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01)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8)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5)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5-05 01:56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얼핏 ‘가곡’ 하면, 유행가 ‘가요’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성악가들이 부르는 ‘가곡’을 떠올리기 십상이다.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인 ‘가곡’은 그런 가곡이 아니라 조선시대 지식인 계층에서 즐겨 부르던 노래로 시조·가사와 함께 ‘정가(正歌)’라고도 한다. 당시 ‘속가(俗歌)’라고 불린 판소리와 민요는 서민들의 노래로 대비가 된다.


대체로 가곡이나 시조, 가사는 박자가 느리다. 어쩌면 휘모리장단의 민요를 듣다가 이 가곡을 듣게 되면 시간이 정지된 듯한 느낌마저 들지도 모른다. 그래서 가곡을 들으면 마음에 평정심이 깃든다. 하지만, 성질 급한 사람은 공연장을 뛰쳐나갈지도 모른다.




오는 18일 오후 730분 창원시 마산회원구 회원동 가곡전수관 영송헌에서 ‘가곡원류-정음 바로잡기’ 공연이 열린다. 이번 프로그램은 모두 가곡들로만 구성되어 있다.


9곡이 연주된다.


1. 여창가곡 우조 평거 ‘노래’

2. 여창가곡 우조 두거 ‘한숨은’

3. 여창가곡 반우반계 반엽 ‘담안에’

4. 여창가곡 계면조 이삭대엽 ‘이화우’

5. 남창가곡 우조 언락 ‘벽사창이’

6. 여창가곡 우조 우락 ‘유자는’

7. 여창가곡 반우반계 환계락 ‘사랑을’

8. 여창가곡 계면조 편삭대엽 ‘모시를’

9. ·여창가곡 계면조 대받침 ‘이려도’


전통음악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쉽게 이해하지 못할 용어들이 있어 어리둥절할 수도 있겠다. 프로그램에서 남창가곡이라든지 여창가곡이란 말은 남자 혹은 여자가 부르는 노래로 이해가 된다만, 우조니 평거니, 두거니, 반우반계, 반엽, 언락, 우락 등등 이런 생소한 말은 무엇을 뜻하는 것인지 알기 어렵다.


노래는 모두 조선 고종 13, 그러니까 1876년에 박효관과 안민영이 편찬한 ‘가곡원류’에 실린 곡들이다. 가곡원류는 ‘청구영언’과 ‘해동가요’와 더불어 3대 시조집으로 일컬어진다. 수록곡은 남창 665, 여창 191수의 시조가 실렸다.


다음 ‘한숨은’이란 가곡은 여성이 우조 두거의 형태로 부르는 노래다.


한숨은 바람이 되고 눈물은 세우(細雨)되어

님 자는 창()밖에 불면서 뿌리과저

날 잊고 깊이 든잠을 깨와볼까 하노라


그런데 여기서 우조는 무엇이며 두거는 무엇일까? 먼저 우조(羽調)는 웃조를 한자로 나타낸 말이라고 한다.(한겨레 음악대사전) 즉 높은 음조란 얘기다. 그리고 두거는 중거(中擧), 평거(平擧)와 구별되는 개념인데, 머리를 든다는 뜻으로 ‘들어내는 것’이라고도 하고 속도가 선행하는 것보다 빠르다고 한다.(국어국문학자료사전)


그래서 여창의 ‘우조두거’는 높은 소리로 황종으로 숙였다가 중려로 들어서 노래하는 것인데, 보통 서양식 계명으로 치면 다장조에서 황종은 도에, 태주는 레, 중려는 파, 임종은 솔, 남려는 라에 해당하므로 도로 시작해 파로 이어지게 부르는 곡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반우반계 반엽’이라는 말은 반은 우조로 반은 계면조로 부르는 노래란 뜻이다. 반엇삭대엽이라고도 표현한다. 여기서 계면조란 서양음악으로 치면 단조와 비슷한 선법(음 조직 체계)이다. 서양의 장조에 해당하는 선법은 평조다.


