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24)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8)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1)
경남민속·전통 (15)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64)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9-16 00:0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우리 처지에 무슨 은그릇이냐며 처할머니로부터 선물받은 은그릇을 주방 찬장에 방치하듯 올려놓은 채 2년이 지났습니다. 그러다 어느날 호사스런 그릇이라도 있는 것인데 쓰자 싶어서 꺼냈더니 녹이 가득 슬었더군요. 인터넷을 뒤졌더니 은박지와 함께 넣어서 물을 데우면 녹이 제거된다고 하기에 따라했습니다. 녹이 없어지기는커녕 작은 은잔만 갈라지고 말았습니다.


그런데 요즘 금방엔 은을 닦는 크림은 팔지 않더군요. 대여섯군데는 들렀는데 어느곳에도 팔지 않았습니다. 인터넷 쇼핑몰에 보니 5000원 정도 하는 은녹제거 크림이 있더군요. 주문을 할까하다가 치약으로도 은녹을 제거할 수있다니 한번 해보자 싶었습니다. 인터넷에서 얻은 정보로는 치약으로 닦을 경우 은의 표면이 거칠어질 수 있다는 내용이 있지만 은박지로 하다가 작은 잔은 갈라지는 피해를 입기도 했는데 그까짓 거칠어지는 것쯤이야 하며 마당 햇살드는 쪽에 앉아 열심히 닦았습니다. 그랬더니 완벽히 원상복구까진 아니라도 거의 제모습으로 돌아왔습니다. 진작 치약으로 할걸하는 후회가 들었습니다.

한가지 교훈을 얻었습니다. 싸든 비싸든 아끼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처음부터 계속 사용했더라면 녹도 슬지않았을 것이고 그동안 은으로 밥을 먹는 호사도 누렸을 터인데 말입니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오랜 만에 큰 아이가 다니던 초등학교에 가보았습니다. 작은 아이는 유치원을 다녔을 때이니 벌써 4년이 지났습니다. 작은 아이가 학교 축구부에서 방과후 활동을 하는지 아빠에게 자신의 축구실력을 보여주고 싶다고 해서 학교에서 가까운 시내에서 시장도 볼겸 큰 아이 예전에 다니던 학교로 놀러갔습니다.

그런데 학교는 많이 변해있었습니다. 학교에 들어서자 초록색 잔디에 나무색 트랙이 먼저 눈에 들어왔습니다. 큰 아이가 "야, 학교 많이 변했네."하며 감탄했습니다. 자신이 옛날에 다니던 학교가 이렇게 멋지게 변한 게 마음에 들었나 봅니다. 옛추억을 떠올리고 싶은지 먼저 혼자 학교를 한바퀴 돌고 싶다고 했습니다.

작은 아이와 나도 '이게 웬 횡재냐'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먼지가 풀풀 날리는 모래운동장이 아니라 잔디에서 축구를 할 수 있다고 여겼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그것이 어리석은 착각이란 것을 금세 알게되었습니다. 축구장 둘레에는 철망이 쳐져 있었는데 문은 모두 잠겨있었습니다. 토요일 오후 이곳에서 공놀이 하고 싶은 아이들이 많이 있을 텐데 왜 이 좋은 공간을 폐쇄해놓는지 이해가 안 되었습니다.

한쪽 구석 좁은 공간에서 몇몇 아이들이 공놀이를 하고 있는 모습이 눈에 띄었습니다. 그곳도 인조잔디를 깔아놓았는데 우리가 같이 들어가 공놀이하기엔 불편할 것 같아서 그냥 트랙에서 공을 주고받으며 놀았습니다. 그런데 트랙에는 아이들이 자전거를 타고 왔다갔다해서 마음놓고 공을 찰 수가 없었습니다.

참, 트랙은 공설운동장 등에서 사용하는 재질이 아닌 콘크리트 바닥이었습니다. 달리기 좋게 표면이 약간 거칠긴 했지만 잘못해 넘어지면 크게 상처를 입겠다는 생각이 드는 그런 트랙이었습니다. 옛날이 많이 타고 놀던 그네는 없어졌습니다. 막내가 그네타는 것을 좋아하는데 아쉽게 되었습니다. 하는 수없이 미끄럼틀만 몇 번 타고 말았습니다.

