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18)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8)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5)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59)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8-04 12:3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함세덕의 '동승'은 학사졸업논문으로 썼던 소재다. 그래서 이 부분을 읽으면서 당시 내가 생각했던 것과 자연히 비교를 하게 되었는데... 부끄럽게도 함세덕을 너무 모른 상태에서 그의 희곡을 다뤘다는 자괴감? 미안함? 뭐 그런 감정이 솟는다.




'동승'이 줄거리의 특성에서 볼때나 작품의 플롯 구조에서 볼때 완벽한 구조를 갖춘 작품이라고 하는데 그 이유가 이런 차원이다.


"희곡의 줄거리란 이러한 인간의 삶의 실상을 그 재로로 하여 플롯이라는 이노가적 질서의 논리로 구성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내용으로서의 줄거리가 플롯이라는 인과적 논리 질서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통일성, 전체성, 연속성, 인과성이라는 줄거리 전개의 특성에 의하여 플롯이 될 때 하나의 유기체로서 완성된 희곡 작품이 이룩되는 것이다."(희곡의 분석과 공연비평 77쪽)


'동승'의 플롯구조.


1. 도념이 추부에게 자신의 어머니가 언제쯤 오느냐며 묻자 초부는 내년 봄보리 필 때 쯤이면 올 것이라고 발뺌을 함


2. 도념이 절을 찾은 과부와 새댁에게 서울의 안대가집 아가씨가 자기 어머니와 똑같이 예쁘다고 자랑함


3. 총각이 노인에게 도념의 출생 비밀을 얘기하자, 도념은 모두들 자신의 어머니 사시는 곳을 가르쳐 주지 않는다며 투덜댐


4. 초부의 아들 인수가 도념한테 자기는 토끼를 잡을 덫을 놓고는 자신을 산문으로 들여보내지 않는다며 서로 실랑이를 벌임


5. 도념이 상좌승 정심에게 자신의 어머니가 어떻게 생겼는지 얘기를 해달라고 조름


6. 안대가집 미망인이 자신을 양자로 삼아 서울로 데려갈 뜻을 비추자 도념은 주지스님께 잘 말씀드려 그렇게 되게 해달라고 부탁함


7. 도념은 인수 아버지인 초부에게 서울로 가게 됐다고 기뻐하면서 덫 놓은 것을 보러 가겠다며 비탈길을 내려감


8. 미망인이 주지에게 도념과 함께 서울로 가겟다고 조르자 주지는 도념이 자기 어머니의 업보까지 공덕으로 쌓아야 한다며 생각할 수 있는 말미를 달라고 함


9. 주지가 덫에 걸린 토끼를 누가 잡았느냐고 도념에게 추궁하자 초부가 자신이 그랬다고하여 위기를 넘김


10. 주지가 서울로 보내겠다는 뜻을 비치며 도념한테 그동안 몸과 마음을 정리하라고 이름


11. 초부의 아들 인수가 달려와 주지에게 법당 관세음보살 뒤를 살펴보라며 도념의 살생을 일러바침


12. 과부와 새댁, 그리고 미망인의 친정모가 뛰어나오며 미망인에게 존상 뒤에 죽은 토끼를 발견했다며 도념의 짓임을 알고 법석을 떰


13. 주지가 도념에게 그 사실을 추궁하자 자신의 어머니가 데리러 올 때 드리려고 그랬다고 실토함


14. 주지가 지신의 어머니가 야차같다고 비난하자 도념은 이 절에 있기 싫다는 강한 뜻을 내비침


15. 주지가 미망인에게 도념을 데리고 가는 것을 포기하라고 하자 도념은 다시 이 절을 떠나겠다는 강한 뜻을 내비침


16. 미망인은 하는 수 없이 도념에게 한 달에 한 번씩이라도 보러 오겠다는 약속을 함


17. 도념은 주지스님에게 잣을 몰래 선물한 뒤 절을 떠나기 위해 비탈길을 내려감


그래 그랬다. 동승을 읽을 때 단편소설을 읽는 듯한 그런 느낌. 그래서 매력을 느꼈더랬다. 도념이 절에 찾아온 부인에게서 어머니의 향수를 느끼고 서울로 양자가 되어 가고 싶었으나 이런저런 일 때문에 일이 이루어지지 않자 절을 떠라는 그 장면까지. 드러난 사건보다 오히려 그 전의 사건들과 이후의 사건들이 어떻게 이루어질지 더 궁금했고 상상했던. 그런 희곡. 그래서 매력을 느꼈을 터이다.


