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298)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6)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4)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10-06 08:5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함세덕의 '산허구리'는 여러 논문에서 뛰어난 드라마트루기를 보여주는 작품이라는 찬사를 받고 있는 작품이다. 양승국은 "190년대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각 등장인물이 모두 개성적으로 살아있으며 모든 사건 진행이 전진적 모티프에 의해 현재화되어 리얼리즘 무대가 취할 수 있는 최대한의 '극적 가상'을 부여해주고 있는 작품이다."


장혜전은 또 이렇게 평가한다. "함세덕의 극적 언어는 극의 상황이, 과거의 일들이 누적되어 현재의 상황으로 집약됨을 보여주기에 적절하다. 이것은 특히 단막극에 적합한 언어로, 인물의 성격에 어울리면서 압축되어 있어 극의 전체 행동과 밀착되고 극의 초점으로 곧바로 이끌고 들어가는 데에 효과적이다. 함세덕의 연극 언어는 인물에 적합한 언조와 긴박한 상황에서 오히려 저속한 말을 사용하는 등 비극성을 서민적으로 현실감 있게 처리하고 있다."


'산허구리'를 아직 읽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논문에서 분석한 플롯구조부터 본다는 게 희곡 공부에 도움을 반감시키기는 하겠지만 역으로 구성부터 파악하고 장면의 전환이 의미하는 바를 읽어낸 다음 희곡을 읽는다면 그 또한 공부에 도움이 못될 것도 없겠다 싶다.


함세덕 월북 직전에 찍은 사진.


그의 초기 작품인 '산허구리'와 '문의도기행'은 현실인식의 적극성이 드러나는 작품이다. 하지만 당시 현실적인 상황에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한 채 비극적 결말을 맺는 한계도 보여주고 있다는 평이다.


다음 글은 줄거리를 모티프에 의해 요약한 것이다.


1. 어머니(노어부의 처)가 파도 소리가 점점 높아지자 고기잡이를 나갔다가 아직 돌아오지 않는 작은 아들(복조)을 염려하며 애타게 기다림


2. 다른 배들은 돌아왔는데 복조가 탄 배는 돌아오지 않자 어머니는 바다에서 죽은 큰아들과 분아범(큰사위), 상어 이빨에 왼다리를 물어뜯긴 불구의 남편을 떠올리며 신세를 한탄함.


3. 복실과 석이 남매가 술에 젖어 사는 아버지와 도적조개를 잡아 생계를 연명하는 시집간 문어미의 앞날을 걱정함


4. 복실, 석이, 어머니가 집을 방문한 윤첨지와 함께 얘기함. 윤첨지가 배가 파선했어도 복조만은 살아 돌아올 것이라고 위로하자, 어머니는 술에 젖어 사는 남편을 원망함


5. 복실이가 동리 아이와 함께 폭우로 인한 동리 사람들의 피해에 대해 얘기하며 막막한 자신들의 생활의 궁상에 대해 한탄함


6. 노어부가 고무신 하나 사달라며 투덜대는 막내 아들 석이를 때리며 행패를 부리자 어머니와 복실이 이를 말리며 술독에 빠져 사는 노어부를 공격함


7. 어머니가 저녁 바람이 불기 시작하자 복조 시체가 떠내려 왔을지도 모른다며 불길한 예감에 몸서리를 치기 시작함


8. 어시장 사람이 도적조개를 잡다 들킨 분어미를 데리고 와서 욕설과 행패를 부리자 어머니가 복실과 합세하여 대들기 시작함


9. 윤첨지가 떠밀려온 배의 널을 들고 와서 다른 배가 들어왔다고 말하자 어머니가 선창으로 내달림


10. 구사일생으로 살아돌아온 젊은 어부와 강원도 어부가 배가 폭우에 파선당하던 당시의 급박한 상황을 얘기하자 어머니가 그들에게 물을 끼얹으며 분풀이를 함


11. 석이가 간밤의 폭우에 시집간 누나 분어미의 집이 무너졌다고 걱정을 함


12. 어부들이 행길에서 불구의 몸으로 싸움질을 하는 석이 아버지의 모습이 안타까워 못보겠다며 얘기하기 시작함


13. 어머니가 실성한 모습으로 죽은 복조를 묻어줘야 한다며 연장을 챙기기 시작함


14. 분어미가 방문하여 여기서는 못살겠다며 항구로 나가 몸이라도 팔아 살아야겠다고 한탄함


15. 동리 사람들이 죽어 떠내려온 복조의 시체를 들고 오자 어머니는 실성한 모습으로 괭이를 들고 집을 휑하니 나가버림


16. 석이와 복실이가 괭이로 물을 파며 통곡하는 어머니의 모습을 먼발치로 바라보며 자신들이 왜 이렇게 사는지에 대한 원인을 한 번 생각해보겠다며 넋두리를 늘어놓음


"이 작품은 복조의 죽음이라는 극적 사건을 중심축에 놓고 전진적 모티프에 의해 전개되면서 강렬한 인상을 전달해주는 서정적 비극의 계열에 속한다."


<희곡분석과 공연비평>의 저자 김문홍의 평가처럼 단막극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는 작푸이다. "이 작품은 단일구설을 취하고 있으면서 모든 사건이 전진적 모티프에 의해 전개되고 있어 독자 관객에게 극적 기대감과 서스펜스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 작품은 드라마트루기가 뛰어난 작품으로 정평이 났는데, 극의 구성에선 완결에 있어선 흠이 별로 없을지 몰라도 스펙타클한 극적 반전이 없어 큰 재미는 없다. 드라마가 시작하는 순간 예상한 결말대로 순조롭게 흘러가는 플롯구성인 점이 한계라고 볼 수도 있겠다.


희곡 작성 시 생각지도 못한 합리적 반전을 끼워 넣는다면 50% 이상은 성공한 작품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그 반전을 만들어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언제 한 번 연극이나 영화에서 극적 반전만을 모아 따로 정리할 기회가 있으면 좋겠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