‘벽사창이’라는 노래는 언락으로 부르는데, ‘언락’이란 말은 소리를 높이 질러 내는 선율로 남창에만 있다. 또 ‘유자는’이란 곡은 우락으로 부르는데 이는 우조로 된 낙시조란 뜻으로 담담하면서도 즐거운 가락의 느낌이 난다.


‘환계락’이란 곡조는 ‘언락’과 달리 남창가곡에는 없고 여창가곡에만 있다. 16박 장단인데 반엽처럼 우조에서 계면조로 넘어갈 때 불리는 노래다.


‘이화우’는 이삭대엽으로 부르는 노래고 ‘모시를’은 편삭대엽으로 부르는 노래다. 어떻게 부른다는 얘길까. 참고로 삭대엽이란 말은 수대엽이란 표현과 같은 말이며, 조선시대 가곡을 이른다.


이삭대엽과 편삭대엽을 이해하려면 초삭대엽을 알아야 한다. 초삭대엽은 남창가곡으로 가곡을 연창할 때 가장 먼저 부르는 곡이다. 그 다음에 부르는 곡이 이삭대엽, 이삭대엽은 남창과 여창, 우조와 계면조로 부른다. 곡의 느낌은 아주 느리고 유장하다.


편삭대엽은 가곡의 열두째 곡인데, ‘편’이란 사설과 통하는 말로 편삭대엽으로 부르는 곡은 ‘많은 군사가 몰려오고 나발과 북이 일제히 울리는 듯’한 느낌을 준다고 한다.


대받침은 가곡 중에서 제일 마지막 곡이다. 계면조 이수대엽을 변주한 곡이다. 남창과 여창이 번갈아 부르다가 마지막에 남녀 동시에 부른다.


우리의 전통 음악이면서도 일부러 찾아 듣지 않으면 좀체 접하기 어려운 가곡, 익숙하지 않은 만큼 기본적인 상식이 없어서는 또 이해하기 쉽지 않은 장르의 예술이라 관람하기 전에 약간의 사전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그 바탕 위에 느릿느릿 노래하는 시조를 음미한다면 우리 전통 가곡에 대한 사랑도 싹트지 않을까 싶다.


이번 공연은 무료로 진행된다. 문의 : 055-221-0109.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gogo즐기go]12~18일 경남의 공연·전시


창원


<공연>




△창원시립예술단 광복음악회 = 12일 오후 730. 성산아트홀 대극장. 무료. 055-299-5832.

△한여름 밤의 시네마 ‘프리윌리’ = 13일 오후 830. 성산아트홀 어울림마당. 무료. 055-719-7814.

△광복71주년 기념 경축음악회 = 15일 오후 7. 경상남도청광장. 무료. 055-281-6825.

△경남프리마앙상블 정기연주회 = 16일 오후 730. 성산아트홀 소극장. 유료. 010-7799-4626.

△한여름 밤의 시네마 ‘라이프오브파이’ = 17일 오후 8. 진해문화센터 야외공연장. 무료. 055-719-7814.

△가족음악회 ‘물의 소리’ = 17일 오후 730. 진해문화센터 공연장. 유료. 010-9338-5889.

△가곡원류 ‘정음 바로잡기’ = 18일 오후 730. 가곡전수관 영송헌. 무료. 055-221-0109.


<전시>


정재훈 에코 크래프트전.


△송영은 서양화 초대전 = 12일까지. 구복예술촌. 055-221-8797.

△제24회 한국미술교육연구회전 및 경남미술교육 사제동행전 = 15일까지. 성산아트홀 제1~4전시실. 무료. 010-8534-0033.

△배부순 현대공예전 ‘From the Series of 2001’ = 20일까지. 갤러리고운. 무료. 055-282-4922.

△정재훈 에코 크래프트 전시 ‘태극을 노래하다’ = ~21일까지. 창동예술촌 리아갤러리. 무료. 010-3854-0821.

