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18)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8)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5)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59)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7-16 13:17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활을 쏘기 시작한지 거의 두 달이 되는 모양입니다.  맨 처음 창원 용마정에서 소궁도대회를 연다고 해서 갔다가 나에게 어울리는 운동이다 싶어 거금 20만원을 입회비로 내고 바로 궁사의 길로 들어서버렸죠. 다른 건 활동하거나 활용하는 것에 비해 금액이 적당한 건지 이리 따지고 저리 따지고 하는 내 성격에, 어찌된 영문인지 대뜸, 단 한 번도 활을 만져보지도 않고 20만원을 내어버린 것입니다.

아마도 일전에 보았던 영화 <최종병기 활>이란 작품의 영향도 있었겠지요. 그 영화를 봤을 때만 해도 별로 궁도를 하고싶다는 생각까진 들지 않았는데 취재차 그냥 용마정에 갔다가 실제 활을 쏘는 모습을 보고 반해버린 거지요.

제법 나이 드신 어르신들도 활을 쉽게 당기며 화살을 날리는 겁니다. 나도 저정도는 안 하겠나 생각이 들었지요. 이야기를 들으니 과녁까지 거리가 145미터라고 하는데 뭐, 과녁이 내 키보다 더 크니 맞추는 거야 별 어려울 것 없겠다는 자신감(?) 같은 것도 들었고요.

그러나 실제로 활을 당기면서부터 쉽게 보았던 건방짐이 얼마나 부끄러워지는지... 그것은 지금 손목과 손가락의 고통, 또한 부족한 팔힘에 대한 한심스러움, 뭐 이런 걸로 대가를 치르고 있습니다.

두 달이 되면서 가장 고통스러운 것은 왼쪽 엄지손가락 마디입니다. 이 손을 깍지손이라고 하는데 나는 수깍지 중에서도 턱깍지를 낍니다. 수깍지는 엄지손가락을 굽히지 않고 쭉 펴서 현을 당기지요. 대신 깍지가 마디에 걸리고 수깍지의 코를 검지와 중지 일부로 쥐게 됩니다.

현은 원래 제자리로 돌아가려는 힘이 작용하고 그것을 강제로 끌어당기는 것은 거의 엄지손가락 마디인데, 이 마디가 쉽게 고통을 극복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매일 안티프라민을 바르고 마사지를 해도 나을 기미를 보이지 않습니다.

손가락 모양새도 문제입니다. 마디가 굵어야 하는데 깍지를 꽉 죄이는 것으로 샀는데도 마디를 지나 깍지가 빠져버리니 현을 제대로 당길 수도 없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위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가죽이나 쐐기를 끼우는데도 피가 통하지 않는 고통은 받으면서도 자꾸 미끌려 깍지가 빠져버리니... 어쩌라고! 하는 마음입니다.

손가락 마디도 마디지만 오른손, 이손은 궁도에서 줌손이라고 합니다. 활을 밀어 쥐는 것이 아니라 받쳐 쥐는 것인데, 이렇게 하려면 손목이 꺾여야 합니다. 그런데 이마저 나는 핸디캡을 지니고 있습니다. 수년 전 농구를 하다가 잘못 받는 바람에 꺾였는데 뭐 별거 아니라고 생각해 치료를 않았는데 세월이 지나면서 여기서 발생하는 고통 역시 이만저만이 아니더군요.

우궁을 할 때엔 팔꿈치가 자꾸 돌아가서 문제더니, 좌궁으로 바꾸고 나서도 이런저런 불편들이 속속 불거지네요. 나는 활이랑 궁합이 맞지 않은가 고민 중입니다.

활을 당기기가 고통스럽긴 하지만 처음 화살을 쏜 날 1개를 맞췄고, 둘째날은 다섯 발 중에서 1발, 셋째날엔 다섯발 중에서 2발, 넷째날은 오늘은 도로아미타불이 되어 열다섯발 중에 한 발을 맞췄습니다. 처음으로 다시 돌아가버렸습니다. 기사 쓸 게 있다보니 시간상 마음이 급하니 명중률도 떨어진 것 같습니다.

