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01)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8)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5)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5-06 00:03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진주탈춤한마당 전통문화 속으로

27~28일 경상대학교·남강야외무대 일원서 도내 탈춤·민속극 등 공연



19회 진주탈춤한마당 축제가 오는 27일과 28일 이틀 동안 학술행사는 경상대학교에서 전통민속극 공연은 남강야외무대에서 다양하게 펼쳐진다.


주말이 아닌 금요일에도 오전 ‘민속예술 창의도시 추진 진주를 살린다’란 주제의 학술행사를 비롯해 전통연희극 ‘사자와 도깨비’ ‘울산학춤’ ‘통영오광대’ ‘퓨전국악가요’ ‘창작탈춤 까마귀’ 등이 펼쳐진다.


‘주말에 뭘 볼까’ 주제에 맞게 다음날인 토요일 펼쳐지는 행사를 소개하자면. 먼저 오후 2시 경상대학교 인문대학 아카데미홀에서 ‘신의 몸짓언어, 가구라 춤’ 워크숍이 열린다.


일본 전통 연희 가구라 설명회./진주탈춤한마당 제전위원회


워크숍에 가기 전에 ‘가구라’가 무엇인지 알아놓으면 강연을 들을 때 도움이 될 듯하다. ‘가구라’는 한자로 ‘神樂’이라고 쓴다. 한국전통연희사전에 보면, 가구라는 본래 신좌(神座)를 의하는데, 신을 ‘가구라’에 초대해서 행하는 제사예능을 널리 가구라라고 부른다. 현재 일본에서 전승되고 있는 가구라는 궁중에서 행해지는 ‘기가구라(御神座)’와 민간에서 행사는 ‘사토가구라(里神座)’라고 나와 있다.


일본 영화나 애니메이션을 보면, 무시무시한 가면을 쓰고 연희를 펼치는 장면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가무라의 한 행위이기도 하다. 예를 들면 민간 가구라조에 의해 전승되는 ‘야마부시가구라’라는 게 있는데 사자무와 가면무가 하나가 된 것으로 사자머리를 곤겐(신이 깃든 모습)으로 모시고 낮에는 그것을 춤추게 하여 마을을 돌면서 액막이를 하고 밤에는 가면무를 한다. 이 가면무의 내용은 스토리가 풍부하다고 한다.


고성오광대 비비과장./진주탈춤한마당 제전위원회


오후 5시엔 중요무형문화재 제7호인 ‘고성오광대’ 연희가 펼쳐진다. 오광대탈놀이는 경남지역에만 있는 전통연희다. 부산 동래나 수영에도 유사한 탈놀이가 있으나 ‘오광대’라 부르지 않고 ‘야류’라고 한다. 또한, 황해도 봉산이나 강령, 은률은 탈춤이고, 경기도 송파, 양주는 산대 혹은 별산대다. 그리고 경북 안동 하회탈놀이, 북청은 사자놀음으로 각기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탈춤을 구경하기 전에 미리 그 연희에 대해 기본적인 지식이 있으면 더 재미나게 감상할 수 있는 법. 고성오광대는 1964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됐다. 오래된 만큼 고증과 연구가 잘 되어 있고 연희의 틀도 잘 갖춰져 있다.


고성오광대는 정월대보름 밤에 주로 행해지던 놀이다. 정월대보름이라는 날 자체가 제의적 성격을 띤 날이므로 고성오광대 역시 놀이이지만 제의적 성격을 배제할 수 없다. 문둥북춤과장, 양반과장, 비비과장, 승무과장, 제밀주과장으로 총5개 과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면은 모두 19개가 등장한다.


탈에 관한 것도 조금 알면 공연을 보는 데 도움이 많이 된다. 고성오광대 탈은 처음엔 싸릿대를 엮어서 모양을 잡고 회칠을 하고 종이죽을 붙여 만들었다. 그러다가 나무탈이 등장했고 다시 종이탈이 제작되다가 박으로 만든 탈도 등장했다. 자세히 들여다 보면 어떤 탈은 종이, 또 어떤 탈은 박, 나무로 되어 있음을 눈치챌 수 있다. 이것도 관람 포인트다.