△제33회 경남수채화협회전= 17~22. 성산아트홀 제1전시실. 무료. 010-5144-8774.

△송영옥개인전 = 17~22. 성산아트홀 제2전시실. 무료. 010-8602-7239.

△스튜디오47 세 번째 전시 = 17~22. 성산아트홀 제3전시실. 무료. 010-9323-8297.

△촉 문인화 10인전 = 17~22. 성산아트홀 제5전시실. 무료. 010-8532-4354.

N아티스트2016-새로운 담지자 = 24일까지. 경남도립미술관 4, 5전시실 및 3층 전시홀. 유료. 055-254-4600

△신나는 미술관 ‘앨리스가 그곳에서 발견한 것’ = 24일까지. 경남도립미술관 1,2,3전시실 및 특별전시실. 유료. 055-254-4600

△문숙영 초대개인전 ‘염원’ = 24일까지. 숲갤러리. 무료. 055-270-0800.

△조수미 국제무대 데뷔 30주년 기념 사진전 = 17~30. 성산아트홀 6~7전시실. 무료. 055-719-7831.

△창동예술촌 국제화 사업 특별 기획전 ‘안데르센과 만나다’ = 31일까지. 창동예술촌아트센터 2. 무료. 055-222-2155.

△흔적 120인 전 = 31일까지. 대산미술관. 무료. 055-261-5237.

△조광수 ‘그리움의 향기’전 = 92일까지. 창원 파티마병원 갤러리. 무료. 055-270-1551.

△인계용 사진 초대전 = 930일까지. 경남교육청사갤러리. 무료. 055-268-1322.

△제9회 경남미술전시페스티벌 ‘자연: 감성&색’ = 1021일까지. 구복예술촌. 무료. 055-221-8797.


진주


<공연>




△서경방송 낭만콘서트 = 12일 오후 730. 평거둔치 야외무대. 무료. 055-740-3091.

△무형문화재 토요상설공연 = 13일 오후 2. 진주성 촉석루. 무료. 055-749-8579.

△토요일 밤 문화공연 樂 in summer = 13일 오후 8. 평거둔치 야외무대. 무료. 055-752-0111


<전시>


△독도자료 및 충효전시회 = 15일까지. 경남문화예술회관 제1전시실. 무료. 010-5777-6640.

△김명남 개인전 = 18~23. 경남문화예술회관 제2전시실. 무료. 010-3559-0050.


김해


<공연>




GASC 애두름 페스티벌 – 김희영 재즈밴드 = 13일 오후 8, 김해문화의전당 애두름마당. 무료. 055-320-1234.

GASC 애두름 페스티벌 – Wild crew, Funkin sound, To the lock = 14일 오후 8. 김해문화의전당 애두름마당. 무료. 055-320-1234.


<전시>


타일 이후의 타일’전에 출품된 무하마드 도미리 작 ‘나시르 알 물크 모크스’.


△우당탕탕 아빠가 만든 놀이터 = 28일까지. 윤슬미술관 제3전시실. 유료. 02-548-5532.

2016 New Face & Artist in Gimhae = 28일까지. 윤슬미술관 제1전시실. 무료. 055-320-1261.

△찾아가는 미술관전 ‘Traveling Trunk-여행하는 코끼리’ = 921일까지. 김해공항 국내선 2층 로비. 무료. 055-340-7009.

△하이퍼리얼리즘 : 피그말리온, 생명을 불어넣다전 = 925일까지.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큐빅하우스 4, 5, 6갤러리. 유료. 055-340-7070.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개관 10주년전 ‘Post-Tile, 타일 이후의 타일’ = 1225일까지. 유료. 055-340-7007.


밀양


<전시>


△구스타프 클림트&에곤 실레 레플리카 명화전 = 21일까지. 밀양아리랑아트센터 전시실. 무료. 055-359-4527.


거제


<공연>


△가족음악회 ‘물의 소리’ = 16일 오후 730. 거제문화예술회관 소극장. 유료. 055-639-3395.


