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299)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7)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4)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11-25 05:53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Отрын адуучин

Удмын хурдан хүлгийн давхианд
Уургын үзүүр салхи исгэрнэ
Уулын нугийн өвс нь сугсраад
Дөрөөн таваг шүргэн байна аа
Адуу минь зүсээрээ сайхан байна даа
Адуучин би жаргаж явна даа

Өвс нь халиурч ус нь харзлаад
Уулсын дундаа дулаахан байна аа
Туулай сайхан зоо нь сортоод
Түмэн агт минь тарган байна аа
Адуу минь зүсээрээ сайхан байна даа
Адуучин би жаргаж явна аа

Зөөлөн салхи нь хацар илбээд
Зуны түрүүч хавар ирэхээр
Зуун түмэн адуугаа туугаад
Заяаны амраг чамдаа очино доо
Адуу минь зүсээрээ сайхан байна даа
Адуучин би жаргаж явна аа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농지에 대한 논의 논쟁은 박정희 때부터 있어왔습니다. 정책은 농지를 더 개간하고 품질 좋은 작물을 개발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었죠. 그러다가 세월이 흘러 농업이 천시(?)되는 시대가 오고 농촌에는 빈 가구들이 늘어났습니다. 농촌인구는 감소하고 놀리는 논밭이 늘어난 데다 방치되기 시작했지요.

정부는 이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 농지를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끔 규제를 푸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그래서 주말농장이나 관광농원을 만들게 하고 벼 대신 관상수를 심어도 되게 하고, 그도 어정쩡한 지역의 논밭이면 택지나 공장농지로 바꿔 토지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는 구상이었습니다. 그에 관련한 기사가 1992년 8월 1일 경남매일에 실려있었습니다.



경남매일 2002년 8월 1일자, 1면 가로제목 2단 기사

休耕地 공영개발
주말農園·공장용지로 轉用
농림수산부, 法제정 추진

농촌인구 감소로 늘고 있는 휴경농지를 다른 용도로 적극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농협이나 농어촌진흥공사, 지방자치단체로 하여금 공영개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농림수산부는 31일 놀리는 논밭을 계속 방치할 수만은 없어 공영개발을 검토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특별법을 재년 초까지는 만들어 시행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농림수산부의 이 같은 방침은 휴경지의 개발을 통해 해당 농민의 소득과 국토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나 농업축소 정책이라는 반론과 함께 투기로 악용이 우려되는 측면도 있다.

이 방안에 따르면 공영개발된 휴경지는 세 가지 방향으로 활용되게 된다.

첫째는 ‘도시·농촌교류형’으로 주말농장이나 관광농원, 효도농원, 연수원 등으로 개발하는 것이며 두 번째는 ‘농업적 이용형’으로 과수원, 관상수, 특용작물단지로 활용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非농업적 이용형’으로 1, 2차 유형에 적합하지 않은 곳을 택지나 공장용지로 전용하는 것이다.

정부는 휴경지의 공영개발 방식을 두 가지로 구상, △농협이나 각 시·군 등이 공영개발을 한 후 농민들에게 분양하거나 △농민들이 도시의 재개발조합 같은 공영개발조합을 만들면 농협, 농어촌진흥공사 등이 개발을 대행해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 같은 개발이 이루어지면 주말농원 등 관련시설을 도시인에게 임대, 농민들이 소득을 얻을 수 있다는 것.

농림수산부는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농지관리기금에서 개발비를 저리로 융자해주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농어촌진흥공사는 6월부터 전국의 휴경지 실태조사를 벌이고 있다.

이 방안은 그러나 각 지방자치단체의 무분별한 지역개발의욕과 투기꾼들의 참여가 얽히면 부작용을 빚을 우려도 적지 않아 투기방지책 마련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지난 89년 2만6천여 정보에 불과했던 유휴농지는 지난해 6만 7천여 정보로 크게 늘어났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나무도 병이 드니 정자라도 쉴 이 없다
  호화히 서 있을 젠 올이갈이 다 쉬더니
  잎지고 가지 꺾어진 후에는 새도 아니 앉는다
  (정철시조)



 바로 정승집 개가 죽으면 문상객이 들끓어도 정작 정승이 죽으면 개미새끼 한마리 얼씬도 않는다는 말이 생각나는 시조입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권력에 집착하는 것일까요? 사람들의 관계가 복잡한 요즘 세상은 더 그런 것 같습니다. 어제 트위트에 대한 강의를 들었는데 이 트위터가 꼭 그런 관계의 대표적 사례인 것 같습니다. 사람들은 요즘 SNS, 즉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을 중요시합니다. 관계를 맺은 사람이 많을수록 힘이 있다는 것을 과시하는 것처럼 보이니까요.

 트위터를 하는 사람 중에는 글은 별로 올리지 않으면서 친구맺기를 위주로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밥보다 밥그릇에 관심이 많은 사람과 별 다르지 않습니다. 심한 경우엔 '맞팔'해주지 않으면 협박(?)까지 한다니 이쯤이면 병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이런 사람이 달을 가리키면 달은 안 보고 꼭 손가락이 어쩌니 저쩌니 따지는 사람들이겠죠.

 사람은 본능적으로 자신의 이익을 좇게 되어있습니다. 그걸 인정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최소한의 의리는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말하자면 정승이 죽어도 문상을 가는 사람 정도는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염량세태가 만연한 지금인데 오히려 이에 반대되는 현상을 우리는 얼마전에 경험했습니다. 바로 '영원한 대통령 노무현'의 경우입니다. 사망 후에 오히려 더 많은 사람들이 그의 사상을 지지하며 슬퍼하였죠. 아마도 권력을 국민에게 많이 나누어주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참여정부'의 권력나누기 말이죠.

 병이 든 나무가 되살아 나면 다시 초록의 울창함을 과시할 날이 오겠지요. 아마도 떠났던 사람들이 눈치를 이리저리 보면서 찾아올 겁니다. 받아들이는 것이 나을까요? 아니면 내치는 것이 나을까요?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