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01)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8)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5)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7-03 11:07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해브-원트 매트릭스는 가로세로 교차하는 십자형의 4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1영역은 왼쪽 윗부분이며 2영역은 왼쪽 아래, 3영역은 오른쪽 아래, 4영역은 오른쪽 윗부분이다.

Have-Want Matrix의 핵심은 2영역 부분과 4영역 부분이다.

2영역은 자신이 원하지 않지만 이미 가지고 있거나 하고 있는 것을 말하며 4영역은 원하지만 아직 성취하지 못한 것을 말한다.

가령 2영역에 '흡연'이 있다면 4영역엔 '금연으로 기인한 건강'일 것이다.

2영역에서 4영역으로 가기 위한 실천 목표를 세우는 것이 Have-Want Matrix를 작성하는 의도이다.

내게 2영역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 담배, 술 별로 안하니 모범적 인간형이랄 수 있는데 대부분의 범생이 별 재미 없듯 나도 그런 인류 중의 하나인가 보다.



<2영역>

1. 활동적이지 않고 집에만 틀어박혀 있는 안방주사형이다.

2. 일이 생기면 즉각 해결하지 않고 미루는 성격이 강하다.

3. 화가 나는 일이 생겨도 속으로 삼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

4. 비만에 해당하는 신체여서 활동이 자연스럽지 못하다.

5. 부끄러움이 많아 남들 앞에 나서서 이야기를 잘하지 못한다.

6. 너무 신중해서 일을 빨리 처리하지 못한다.

7. 가난해서 하고 싶은 취미활동을 쉽게 하지 못한다.



<4영역>

1. 집안일 일부는 가족에 맡기고 시민·사회·예술단체 등에 가입해 활동한다.

2. 해야 할 일이 생기면 미루지 않고 즉각 달려들어 해결한다. 내가 할 수 없는 일이라면 다른 사람에게 전가하거나 포기한다. (할 수도 없으면서 혼자서 책임지려고 끙끙거리는 것보단 백배 나은 방법이다.)

3. 화날 일이 생기면 속으로 삼켜 스트레스받지 말고 적극적으로 없앤다. 필요하다면 싸움을 해도 된다. (나이 들어 주먹질은 안 될 테고 말싸움이나 욕은 괜찮겠다.)

4. 매일 아침 등산뿐만 아니라 돈 들이지 않고 할 수 있는 운동을 최소 1시간 이상 한다.(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앉았다 일어서기 등)

5. 엉뚱한 이야기면 어떠랴, 한마디를 하더라도 말할 수 있는 기회를 그냥 흘려보내지 말자.

6. 대충대충해도 아무 탈이 없는 일은 과감하게 건성으로 처리하자. 그렇다고 죄의식 느낄 필요 없다.

7. 의지만 가진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군. 돈을 무덤에 갖고 갈 것도 아니니 빚만 지지 않는다면 과감하게 쓰면서 살자. 그래도 돈이 모자라면 한끼 정도는 굶고 예산을 전용하는 지혜도 필요하다.

농담처럼 4영역을 작성해보긴 했는데 너무나도 솔직하고 절박한 형편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정녕 행복할 수 없는 환경인가. ㅎㅎ.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도 Have-Want Matrix를 작성해보시면 어떨까요. 생각의 여유가 충분하다면 1영역과 3영역을 작성해보세요.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또한 자녀들에게 Have-Want Matrix를 작성하게 해보면 자신의 환경을 관찰하고 해결방법을 모색하게 할 수 있어 기대 이상의 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해저물녘 농촌의 모습은 한가로와 보입니다. 이유는 고즈넉한 정지화상만 보아서 생기는 착각 때문입니다.

해그림자가 산등성를 타고 올라갈 때에도 농촌 벌판엔 콤바인소리가 끊이지 않습니다.

서서히 밤이 깊어가면 대청마루 아래 귀뚤이가 길게 하품을 하며 양날개를 비벼댑니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서울지역에서 발행하는 신문을 통털어 '중앙지'라고 부릅니다. 이는 서울이 행정의 중심이 된 후 나머지 지역을 지방이라고 부른 데서 생신 대비 개념입니다.
즉, 왕이 있는 곳이 중앙이고 왕이 관리를 파견한 곳이 지방입니다. 또 우리는 인정하지 않지만 중화사상에 매몰된 사람들의 시각에서 보면 중국의 황제가 있는 곳이 곧 중앙이 되는 셈입니다. 그래서 중국의 왕은 왕이라 하지 않고 황제라고 부르고 옷도 '황색'을 입는 것입니다. 고려나 조선의 왕을 '황제'라 부르지 않는 것 역시 이런 이유입니다. 그나마 근대화가 시작할 즈음 고종이 중국의 속국에서 벗어나 주체국임을 천명하면서 '황제' 칭호를 쓴 것은 다행입니다.