<전시>




△우순근 ‘시간여행’전 = 15일까지. 해금강테마박물관 유경미술관 제2. 055-632-0670

△이정희 작가 ‘Jean한 드로잉전’전 = 15일까지. 해금강테마박물관 유경미술관 제1. 055-632-0670

△전시실로 떠나는 거제여행 = 15일까지. 거제문화예술회관 전시실. 무료. 055-680-1014.

△기획전 ‘동서양이 만남 ; 예술로 가까워지다’전 = 15~930. 해금강테마박물관 유경미술관 제1. 055-632-0670


양산


<공연>


△조윤범의 파워클래식 ‘슈베르트’ = 6일 오후 730. 양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055-379-8550.


사천


<공연>




△평양예술단과 함께하는 ‘우리아리랑’ = 12일 오후 730. 사천시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055-831-2460.

△제23회 사천시삼천포 국제행위예술제 = 12일 오후 8. 삼천포대교공원 수상무대. 무료. 055-834-8721.


<전시>


△장창익 초대전 ‘맑은 뜰’ = 30일까지. 사천리미술관 1·2. 무료. 055-835-2015.


의령


<전시>


△의령예술촌 초대개인전·회원초대전·회원전 = 923일까지 의령예술촌 무료. 055-570-2971.


창녕


<공연>




△창녕군민을 위한 행복콘서트 = 12일 오후 730. 창녕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료. 055-530-1463.


<전시>


△김미련 ‘소벌야화-메모리 에러’전 = 15일까지. 창녕부곡 갤러리DM. 무료. 010-2472-1283.

△다빈치를 따라가는 생각여행 = 28일까지. 창녕문화예술회관 전시실. 유료. 055-530-1911.


거창


<공연>


극단 벼랑꽅날다의 ‘십이야’.


△거창국제연극제 벼랑끝날다 ‘십이야’ = 13~15일 오후 8. 거창수승대축제극장. 유료. 055-943-4152.

△거창국제연극제 극단 각인각색 ‘싸움터에서의 피크닉’ =13일 오후 810. 거창수승대돌담극장. 유료. 055-943-4152.

△거창국제연극제 극단 창세 ‘변신’ = 14일 오후 810. 거창수승대돌담극장. 유료. 055-943-4152.


함안


<공연>




△야외 돗자리 영화제 = 17일 오후 8. 함주공원 다목적잔디구장. 무료. 055-580-3608.

△가족음악회 ‘물의 소리’ = 18일 오후 730. 함안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070-4025-1556.


함양


<공연>


△영화 ‘인사이드아웃’ = 17일 오후 7. 함양군문화예술회관. 무료. 055-960-5531.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주말에 뭘볼까]한여름을 즐겨라! GASC 썸머 페스타

김해문화의전당 12~15일 애두름마당 등서 공연·수전놀이 진행


김해문화의전당은 오는 12일부터 광복절인 15일까지 애두름마당과 인근 도로 등에서 이색적인 여름 축제를 개최한다. ‘GASC 썸머 페스타’. 이번 축제의 이름이다. 재즈, 힙합 등 다양한 인디밴드의 공연과 음악 관련 영화 상영, 수전놀이로 명명한 물풍선·물총 전쟁놀이, 그리고 축제의 대미를 장식할 ‘일렉트리코 퍼레이드’가 준비되어 있다.




◇ 시(see)(want)한 콘서트


인디밴드의 공연은 12일부터 14일까지 매일 오후 7시 애두름마당에서 펼쳐진다. 첫날인 12일엔 일상의 모습을 재치있는 가사로 노래하는 ‘소심한 오빠들’과 자메이카 음악을 주로 연주하는 ‘스카웨이커스’가 공연한다.


