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24)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8)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1)
경남민속·전통 (15)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64)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9-16 00:0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아이를 편입학시키면서 겪었던 사정을 경남도민일보에 독자투고로 썼는데 그 글이 지난달 25일치 신문에 실렸습니다. 신문에 글이 실리자 마산교육청에서 연락이 왔습니다. 담당자가 너무 원칙대로 한다고 융통성을 발휘하지 못했는데 오시면 학교를 배정해주겠노라고.

더 핵심적인 발언은 학부모의 바람을 더 세밀히 살피지 못해 죄송하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글이 실린 다음날 교육청을 찾아가 아이의 편입학 절차를 밟아 학교 배정을 받았습니다.

결과론 적으로 말하자면 미리 학교 배정을 받을 수 있다는 문제를, 또 학교마다 관련 서류가 다른 것은 얼마든지 자체적으로 상호 연락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학부모가 항의하기 전에는 해결 안되는 것처럼 이야기되었다는 것입니다. 이것만 봐도 우리 교육이 얼마나 권위적인가 짐작케하는 방증입니다.

이 글을 신문에 투고한 덕분에 나흘 정도 앞두고 학교 배정을 받았고 교복도 미리 준비해 입을 수 있었고, 배정받은 학교 담당자를 미리 만나 편입학 절차를 다른 아이들의 일정에 맞춰 자연스레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고 전학한 것이 표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아이의 정신적인 부담을 덜었다는 생각에 마음이 편했습니다.

문제는 (그게 융통성인지는 몰라도) 학부모의 요구대로 할 수 있는 데도 불구하고 원칙을 내세워 거부하던 것을 했다는 것입니다. 신문에 실린 글 덕분에 교육청에서도 옳은 판단을 하게 되었다는 것이지요.

교육청에 갔을 때, 책임자와 만나 (녹차를 마시며) 교육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속이 후련할 정도로 머릿속에 담긴 생각을 풀어놓았습니다. 담당 책임자가 정중하게 받아들이는 자세여서 오히려 송구할 정도였습니다.

교육당국의 학부모를 생각하는 자세가 더욱 부드러워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학생을 둔 학부모는 결코 죄인이 아님을 세계 1위를 자랑하는 교육열풍의 나라, 대한민국의 선생님들이나 교육당국에서 실감해야할 덕목 아닐까요.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창원에서 마산으로 중학생 아이를 편입학시키면서 우리 경남의 교육행정 서비스가 너무 낙후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2개월 전 창원에서 마산으로 이사했다. 이사를 하고 새 주소지의 동사무소에 가서 전입 신고만 하니 모든 게 끝났다. 전 주소지의 행정기관을 찾아가 퇴거신고를 하지 않아도 되고 이런 저런 서류를 떼어 새 주소지 행정기관에 제출하는 일도 없이 한 번에 이전 절차가 마무리된 것이다.

이에 비해 중학생 아이의 편입학 문제는 간단하지 않았다. 물론 교육청과 학교의 손발이 맞지 않아 학부모가 고생을 더한 측면도 없지 않지만, 일반 행정과 달리 교육행정은 학부모를 이리 저리 부려먹는 양태를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마산으로 이사를 한 후 아이를 편입학시키려고 마산교육청에 전화를 했을 때 담당자는 편입학 관련 서류를 전에 다니던 학교에 가서 떼어 오란다. 학교에 가니 편입학용 재학증명서를 떼어 주었다. 마산교육청으로 가기 전에 혹시라도 더 필요한 서류가 없는지 싶어 한 번 더 전화를 했다. 그랬더니 학교에서 떼어준 서류는 안 된다며 다시 학교에 가서 다른 서류를 떼어 오란다.

학교에선 분명히 편입학용 재학증명서면 된다고 하고 이전지 교육청에선 안 된다고 하니 학부모로선 기가 찰 수밖에 없었다. 내가 잘못한 것도 없는데 공연히 한 번 더 심부름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니 짜증이 났다. "날보고 또 학교에 가라는 얘기요? 떼라는 서류가 어떤 건지 모르니 선생이 직접 학교에 연락해서 처리해주시오."하고 언성을 높였다. 그랬더니 그 학교에서 나에게 연락을 줄 거라던 담당자도 자기가 직접 나에게 결과를 알려주겠다며 좀 나긋해졌다.