어쨌든, 중앙이라는 개념은 지방이 있어서 가능한 것이고 그 지방에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 '중앙'이라는 개념이 지방자치시대가 시작된 지 17년이나 되었는 데도 지속하고 있습니다.
물론 행정 측면에선 아직 중앙과 지방이라는 개념이 적용되는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국세가 있기 때문입니다. 모든 세금이 지방세(...), 지역세금이라면 중앙이 무슨 필요가 있겠습니까? 나라살림이나 자치단체 살림이나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니까 말입니다.

그런데 전혀 예산의 속박을 받지도 않고 정치적 영향력이나 아주 시시콜콜한 간섭마저도 전혀 받지 않으면서도 '중앙'과 '지방'이라는 이름으로 엮인 것이 '언론' 아닐까 생각합니다. 왜, '중앙지'며 '지방지'입니까. '지방지'는 '중앙지'의 관리를 받습니까. '지방지'가 '중앙지'에 세금을 바칩니까.

서울이 우리나라의 수도라 해서 모든 분야, 영역에서 왕노릇해야 한다는 인식은 분명 잘못되었습니다. 왜, 서울은 '올라가는 곳'이어야만 합니까. 옛날엔 서울이 '왕'이 있는 곳이고 행정의 중심이다 보니 그랬다 하더라도 지금은 그것이 아니지 않습니까. 대통령이야 아직 서울에 있다마는 행정은 각 지역으로 분산되고 있는 실정이고 기업의 시각으로 보자면 지역에 본사를 둔 업체도 많이 있습니다.

위도 상으로 북쪽에 있어서 그렇다면 서울에서 강릉으로 가는 것이 '올라가는 것'이겠습니다. 나중엔 개성으로도 올라가고, 평양으로도 올라가고, 신의주, 블라디보스톡, 북극까지 올라가고, 같은 개념이라면 적도에서 남극까지는 내려가는 것이겠습니다. 그렇다면 개념이 단순화되는군요. '북쪽으로 가면 올라가고 남쪽으로 가면 내려간다.' 이는 지도를 그리면서 위쪽을 북쪽으로 놓고 그린데서 비롯되었다고 봅니다. 반대로 남쪽을 위로하여 옛날부터 지도를 작성해왔다면 어땠을까요.

또 북측사람도 우리 민족이니 인식이 비슷할 거라는 전제로 예를 듭니다만, 신의주나 함평에 있는 사람이 평양으로 갈 때 '올라간다'는 표현을 쓰지 않을까 싶습니다.

위도를 기준으로 하든 행정의 중심이라는 개념을 기준으로 하든 서울을 무조건 '중앙'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분명 잘못되었습니다. 그리고 무조건 '올라가는 곳'도 아닙니다. 앞으로 '상경투쟁' 대신에 '서울투쟁'이라는 표현으로 바꿉시다.

다시 궤도를 바로잡고, '중앙지'라는 표현을 등에 업고 서울신문들이 기고만장합니다. 전국의 각 지역을 '지방'으로 내려다보고 다 장악하려고 합니다. 따지고 보면 서울도 한국의 여러 지역 중의 하나임에 불과한 데 말입니다. 경남사람들은 경남의 지역신문보다 서울의 '중앙지'를 더 많이 봅니다. 물론 '경품'에 속아서, 혹은 탐나서 보는 사람도 있지만 지역 소식보다 서울의 소식에 더 관심을 기울입니다.

중앙집권체제가 워낙 오래 지속되다보니 관성적으로 서울쪽에 눈을 박고 있는 게 아닌가 생각도 듭니다. 어쩌면 아직 무늬만 지방자치라서 그럴 수도 있습니다.  1991년부터 지방자치제가 시작되었지만 진정한 제도의 정착은 아직 요원합니다. 지역민이 뽑아준 자치단체의 장이나 국회의원들도 별 관심이 없는 듯합니다.

아마도 '중앙'이라는 표현을 계속 쓰고 지역사람이 서울쪽으로만 '해바라기'하고 있다면 진정한 자치는 뿌리내리지 못할 것입니다. 지역의 가치를 더 소중히 여긴다면 '중앙지'라는 개념부터 세뇌받은 머리에서 뽑아내야 할 것입니다. '서울지'라는 표현이 더 어울린다고 생각합니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