둘째 날인 13일엔 재즈밴드 ‘김희영 콰르텟’과 힘합&DJ사운드를 결합한 음악을 연주하는 ‘분리수거밴드’가 공연하고 마지막 날인 14일엔 소울스트리트 댄스를 하는 댄서연합인 ‘김해춤판’과 슈퍼스타K에 출현해 관심을 모았던 ‘중식이밴드’가 출연해 멋진 연주 솜씨를 선보인다.


중식이 밴드./김해문화의전당 페이스북 페이지 갈무리


이 사흘 동안 공연이 끝나면 바로 영화가 상영된다. 첫날엔 잭 블랙 주연의 ‘스쿨 오브 락’으로 코미디 영화다. 뚱뚱하고 촌스러운 외모 때문에 락밴드에서 쫓겨난 듀이 핀(잭 블랙)이 초등학교 대리교사로 취직했다가 공부는 가르치지 않고 아이들과 함께 락 그룹을 만들어 경연대회에 참여하는 과정을 그렸다.


둘째 날엔 싱어송라이터와 해고된 스타음반 프로듀서의 음악 재기를 그린 영화 ‘비긴 어게인’을 상영하고 셋째 날엔 최고의 드러머가 되고픈 음대 신입생의 이야기를 다룬 ‘위플래쉬’가 상연된다.


◇ 전통 석전(石戰)놀이의 변형, 수전(水戰)놀이




수전놀이는 815일 오후 1시부터 진행한다. 이미 사전 접수는 마감되었고 당일 현장 접수로 참여가 가능하다.


참여 방법 : ① 김해문화의전당 야외주차장에 있는 현장부스에서 사전접수자는 접수 내용(연락처, 성함) 확인 후 팔찌 밴딩. ② 탈의실에서 올을 갈아입고 물품보관소로 가서 물품보관용 봉투를 받아 맡기고 도로로 입장. ③ 현장접수자는 부스에서 탈의실·물품보관함을 이용을 원하면 1인당 2000원의 이용료를 내고, 아니면 그냥 행사장으로 바로 입장하면 된다.


귀중품과 현금, 스마트폰 등은 방수 팩에 보관, 소지하는 것이 안전하다.


처음 보는 사람에게도 무작정 물총을 쏘고 물풍선을 날리는 어색하고도 짜릿한 수전놀이. 이 수전놀이는 김해의 민속문화인 석전놀이에서 힌트를 얻어 고안해낸 놀이다. 물풍선은 10만 개가 준비된다. 물풍선이 모두 소진되면 각자 가져온 물총과 물놀이 도구로 행사가 진행된다.


수전놀이가 진행되는 동안 1NHUMAN, Genie, kuin Dj가 함께 한다. 오후 6시까지 수전놀이가 진행된다.


오후 6시부턴 8·15 플래시몹이 연출되고 7시부터 9시까지는 대형 트레일러가 등장해 라퍼커션의 삼바 음악 퍼레이드가 도로 한가운데서 진행된다.


◇ 페스타 피날레 ‘일렉트리코 퍼레이드’


라퍼커션의 일렉트리코 야간 공연 모습./김해문화의전당


7시부터 진행되는 일렉트리코 퍼레이드는 김해문화의전당과 연지공원 사이 도로에서 열리는데 ‘라퍼커션’의 대형 트레일러를 활용한 음악 공연이다. 라퍼커션은 주로 브라질 삼바 음악을 연주하는 단체로 이날 밤 올림픽이 열리고 있는 브라질과 지구 정 반대편, 문화의전당 주변을 흥겨운 삼바 음악으로 수놓을 예정이다.


퍼커션은 연주자의 팔과 다리, 북채 등으로 악기를 두드리거나 흔들어서 소리를 내는 악기를 이르는 말이다. 즉 타악기를 총칭하는 말이라고 보면 된다.


이밖에 행사 기간 애두름마당 일대에선 다양한 체험행사도 열린다. 수공예품 만들기, 어린이 태극기 그리기, 동네 형들과 함께하는 문화예술체험, 어린이 아트마켓 등이 준비되어 있다. 문의 : 055-320-1252.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