한그루무용단의 소고춤./진주탈춤한마당 제전위원회


오후 6시엔 한량무와 소고춤을 공연한다. 한량무란 게 뭔가. 양반이긴 하지만 벼슬에 오르지 못한 양반. 교방을 드나들면서 풍류를 즐겼던 이 양반들의 모습을 남사당패가 흉내 내면서 처음으로 연희된 게 한량무다. 그래서 한량무는 살풀이춤의 느낌도 있고 신선학춤의 느낌도 있다. 한그루무용단에서 한량무와 소고춤을 공연한다.


진주오광대 문둥이과장./자료사진


620분엔 민요와 판소리 한마당이 열리고 40분부터는 진주오광대가 펼쳐진다. 진주오광대는 1920년대까지 지속적으로 전승되었는데, 일제강점기 아래서 명맥이 끊겼다가 1996년 채록된 대본을 바탕으로 다시 만들어 진주탈춤한마당을 통해 공연함으로써 되살아나게 된 전통연희다.


과장을 보면 고성오광대와 차이가 있다. 진주오광대는 1과장 오방신장무, 2과장 문둥이과장, 3과장 말뚝이놀음, 4과장 노장과장, 5과장 할미놀음으로 구성되었다. 전날 통영오광대까지 보게 된다면 각 지역 오광대 연희 성격을 비교해볼 좋은 기회가 되기도 하겠다.


740분엔 마당극 ‘뺑파전’을 공연한다. 뺑파전은 판소리 심청가에서 뺑덕어멈과 심학규, 그리고 황봉사 간에 일어나는 이야기를 코믹하게 그린 작품이다.


진주솟대쟁이놀이 솟대쌍줄백이놀이./자료사진


그리고 완전히 어둑해진 시각인 오후 840분엔 솟대쟁이놀이가 시작된다. 솟대쟁이들의 놀이는 다양하다. 풍물을 비롯해 버나돌리기, 새미놀이, 얼른(마술), 꼰두질, 줄타기 등이 있는데 이 연희의 백미는 아무래도 줄 위에서 기예를 펼치는 솟대타기, 쌍줄백이 등의 놀이다. 위험한 만큼 손에 땀을 쥐게 한다.


이날 하루의 모든 연희가 끝나면 ‘파방굿’이 펼쳐진다. 파방굿, 다시 말해 뒤풀이란 얘기다. 우리의 전통 연희 특징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모두가 함께 어울려 풍물에 몸을 싣고 흥을 멋대로 부리는 시간이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gogo즐기go]27~62일 경남의 공연·전시


창원


<공연>




△춤으로 맞이하는 봄 = 27일 오후 730. 3·15아트센터 소극장. 무료. 010-2247-7359.

△지담 재즈밴드 = 27일 오후 9. 창원 재즈클럽 몽크. 유료. 010-2217-0275.

△창동예술촌 개촌 4주년 기념음악회 = 28일 오후 7. 아고라광장. 무료. 055-222-2155.

△경남교원유스오케스트라 제7회 정기연주회 = 28일 오후 5. 성산아트홀 대극장. 무료. 010-3337-9649.

△가족뮤지컬 리틀 캣 = 28일 오전 11, 오후 24, 29일 오전 11, 오후 2. 성산아트홀 소극장. 유료. 051-1661-6702.

△솔리스트앙상블FIGO 연주회 = 31일 오후 730. 진해문화센터 공연장. 무료. 010-7432-7890.

Bravo경남성악회 창단 공연 = 31일 오후 730. 성산아트홀 소극장. 무료. 010-3838-0216.

△오페라 손양원 갈라 콘서트 = 31일 오후 7. 성산아트홀 대극장. 무료. 055-247-7993.

△가족뮤지컬 유령친구 = 61·2일 오전 930, 11. 3·15아트센터 소극장. 무료. 055-249-2390.

△김혜경우리춤연구소 제5회 정기공연 = 62일 오후 730. 성산아트홀 소극장. 무료. 051-747-9770.