대학 다니며 단 한 편 연출을 잡은 적이 있었다. 배우로 나설 후배들이 별로 없어 하는 수 없이 유진오닐의 '몽아'를 선택했더랬다. 하지만 배우의 수에 맞추다 보니 작품이 내 성에 차지 않았다. 진작에 '동승'을 알았더라면 무리를 해서라도 이 작품을 잡았을 것이다.


지나고 나면 모든 게 후회의 덩어리일 뿐인 모양이다. 내 강렬한 욕망은 스무살 시절로 회귀하고자 하나 이미 내 몸은 조금만 뛰어도 관절염을 호소하는 노친네 반열에 느닷없이 들어서버린 것을.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함세덕의 <무의도 기행>은 복합적인 갈등 양상을 취하고 있는 극이다. 알다시피 갈등은 희곡에서 아주 중요한 개념으로 여러 사건들이 인과적인 질서에 의해 플롯이 형성된다.


하지만 주인공이 갈등의 핵심에 서 있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무의도 기행>에서 주인공 천명은 갈등의 주체가 되지 모사고 그를 둘러싼 여러 인물들의 복합적인 갈등의 결과에 의해 희생된 인물이다.그래서 결과적으로 극은 비장미를 띠게 된다.


평론가들이 말하기를 이 작품은 성격에 의해 흘러가는 드라마가 아니라 사건들에 의해 이야기가 진행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줄거리 드라마'라고 한다. B.아무스트가 지은 <드라마분석론>에서 이 양반은 "성격 드라마는 대단히 좁은 범주의 드라마로서, 그 안에 중요도가 비슷한 성격이 동시에 다수가 있을 가능성을 배제하고 있으며, 수동적인 위치에 있는 주인공이 나타나는 작품은 결코 성격 드라마로서 인정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성격 드라마에서는 주인공이 모든 줄거리의 '주된 원인'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줄거리가 중요한 구실을 하는 작품들을 줄거리 드라마라고 하는데 이 드라마는 줄거리를 그 주된 관심사로 삼고 있다."고 했다.


<무의도 기행>의 플롯 구성을 베낀다. 책 56~58쪽.


1막


1. 큰떼무리의 한의 구주부와 그의 딸 희녀가 항구에서 돌아오는 낙경과 그의 아들 천명을 기다리면서, 구주부는 희녀에게 천명의 좋은 점을 얘기하지만 희녀는 떨떠름한 반응을 보임


2. 배를 기다리면서 구주부는 천명의 어머니인 공씨에게 천명과 희녀의 결합을 요구하지만 공씨는 선주이며 자신의 동생인 공주학과 의논해 보아야 한다며 확답을 못함


3. 공주학의 중선에서 동사로 일하는 성서방이 배 타는 것을 그만 두겠다고 하자, 공씨는 그렇게 되면 자신의 아들 천명이 배를 대신 타야할 것이라며 걱정함


4. 천명을 집으로 데리고 와서 낙경이 닥달질을 하자 공씨가 이를 말림


5. 공주학이 낙경에게 구주부가 천명을 데려다가 일을 부려먹을 속셈이라며 자신의 배에다 천명을 태울 것을 권유함


6. 낙경과 구주부가 천명의 거취 문제를 두고 서로 실랑이를 벌임


7. 자신의 아내인 공씨가 천명이 배 타고 나간다는 것을 싫어한다고 하자, 공주학은 낙경에게 새로 발동선을 구입하여 천명에게 기술을 가르치겠다고 함


8. 낙경이 천명이를 공주학의 배에 태우겠다고 하자 공씨는 천명이에게 물어보지도 않고 혼자 결정한 것에 대해 못마땅하게 생각하며 서로 다투다가 천명에게 묻자, 천명은 마지못한 듯 배를 타겠다고 함