큰 아이가 막내를 보는 사이 작은 아이와 나는 축구공으로 농구를 하였습니다. 그런데 조례대 위에서 어떤 선생님이 막 소리를 지르기에 보았더니 교문 입구쪽 운동장 잔디밭에 여학생들이 철망을 넘어 들어와 있었습니다. 그 선생님의 고함에 주춤주춤 일어서서 다시 담을 넘어 나갔습니다. 그 선생님이 한참이나 서 있다가 들어가자 족구장에서 축구를 하던 아이들과 자전거를 타던 아이들과 어디서 왔는지 몇몇 아이들이 학교 교실쪽 철망 문을 열고 들어가 축구를 했습니다. 그 문은 자물쇠로 잠겨 있었는데 안쪽에서 열 수 있게 되어 있었습니다. 아이들이 손을 넣어 열고 들어갔던 것입니다. 우리도 문을 따고 들어가서 축구를 할까 하다가 학교측에서 들어가지 못하게 해놓은 것 같아서 그냥 포기하고 돌아왔습니다.

예전엔 이 학교에서 아이들이 수업을 마치면 자주 놀러와 자전거도 타고, 공놀이도 하며 운동장을 몇 바퀴나 돌면서 마음껏 놀았는데 학교가 참 많이 변했습니다. 큰 아이는 "학교가 축구에 더 많이 신경을 쓰는 것은 좋지만 축구부가 아닌 일반 학생이 마음껏 놀 수 없게 운동장이 변했다"며 우려했습니다. 오랜 만에 모교를 찾은 아이에게 멋지게 변한 초등학교는 오히려 불만의 대상이 되어버렸습니다.

인조잔디로 변한 학교 운동장엔 더 이상 자전거가 들어갈 수 없습니다. 인라인 스케이트도 들어갈 수 없습니다. 또 철망 밖에서 공놀이를 하다 공이 안쪽으로 들어가면 하는 수없이 담을 넘어야 하는 비교육적 장면이 연출될 수밖에 없습니다. 학교는 특기 교육을 위한 예산으로 학교 운동장을 멋지게 만든다고 이렇게 했을지 모르지만 이로 인해 더 많은 학생들이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점은 생각지 않은 것일까요.

운동장을 인조잔디로 조성한 것까진 좋은데 철망을 쳐놓는 바람에 학교를 망치게 됐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러니 방과후 노는 아이들은 줄어들고 구석구석에 중학생들이 모여 시간을 보내거나 또는 남녀학생들이 낯뜨거운 장면을 연출하기도 해 지나다니는 사람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모양입니다. 이런 학교 어찌 다시 공을 들고 놀러 갈 수 있겠습니까.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양볶음탕. 음식이란 게 기존에 있는 음식만 해먹으란 법 없듯, 몽골 음식 호르혹그 만들듯 양고기에 감자 당근을 넣고 한국 음식 돼지불고기 양념을 넣어 닭볶음탕 하듯 음식을 조리했다.

양고기는 몽골산이다. 그래서 그런지 몽골에서 호르혹그를 먹을 때의 맛도 나는 듯하다. 몽골산 양고기는 함안 칠서에이스아파트 슈퍼에서 산 것이다. 마산에는 합성동에 양고기를 파는 식당이 있다. 1.8킬로에 1만 3000원 정도이니 돼지고기보다는 좀 싼편이다. 불과 두 달 전만 하더라도 뼈없는 양고기(1만 1000원)를 팔았는데 무슨 영문인지 지금은 뼈있는 양고기만 판다.

뼈있는 양볶음탕은 감자탕을 먹는 분위기도 있다. 뼈 사이에 낀 살을 빼먹는 기술을 그대로 적용하면 된다. 그러나 돼지뼈보다 뼈 사이의 틈이 좁기 때문에 얼마 정도의 살은 포기할 수밖에 없다.

양고기에 돼지불고기 양념을 넣어서 맛이 독특하다. 양고기의 비릿한 맛이 훨씬 줄어들어 오히려 한국인의 입맛에 맞을 수도 있겠다. 양고기를 잘 먹지 않는 한국인에겐 양고기에 배인 특유의 양냄새가 거북할 수 있겠으나 음식을 이렇게 해놓으니 양냄새가 많이 가셨다. 대파 한뿌리를 잘라 넣으니 더욱 한국형에 가깝다.

원래 호쇼르를 해먹으려 했다. 호쇼르는 밀가루를 반죽해 납작하게 펼쳐 그 속에 양고기만을 넣고 큰 군만두처럼 싸서 기름에 튀겨 먹는 음식이다. 양고기의 뼈 때문에 양볶음탕으로 방향선회를 했지만 오히려 새로운 음식 맛을 경험하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새로운 음식을 해먹는 것, 삶의 즐거움이다. 비록 실패했다 하더라도.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