△연극 ‘사랑에 관한 다섯 가지 소묘’ = 29일까지 매주 수···일 평일 오후 8, 토요일 오후 37. 일요일 오후 5. 창원 중앙동 한서병원 뒤 창원시민극장. 유료. 055-275-0618.


<전시>




△제15회 문신미술상 시상식&전시회 = 27일 오후 5. 전시회는 626일까지. 마산문신미술관. 무료(전시회 유료). 055-225-7187.

△김민경 개인전 = 28일까지. 그림갤러리. 무료. 055-243-0999.

△이혜경 개인전 ‘NATURE-자연’ = 29일까지. 창동예술촌 리아갤러리. 무료. 010-7459-0522.

△윤재경 사진전 = 29일까지. 스페이스1326. 무료. 010-3870-2094.

△제18회 경남여성휘호대회 입상작품 전시 = 26~31. 3·15아트센터 제1~3전시실. 무료. 055-771-2150.

2016 창원아시아미술제-청춘본심(靑春本心) = 26~65. 성산아트홀 전시장 전관. 무료. 055-719-7800.

△서용선의 마산전 = 63일까지. 내서농산물도매시장 2층 마산청과시장() 아트 스튜디오. 무료. 055-291-8511.

2016현장스케치전 = 62~7. 3·15아트센터 제1~2전시실. 무료. 055-719-7834.

△창동예술촌 ‘스티브잡스 사진전’ = 612일까지. 창동예술촌 아트센터 2. 무료. 055-222-2155.

△이정희 설치미술전 ‘하늘호수’ = 61~12. 창동예술촌 리아갤러리. 무료. 010-5588-0366.

△정재삼 초대 개인전 = 31~629. 더큰병원 8층 숲갤러리. 무료. 055-270-0931.

△‘무속신앙, 한국의 신명을 보다’전 = 630일까지. 창원시립마산박물관. 유료. 055-225-7173.

△우촌 최태문 화백 초대전 = 722일까지. 경남스틸㈜ 송원갤러리. 무료. 055-274-2066.

△흔적 120인 전 = 831일까지. 대산미술관. 무료. 055-261-5237.


진주


<공연>


△경남예술고등학교 제26회 정기연주회(실용음악) = 31일 오후 630. 경남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료. 055-759-3709.


<전시>


2016학년도 경남예술고등학교 정기미전&애니메이션전 = 31일까지. 경남문화예술회관 제2전시실. 무료. 055-759-3583.


김해


<공연>




△송승환의 난타(NANTA) = 27일 오후 8, 28일 오후 3, 7. 김해문화의전당 마루홀. 유료. 055-320-1234.

△김해가야오페라단 정기연주회 – 콘서트오페라 = 31일 오후 730. 김해문화의전당 마루홀. 유료. 010-9264-0631.


<전시>




△건축도자 – Earth = 73일까지.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돔하우스 갤러리 1, 2 중앙홀 및 야외. 유료. 055-340-7070.

△하이퍼리얼리즘 : 피그말리온, 생명을 불어넣다전 = 925일까지.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큐빅하우스 4, 5, 6갤러리. 유료. 055-340-7070.


양산


<공연>




△유키구라모토 콘서트 = 28일 오후 730. 양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055-379-8550.


통영


<공연>





△줄리아노 카르미뇰라 & TIMF앙상블 = 28일 오후 5. 통영국제음악당 콘서트홀. 유료. 055-650-0400.

△극단 벅수골 '나붓등' = 28일·6월 4일 오후 3시 7시 30분. 통영시민문화회관 소극장. 유료. 055-645-6379.

FRENCH WEEK – 트리오 반더러 = 62일 오후 730. 통영국제음악당 콘서트홀. 유료. 055-650-0400.


거제


<공연>




△라이크앙상블 두번째정기연주회 = 28일 오후 5. 거제문화예술회관 소극장. 유료. 055-636-1736.