9. 판성이 중국 천진에 딸 팔아먹은 일에 대해 신세 한탄을 하자, 천명이 돈을 벌어 누나 몸값을 갚아주고 찬아오겠다며 결심을 굳힘


2막


1. 노틀할아범이 천명 아버지인 낙경의 화려한 옛 어부 시절을 동료들에게 애기함


2. 낙경이 거듭되는 사고와 실패로 결국은 딸까지 팔아 제기하려고 했으나 헛수고였다며 노틀할아범이 과거를 회상함


3. 공주학이 출어의 기쁨을 낙경 부부에게 얘기하고 있을 무렵 희녀가 달려와 자신의 아버지가 낙경에게 급히 할말이 있다고 얘기하더라고 전해줌


4. 구주부가 공씨에게 달려와 공주학이 배에 난 구멍을 임시로 땜질했다고 성서방이 얘기하더라고 일러주자 공씨는 놀라 선창 쪽으로 달려감


5. 판성이 천명이 때문에 공주학의 배를 못타게 되었다고 투덜대자, 구주부가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하자 판성이 좋아서 어쩔 줄을 모름


6. 공주학이 낙경 부부에게 구주부의 말을 곧이곧대로 믿고 자신을 의심한 사실에 대해서 분개하며 앞으로는 도움을 못주겠다고 하자 천명이가 꼭 배를 탈 수 있게 되기를 애원함


7. 천명이 뭍에서 일해 돈을 벌게 해달라고 애원하자 낙경 부부는 이를 완강히 거절함


8. 천명이 두 형이 배에서 죽고 팔려간 누나가 절대로 배를 타지 말 것을 부탁했다며 애원해도 낙경 부부는 이를 완강히 거절하며 배를 탈 것을 종용함


9. 천명이 부엌칼을 들고 배를 타지 않겠다고 시위를 하자 낙경이 자신을 찔러보라고 목을 내밀자 천명은 어쩔 수 없어 오열하기 시작함


10. 천명이 배를 타고 나가자 정한수를 떠놓고 무사귀환을 기도하며 조용히 오열함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보도자료를 받아도 내가 문화면 기사를 쓰는 것이 아니라 대체로 읽고 그냥 넘어가거나 참고해서 보러가거나 그랬는데, 괴암 김주석전은 보러 갈 시간은 없어도 기록으로 남겨놓아야겠다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아래 글은 내가 따로 본 것을 쓰는 게 아니라 보도자료를 거의 그대로 옮긴 것이란 것도 명토박아놓는다.


이달 25일까지 진해문화센터 1층 전시장에서 괴암 김주석전이 열리고 있다.


유화 30여점을 비롯해 다양한 작품이 함께 전시된다.




‘휴머니스트 김주석 - 자유상상화를 들려주다’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괴암 김주석전’은 고 김주석 화백의 화가로서의 작품성과 미술교육자로 남긴 흔적, 항일정신 등 김 화백 이 남긴 정신적 유산을 새롭게 조명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  광복 후 1세대 화가의 삶을 재조명해 지역의 예술적 가치와 지역문화사를 널리 알리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고 김주석 화백(1927~1993)은 1927년 8월 22일  진해시 경화동 604번지에서 태어나 일곱살때 외사촌형으로부터 수묵과 서예를 배웠다. 1943년 1월 항일결사대 학우동인회를 조직해 일본 총독 암살을 계획하다가 1944년 1월 경성전기학교 재학중 진해헌병대에 체포, 고문을 당했다.



석파, 괴암으로 불리었던 김주석은 흑마회의 창립회원으로 1952년부터 지역미술활동을 시작하여 마산미술협회의 사무국장, 지부장, 경남미술교육연구회의 사무국장과 마산지회장, 마산 무학화가회의 고문, 중등미술교사 모임인 애동인(愛同人)의 창립회장을 지냈으며 문교부장관 미술교육공로상, 예술부문의 마산시 문화상, 미술교육 46년간 종신 공로상으로 대통령 훈장을 받았다.


고 김 화백은 1958년 10월 화인 김수돈과 함께 흑백다방에서 시화전을 열었고 1960~70년대 군항제 기간인 4월 흑백다방에서 진해미술협회가 매년 주최한 <초청작가전 및 재진작가전>에 초대되어 8년간 (1966년 제2회, 69년, 70년, 71년, 74년, 76년, 77년, 79년) 출품하는 등 흑백다방과의 관계도 각별했다.


이번 전시회의 입장료는 무료다.


문의 창원문화재단 전시사업팀(055-719-7833).


다음은 경남도민일보 기사



아래는 김주석 화백에 대해 더 깊이 알 수 있는 경남도민일보 최환석 기자의 글. '떠난이의 향기' 링크.


http://www.idomin.com/?mod=news&act=articleView&idxno=512154&page=9&total=25137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