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01)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8)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5)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7-04 16:2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분가한지 스무날이 된 새벽, 불현듯 예전에 어머니께 종종 드렸던 말이 떠올랐습니다.
"어머이, 좀 쉬시지예?"
인사치레로 한 말이긴 하지만 참 멋모르고 했던 말이었음을 실감합니다.
가정주부로 눌러앉은지 넉달이 되었지만 분가하고 난 스무날이 되어서야 집안일이 쉴틈을 주지 않는 것이란 걸 느낍니다. 어머니와 함께 살 때엔 내가 얼마나 게으름을 부렸는지 비로소 확인이 되는군요.
토요일, 일요일은 아내가 일터로 나간다고 새벽같이 일어나서 반찬하고 밥상차린다고 부산을 떨었는데 월요일이 되자 또 아이 학교 보낸다고 아침 일찍 일어나서 반찬 만들고 어젯밤 미뤄놓은 설거지 하느라 바쁘네요.
게다가 아이 셋 중에서 막내가 이제 겨우 대소변을 가릴 시기라 보통 신경이 쓰이는 것이 아닙니다. 조금만 방심했다간 옷을 바로 빨랫감으로 만들어버리니까요.
아침 먹고나면 설거지, 매일 빨래감은 왜 그렇게도 많이 생기는지. 방 청소는 각자가 맡아서 해도 쉴 틈이 별로 없군요. 아이들과 산책, 함께 공부하는 시간이 많아서 그런지 모르지만 하루가 어떻게 지나갔는지 모를 정도로 정신이 없습니다.
이런 일과가 주부의 생활인데 어머니와 함께 살 땐 왜 몰랐는지 나 자신이 한심하기도 하군요. 나는 간식 먹는다고 안방에서 밥상 펴놓고 앉아있으면서 고무장갑을 끼고 거실로 부엌으로 부산하게 왔다갔다 하시는 어머니께 드린하고 한 말이 고작 "어머이, 좀 쉬시지예?"였으니 말입니다. 
겪어보니 정말 주부의 일은 어느 노동일보다 더 정신없고, 쉴틈없고, 힘든 것 같습니다.
아이들이 다 크면 좀 나아지려나. 으휴~.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오늘 초등학교 4학년 둘째 아이 전학하려 아침에 이사온 지역의 학교를 갔다왔습니다. 많은 아이들이 사방에서 학교로 향하고 있었습니다. 긴 방학을 끝내고 오늘은 개학하는 날이었습니다.

아이 전학 서류절차를 마치고 돌아오는데 아이들이 인사를 합니다. 아마 내가 선생님인줄 알고 인사하는 아이들도 있을 테고 습관적으로 어른을 봤으니 인사를 하는 아이들도 있을 겝니다.

주로 저학년 아이들이 인사를 합니다. 학교에서 많이 떨어져 걷고 있는데도 인사를 하는 아이가 있습니다. 둘째가 초등학교 저학년일 때 학교에 바래다주면서도 그것을 느꼈더랬습니다. 촌이라서 더 그런지 모르겠지만 아이와 같이 갈 때에도 바래다 주고 혼자 돌아올 때에도 마주치기만 하면 아이들은 모두 인사를 하는 것입니다.

등교시간이 일정하다보니 늘 만나던 아이들을 만나게 됩니다. 그런데 이상한 건 학년이 올라갈 수록 자주 본 사람이고 또 동네 어른인 줄 알았으니 더욱 인사를 하는 게 맞을 텐데 3학년, 4학년이 되면서 마주쳐도 인사를 하지 않는 것입니다.

이제 철이 들었다는 것일까요. 저학년 때에는 학교 선생님께서 가르쳐주는 대로 만나는 어른마다 인사를 했지만 학년이 올라갈 수록 인사를 해야할 대상과 하지 말아야하는 대상을 구분하게 된 것일까요.

어릴 때에 누구에게나 인사를 하는 것도 문제이지만 좀 컸다고 아는 사람에게도 인사를 하지 않게 되는 현상도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이들의 자연스런 성장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일 수도 있겠지만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생각해봐야할 문제 아닐까요.

뭐, 어릴 때엔 아무에게나 인사를 하고 커면서 골라서 인사를 하게 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만, 생면부지의 아이로부터 인사를 받는 경우와 몇 번 안면이 트인 후에 외면받을 때를 생각하면 바람직하진 않을 것 같습니다.

차라리 아이가 어릴 때부터 인사를 할 대상과 하지 않아도 되는 대상을 구분하는 법을 훈련하게 하는 것은 어떨까요.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이 그림은 중학생 누나의 그림을 보고 자극을 받은 초등학교 4학년 아이가 그린 그림입니다.

평소 공부하기 싫어하고 언제쯤 게임을 할 수 있을까 학수고대만 하고 살아가고 있는 우리집 머스마는 제 누나가 그린 그림이< 경남도민일보>에 실린 것을 보고 엄청 부러워 했습니다.

제 누나는 문근영 팬인데 얼마전 TV <바람의 화원>에서 문근영이 신윤복 역으로 나와 그림을 그리는 모습을 보고 단오풍정이나 미인도 등을 제법 흉내내어 그렸습니다. 그림이 보아줄 만하다 싶어 블로그에 올렸더니 신문에서 또한 실리게 되었습니다.

이 모습을 본 둘째아이는 "원래 내가 그림을 잘 그리는 데, 아이참!" 하면서 크로키 책을 꺼내드는 것입니다. 자신이 그림을 잘 그린다고 믿는 이유는, 만화영화를 너무 많이 봐와서 그런지 툭하면 로봇이나 마녀 같은 그림을 그려서 보여주곤 했는데 그때마다 "잘그렸네"하고 칭찬을 해주었거든요.

아들이 아무리 그림을 많이 그려와도 블로그에 올린 적이 없었는데 누나는 그림 몇 개 그리지도 않았는데도 아빠가 사진을 찍어서 올리니 은근히 경쟁심이 일어난 게지요.

크로키 책을 제방에 가지고 들어가더니 한 시간도 되지 않아서 연습장을 가져왔습니다.
"뭔데?"
"그림 그렸어요. 보세요!"

이 녀석 한 시간밖에 되지 않은 시간에 그림을 무려 열 서너개를 그렸더군요. 누나 흉내를 내어 그림마다 아래쪽에 낙관이랍시고 빨간 색으로 그려넣기도 했고요.

지금은 이번에 이사를 해서 전학을 하게 되었는데 내일 학교를 떠나면서 친구들에게 남길 그림을 그리고 있답니다. 어깨너머 스케치한 것을 보니 자화상에 말풍선을 여러개 넣어 친구들에게 전할 모양입니다.

둘째가 엎드려서 열심히 그림을 그리고 있으니 3살 먹은 막내 또한 이면지 한 장을 꺼내서 오빠의 연필로 열심히 그림을 그리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이런 현상이 지속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덕분에 블로그에 글을 올릴 시간도 생기니 말입니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