아무렇게나 살을 보낸다는 느낌이 자동적으로 들었습니다. 손가락이 아프니 궁력도 떨어지는 것 같고 하루 쯤은 다른 운동으로 체력을 보충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경남도민일보 뉴스전송 20111117

창원 석전 지하차도
이달말 드디어 개통

민간인학살 규명 활동
간첩누명 숨진 김영욱
28억원 국가배상 선고

분식회계 거래중지 신텍
상장폐지 실질심사 대상

도의회 행정사무감사
"창원시발생 통합잡음
타시도통합에 걸림돌"

어린이집 위탁반대 대책위
"확실히 하라" 시청서 농성

'관급공사 임금체납 방지'
함안의령군의회 조례통과

"내서고속터미널 불편해요"
도착시각 제각각…BIS필요

"행암선 화단말고 자전거길"
시민단체 관광자원화 제안

"건보료 소득중심 단일화"
복지부 부과 개선안 발표

"성매매1번지 상남동 방치?"
대책 요구에 당국 묵묵부답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활을 처음 배울 때엔 국궁의 기본 자세를 배웁니다. 발은 어떤 형태로 하며 손가락은 어떻게 놓고 줌손과 깍지손은 어떻게 잡으며 고개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 자세인가 상세하게 지도를 받습니다.

그런데 여러차례 활터를 다니며 다른 궁사들이 활을 쏘는 모습을 보면 꼭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궁사들마다 발의 위치도 제각각이며 줌손을 잡는 방법도 조금씩 차이가 있고, 거궁할 때의 자세도 저마다 다릅니다.

내가 궁도 사범으로부터 정석으로 배운 자세를 공개합니다.

가장 먼저, 발의 위치입니다. 내가 좌궁이므로 좌궁을 기준으로 말씀을 드리죠. 오른발은 새끼 발가락쪽 방향이 과녁을 향하도록 하고 오른발은 편안하게 45도쯤 펼쳐 어깨넓이만큼 벌이되 몸의 무게중심을 양쪽 발에 골고루 분산시킵니다. 몸을 앞쪽으로 기울듯 하라는 궁사도 있는데 이는 초보 경험상 좋은 자세는 아닌 듯합니다.

그리고 오금과 괄약근에 힘을 주면 좋은데, 이는 활을 당길 때 근육의 피로 때문에 몸이 흔들리는 것을 막기 위함입니다.

활시위를 당길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줌손입니다. 손등 방향으로 쥐어짜듯 돌려야 하는데 초보로선 쉬운 일이 아닙니다. 한 일주일 정도하면 가운데 손가락부터 새끼 손가락까지 안 아픈 게 없습니다. 그만큼 활을 잡을 때 힘이 많이 들어간다는 얘기지요.

깍지손은 현을 당기는 손인데 엄지손가락에 깍지를 끼고 시위를 당길 땐 엄지손가락 마디의 고통이 예사가 아닙니다.

깍지에 현을 걸어 완전히 당기는 것을 만작이라고 하는데 만작을 취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머무는 것을 '유전'이라고 합니다. 이 상태에서 보통 5~6초 견딘 다음 시위를 풉니다. 만작 상태에서 5초를 견디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특히 자신의 신체조건보다 한 단계 위 세기의 활을 사용할 때엔 더욱 그렇습니다.

만작을 취할 땐 왼손 깍지가 입술과 턱 사이로 화살이 놓이게 당기되 어깨를 쭉 펼치듯해서 완전히 당겨야 합니다. 그리고 처음엔 힘들지만 깍지를 안쪽으로 비틀어야 합니다. 이는 화살이 날아갈 때 회전을 먹게 하기 위함인데 그냥 날아가는 것보다 훨씬 힘차게 발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고개는 보통 바로 세우나 약간 깍지손 쪽으로 기울이는 게 좋습니다. 이렇게 되면 화살이 뺨에 살짝 붙는 느낌이 있는데  이 위치를 항상 고정시켜야 과녁을 향한 조준에 변화가 줄어들어 명중률이 올라갑니다.

주의할 것은 줌팔을 활의 줌통을 잡고 미는데 '전추태산' 태산을 밀듯 하라고 하는데 힘이 든다고 어깨를 안쪽으로 밀어넣으면 안됩니다. 대신 팔꿈치를 살짝 안으로 돌리면 약간 편안하게 활을 지지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기본자세입니다.

두 눈은 과녁을 주시하고 좌궁일 경우 왼쪽 시각에 줌손의 엄지 아랫마디가 과녁의 오른쪽 위 모퉁이에 걸치게 조준하면 대체로 52파운드 정도 세기의 활 사용자에게 맞는 정조준이 된다고 합니다. 물론 셀제 발시를 하고서 자신의 궁체와 궁력에 맞춰 사각을 조정해야 되겠지요.

얼마전 마산 용마정에서 전국 활쏘기 대회를 했는데 각지에서 모인 궁사들의 활쏘기 모습을 동영상으로 감상하겠습니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