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01)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8)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5)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5-14 02:5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11월 15일 자 지역 일간지에 공통으로 보도된 사안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창원시청에서 대형 국기 게양대를 설치했다는 기사인데요, 경남신문과 경남일보, 경남도민일보 세 신문사의 보도를 보면 각각 시각 차이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먼저 경남일보를 보면 '창원시청에 초대형 태극기 게양'이란 주제에 '랜드마크 성격 조형물 설치… 애국심 고취 공간 기대'라는 부제를 달아 기사를 보도했습니다. 기사 내용은 설치하는 데 얼마 들었고 규모가 어떻게 되고 어떻게 운영된다는 식의 단순 보도에 그쳣습니다.

 

같은 조간신문인 경남도민일보는 좀 색다르게 사안에 접근했네요. '창원시청 초대형 대극기 게양대 예산낭비 논란'이라는 주제에 '1억 8000만 원 들여 설치…주민 "소외계층 돕는 게 낫지 않나"'라는 부제를 달아 논란성 기사로 보도했습니다.

 

경남도민일보는 기사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시민도 있지만 전시성 행정으로 예산을 낭비했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고 전제하고 창원시의 입장과 긍정적으로 보는 시민, 부정적으로 보는 시민의 의견을 반영했습니다.

 

더불어 경남도민일보는 지난 2008년 양산시가 공설운동장에 3억 5000만 원 들여 국기게양대를 세운 사실에 대해 시민들의 비판적 목소리를 보도하기도 했습니다.

 

이날 석간으로 보도한 경남신문은 '창원시청사 30m 게양대 우뚝'이란 주제에 1억 8000만원 들여 현관 양측 설치/ 스테인리스스틸 재질-내풍 설계'란 부제를 달았습니다.

 

기사 내용은 초대형 국기 시기 게양대가 설치돼 시민들 눈길을 끌고 있다는 리드에 창원시의 말을 따 국가관이 희미해지는 세태에 국기의 존엄성과 시기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110만 메가시티 창원에 걸맞은 위상을 위해 설치하게 됐음을 설명했습니다.

 

경남신문은 통합시청사 입지 결정을 앞둔 시점이라 시기적 정정성 논란에 대해 언급하면서 창원시의 해명을 함께 첨부했습니다. "조대와 게양대를 조립식으로 제작해 새 청사로 이전이 가능하도록 했다."

 

세 신문의 기사를 보면서 대형 국기 게양대의 역할이 뭔지, 꼭 필요한 건지, 창원시의 위상을 드러내기 위한 행정으로 적절한지 등에 대해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이건 순전히 우연이었습니다. 출근하고서 집에 전화를 해 아들에게 자기 컴퓨터에 있는 자료를 아빠 1테라짜리 이동디스크에 백업시켜놓으라고 했더니 케이블이 없어서 어찌해야 될지 모르겠다더군요.

 

그래서 저녁에 아빠가 가서 할 테니 놔두라고 했는데 좀 있으니 이동디스크에 복사를 다 했다더군요. 무슨 소리인지...

 

괜히 잘못해서 디스크 손상이나 입히지 않았는지 걱정이 되더군요.

 

퇴근해서 확인해보니 이동디스크에 갤럭시s 스마트폰 케이블이 디스크에 꽂혀 있었습니다. 순간 1테라짜리가 못쓰게 된 것은 아닐까 걱정이 덕컥 났습니다.

 

모르면 그냥 두지 하면서 야단을 치려는데 "아빠 복사가 다 되었어요." 하기에 무슨 소리야 연결 케이블이 다른 데 어떻게 돼?"하고 무시했지요.

 

디스크를 들고 안방 컴퓨터를 켜고 연결을 해봤더니 이룬... 인식이 되는 겁니다. 이상 없이. 그래서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된 거죠.

 

때론 아닐 것이다 싶은 것도 되는 것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괜히 아들에게 화를 냈다 싶어 미안해졌습니다. 그러면서도 "다시는 아무렇게나 손되면 안된다"하고 지적을 했는데... 지나고 나서 내가 좀 못난 아빠라는 생각이 '몰래' 들더군요. ^^

 

어쨌든 아들 덕분에 새로운 사실을 알려드리게 되었습니다.(혹시 나만 이때까지 모르고 있었던 사실은 아닌지)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한 시대는 자기 시대 고유의 질병을 가지고 있다. 어느 시기엔 천연두나 장티푸스가 근심거리였다면 다른 시기엔 폐렴이나 에이즈가 걱정거리였다. 지금은 각종 신경증이 근심거리다. 우리 사회에 언제부터인가 불안이란 말이 유행하고 있다. 불안이란 말은 전통적으로 영혼의 허기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인간이 죽을 수밖에 없는 유한한 생명체이므로 불안은 인간의 운명으로 생각되곤 했다. 그러나 현재의 불안은 영혼의 허기라기보다 먹고 사는 것의 허기에 가깝다. - 정혜윤 CBS라이도 PD <신문과방송> 10월호 59쪽

 

 

이 시대 대표적 질병이 '불안'이라는 분석에 백퍼센트 공감하지는 않지만 부정할 수 없는 사안임에 틀림없다. 그 불안이 사회문제화 되어 노인과 학생의 자살을 부추기고 사회는 치유보다 더 큰 경쟁 속으로 인간을 몰아넣음으로써 인간성의 황폐화를 유도하고 있지는 않을까. 성장과 발전 위주의 정책이 실패했음을 보여주는 사회현상이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