 아직 또 얼마나 더 복원할 게 남았는지 알 수는 없으나 이 정도만 해도 놀이의 구성은 알차다 하겠노라. 이번 공연엔 추가된 쌍줄타기, 판줄타기, 땅줄타기, 그리고 농환, 이렇게 네 종목이 주 내용이겠는데 이것만 보여주면 솟대쟁이 놀음판을 찾은 손님들이 서운해하지 않겠나.


살판(땅재주).


병신굿놀이./솟대놀이보존회


버나놀이.


솟대타기, 쌍줄백이, 이동식 솟대타기, 죽방울놀이, 버나놀이, 살판, 새미놀이, 죽방울치기에 얼른, 풍물판굿도 간단히 어우러지니 오시는 손님은 실컷 웃고 즐길 준비만 하시라. 한 번 본 사람으로서 하는 얘기니 믿어 손해 볼 건 없다 이 말씀이렸다.


옛날이 이 솟대쟁이 놀이가 어떻게 놀던 것이었는지는 문헌에 잘 나와 있으니 참고해 소개해볼작시면, 조선 후기 실학파 이익이 쓴 <성호사설>에 이런 말이 있다.


“장형(張衡)의 서경부(西京賦), ‘양쪽 손에 공과 칼을 쥐고 휘두르면서 뛰는데(跳丸劒之揮霍) / 밧줄 위로 달리다가 서로 마주 닿는구나(走索上而相逢)’ 라는 노래가 바로 그것이다. 요즈음 와서는 이런 재주가 더욱 교묘해져서 마주 서서 춤을 출 뿐만 아니라 더러는 능란하게 몸을 번드쳐서 재주를 넘고, 손으로 해금(奚琴)을 퉁기는 등 흔들거리고 기울어지기도 하되 능히 아래로 떨어지지 않으니, 교묘한 재주들이 이와 같다.”


뿐이던가. 솟대쟁이 놀이에 대한 얘기는 이색이 지은 <목은집>에도 나오고 성현이 지은 <허백당집>에도 나온다.


“긴 장대에 의지한 남자는 평지처럼 굴고(長竿倚漢如平地)” “백 척 장대 위에서 큰 잔 잡고 춤추네(長竿百尺舞壺觥)” “거꾸로 매달려 몸 놀리니 가지가 날리는 듯(跟絓投身條似飛)”


공연에 대해 궁금한 게 있으면 보존회 전화번호 055-758-1936으로 해보시라.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