나중에 학교에 알아보니 창원교육청에서 사용하는 서류와 마산교육청이 사용하는 서류가 달랐다. 경남교육청 산하 각 교육청이 편입학에 필요한 서류를 이렇게 달리하니 애먼 학부모만 고생하는 꼴이다. 경남교육청 관내에서 전학하거나 편입학하는 아이들이 적지 않을 터인데 이럴 때마다 학부모가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심부름을 해야한다는 것은 분명 구태일 것이다.

일반행정에서 전입의 경우 이전 주소지 관청에 신고만 하면 모든 게 일괄처리 되듯 교육행정도 가능할 듯한데 왜 그러지 않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굳이 아이의 편입학관련 서류를 학부모가 직접 학교에 가서 떼어 관할 교육청으로 갖다 주어야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 다는 말이다. 학부모가 새 주소지 주민등록등본을 학교든 교육청이든 제출하면 교육행정기관에서 일괄 처리해 학부모에게 결과를 알려주는 시스템이 아직 되어있지 않다는 말인가.

할 수 있는 데도 하지 않는 것이라면 교육당국의 나태 내지 거만일 터이고 아직도 그런 시스템을 갖추지 못했다면 행정이 낙후됐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원인이 무엇이든 학교의 일로 학부모가 이리저리 불려다니듯 심부름하는 행태는 하루빨리 사라져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청마다 서류가 제각각이라는 것은 행정의 낭비를 불러올 것이 뻔하므로 시정되어야 할 것이다.

사족일지 모르나 첨언하자면, 마산교육청에선 편입학 원서를 학생들이 모두 공부를 시작하는 3월 2일에 제출하라는데 이해가 되지 않는다. 책도 준비를 해야할 테고 교복과 체육복 등 학기를 시작하면서 편입하는 학교에 맞춰 이리저리 마련해야 할 것이 많은 법인데 그 전에 와봐야 소용이 없다는 건 순전히 행정편의가 아닌가.

아이가 복학했을 때 첫날부터 다른 아이들처럼 똑 같은 교복과 체육복을 입고 그 사이에서 어울리길 바라는 게 부모의 마음임을 교육행정 당국은 왜 모르는지. 학부모의 바람을 먼저 읽어주는 경남의 교육행정 서비스가 되었으면 좋겠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우리집 큰 아이 방 입구에는 A4지에 컬러로 프린트해 놓은 사진이 한 장 걸려 있습니다. 작년 내 생일 때에 퇴근하고 들어오는 데 컴컴한 거실에서 '폭죽봉변'을 당하는 장면입니다.

심술궂은 아이들의 표정과 깜짝 놀라 몸을 움츠리며 두려워하는 아빠의 모습이 적나라하게 잡혔습니다. 사진은 아내가 찍었는데 이정도의 순발력이면 사진 가지고도 먹고 살지 않을까 싶습니다. ^^

여하튼 아이들이 이 사진을 좋아하는 이유는 한가지입니다. 엄한 아빠의 허점이 아이들에겐 그렇게 통쾌할 수 없는 것이니까요.

생활하면서 조금만 흐트러진 모습을 보여도 지적하고 공부 역시 일정한 시간동안 하지 않으면 야단을 치고, 과자를 나눠먹지 않거나 이기적인 모습을 보여도 엄하게 나무라니까요. 특히 논쟁을 할 때엔 한 번도 아이들에게 지지 않으니까 더더욱 공포에 질려있는 이런 아빠의 모습이 좋은 모양입니다.

너무 완벽하기만 바라는 아빠의 압력에서 탈출하고 싶은 욕구가 담겨있는 무언의 시위쯤으로 생각하고 붙여놓은 그대로 두었습니다.

그런데 간혹 허점을 보이기도 하는 데 아이들이 알아차리지 못합니다. 짜슥들, 관찰력 좀 더 키워야겠습니다. 그래서 여전히 나는 아이들에게 엄한 아빠로, 빈틈이 없는 아빠로 아직 존재하고 있답니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