△영화상영 ‘님아, 그 강을 건너지마오’ = 30일 오후 2. 거제문화예술회관 소극장. 무료. 055-680-1000.

string on spring = 31일 오후 730. 거제문화예술회관 소극장. 무료. 010-9319-1603.


<전시>




△배스나 작가의 ‘뷰티풀 네이처(Beautiful Nature)’ = 27일까지. 해금강테마박물관 유경미술관. 무료. 055-632-0670.

△제26회 거제서예학회 정기회원전 = 29일까지. 거제문화예술회관 전시실. 무료. 055-681-2187.

△김향금 전 = 30일까지. 유경미술관 2. 무료. 055-632-0670.

△남혜경 작가 ‘비가 내리다, 사랑이 내리다’전 = 30일까지. 유경미술관 1. 무료. 055-632-0670.

△거제중견작가전 = 62~15. 거제문화예술회관 전시실. 무료. 055-680-1014.


사천


<공연>




△기획공연 넌버벌 퍼포먼스 ‘플라잉’ = 27일 오후 730. 사천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055-831-2460.


<전시>


△리 미술관 14번째 초대전 ‘김성혜 해, , 꽃’ = 30일까지. 사천리미술관 1. 무료. 055-835-2015.

△리 미술관 15번째 초대전 ‘이은경 러브 코끼리, 어린 왕자를 만나다’ = 30일까지. 사천리미술관 제2전시관. 무료. 055-835-2015.


밀양


<전시>


△윤석창 작품전 = 612일까지. 밀양시 하남읍 동명길 13-6 ‘아틀리에 샘’. 무료. 055-391-1129.


의령


<전시>


△의령예술촌 개촌 17주년 기념작품전 = 729일까지. 의령예술촌 1~5전시실. 무료. 055-570-2971.


창녕


<공연>




△영상으로 만나는 발레 ‘라바야데르’ = 27일 오후 730. 창녕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료. 055-530-1911.

△영화 ‘귀향’ = 28일 오후 3, 730. 창녕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료. 055-530-1911


<전시>


2016 우당탕탕 아빠가 만든 놀이터 = 29일까지. 창녕문화예술회관 전시실. 유료. 055-530-1911.

△노병열의 Flow-잃어버린 파랑새를 찾아서 = 20~630. 부곡스파디움따오기호텔 1층 로비. 무료. 010-2472-1283.


함안


<공연>




△극단 아시랑 ‘분장실’ = 27·28일 오후 3, 730. 함안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055-585-8602.

△연극 ‘아빠들의 소꿉놀이’ = 62일 오후 730. 함안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055-585-8602.


고성


<공연>


△경남도민예술단 연극 ‘청춘극장’ = 28일 오후 730. 고성엑스포공연장. 유료. 055-670-2203.

△큰들 마당극 ‘백의종군 이순신’ = 61일 오후 730. 고성오광대 야외공연장. 무료. 055-670-2203.


<전시>


△최위숙 개인전 = 61일까지. 고성읍 율대리 도원미술관. 무료. 055-673-9655.


거창


<전시>


△찾아가는 도립미술관 ‘도시의 기억’ = 29일까지. 거창문화센터 전시실. 무료. 055-940-8464.


남해


<공연>


△제6회 남해섬 어린이 공연 예술제 그림자극 ‘짧은 귀의 토끼’ = 28·29일 오후 3. 남해국제탈공연예술촌 실험극장. 유료. 055-860-3790


함양


<공연>




△국악, 행복을 전하다 = 27일 오후 630. 함양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료. 055-960-5161.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아시아 청년 문화를 조명하는 창원아시아미술제가 '청춘본심'이란 주제로 26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오는 6월 25일까지 창원성산아트홀 전시실 전관에서 진행된다.


이번 미술제는 '청년문화조명프로젝트', 'TWO JOBS', 'Hide And Seek', '독립운동', 이 네 가지 주제로 나뉘어 전시되며 30여명의 작가와 창작그룹이 참여했다.


26일 오후 4시에 열린 개막식엔 작가들뿐만 아니라 예술계 많은 관계자들이 모였다. 축하공연에 전날 경남도민일보에서 강연했던 치유음악가 '봄눈별'도 참여해 연주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북아메리카 인디언 음악을 목관악기로 연주했다. 음색이 구슬프다. 음... 기사형식 빌려 쓰려했더니.. 재미가 없다.


내빈 소개... 소개할 사람도 참 많군. 서로 아는 사람들이니 그렇게 소개해도 지겹거나 그러진 않겠다. 대중을 상대로 하는 행사였다면 이런 소개, 생략하는 게 맞겠지.


그 다음에 축하공연을 하러 앞에 나선 사람, 내 기준에서 한 마디로 골때리는 예술인일 듯하다. 부르는 것이 노래인지 주문인지 모르겠고 좀 야하다 싶은 행위도 거침이 없다. 온 객석(?)을 파헤치고 돌아다니면서 노래부르고 춤을 춘다. 더러는 피하는 사람도 있고 더러는 덩달아 춤을 추는 이도 있다. 그런데 의외로 사람들이 너무 좋아한다.

(잊고 있었다. 1년이 지났다. 오늘이 2017년 6월 13일. 내일 신문에 양청 인턴기자가 쓴 이 양반 기사가 나간다. 이름은 한진식. 예명?은 야마가타 트윅스터라고 한다. 올해에도 아시아미술제에 등장했다.)


소개할 때 이름 뭐라고 했는데 까먹었다. 이 공연이 끝나고 소극장전시실 입구 앞에서 테이프커팅을 했다. 경남이야기 백경희 기자가 아시아미술제 기사 쓰기로 했으니 필요하다면 제공해도 되고 해서 나도 찍었다. 폰카메라로. ㅋㅋ


한 바퀴 휘 둘러본 느낌은 약간 엉뚱하단 수준에서 벗어나지 않는 작품도 있지만 대부분 자기만의 독특한 색깔을 지니고 있었다. 설치미술 쪽 역시 '괜찮네' 하는 느낌이 들었고 회화 쪽 역시 색다른 맛이 느껴지는 작품들이었다.


오늘 찍은 사진을 몇 장 골라 본다.


봄눈별 공연.


참여작가 소개.


이름을 잊어먹었는데, 독특한 예술가야. *^^* 언제 알게 될 기회가 있겠지.


테이프커팅.


제1전시실 작품 설명.


일본 작가 카와타 츠요시가 자신의 작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영상 작품을 감상하고 있는 관객들.


인도 작가 바렛&거리의 'Hope'란 작품.


영화사 '단잠'의 작품 '굿바이 마산' 작업노트. 주인공 '춘희' 역을 소정 씨가 맡았군.


제3전시실에서 큐레이터가 관객들에게 작품 관련 설명을 하고 있다. 해설하는 사람은... 왼쪽 세번째 남성이다.


구경환의 '내방에 고인 바다' 그림이 묘하다. 머리가 띵할 지경이다. 아주 자극적이다. 자꾸 해석을 시도하게 만든다.


고양이 소굴로 들어왔다. 움직이지 않는 고양이 인형, 그리고 일그러진 거울에 반사되는 것들... 뭔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게 있을 것이다.


온갖 낙서가 예술이 되어 벽에 붙었다. 김선우의 'Mauritius souvenirs'. 당췌 뭔 말인지...


반짝반짝 설치미술. 유리구슬 총 몇 개일까... 하는 생각이 드는군.


별로 썩 예쁘지 않는 녀석들이 맥주상자를 뒤집어놓고 앉았다. 사람 인형은 남자 모습이어서 남잔 줄 알겠고 다른 동물들은 다리를 벌리고 앉은 것으로 보아 모두 남잔 줄 알겠다. 뭐 또 여자를 이리 못나게 그렸겠나.


유미연의 연잎 설치 미술. 작가의 이름에도 '연'이 들어가는군. 아름다운 연, 미연.


마지막 6전시실 저 구석에 있는 작품이다. 김수정의 '문턱넘기' '소외된 경력들'. 두 작품이 하나인 듯 전시되어 있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