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01)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8)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5)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5-06 00:03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주인과 하녀의 엉뚱·발랄한 사랑이야기

25일 함안문화예술회관서 오페라 부파 ‘마님이 된 하녀’ 하우스콘서트


“날 사랑해주실 건가요?” “당연하지. 난 행복할 거야. 영원히 널 사랑해. 내 심장이 이렇게 뛰는군.” “저도 그래요. 이렇게 콩닥콩닥 뛰어요.” “당신이 있어 난 이제 사랑으로 가득 찰 거야.”


속에서 뭔가 치오르는 느낌이 들거나 팔뚝에 소름이 돋아날 법한 이러한 대화도 사랑에 눈이 멀면 오히려 자연스럽다. 하녀는 주인의 사랑을 얻고 주인은 하녀에게서 사랑을 느끼게 되는 마지막 장면은 어쨌거나 해피엔딩이다.


1733년 이탈리아 나폴리 산바르톨로메오 극장에서 초연된 오페라 ‘자랑스러운 죄수’는 나폴리 지진의 영향도 비켜가지 못하고 실패작으로 잊힌 작품이 되었다. 이후 오페라의 일부였던 ‘마님이 된 하녀’가 다른 지루한 오페라의 중간에 막간극으로 소개되면서 서서히 명성을 얻어 오늘날까지 공연되는 명작이 되었다.


하우스콘서트 '마님이  하녀' 리허설 장면./함안군


오는 25일 오후 730분 함안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문화가 있는 날 하우스 콘서트로 ‘마님이 된 하녀’가 공연된다.


‘마님이 된 하녀’는 페르골레시 작곡으로 대본은 자코포 안젤로 넬리의 희곡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이 작품은 내용에 희극적 요소가 많아 다른 오페라들의 막간극으로 활용이 되었는데 지루한 오페라 가운데 재미난 공연을 보게 되어서인지 관객들에게 인기가 있었다고 한다.


그러다 보니 따로 떨어져 나와 공연되기도 하면서 희극성이 강한 작은 오페라인 ‘오페라 부파’의 분류로 들어가게 되었다.


‘마님이 된 하녀’엔 3명이 등장한다. 우베르토, 부유한 독신이며 주로 베이스가 맡는다. 세르피나는 우베르토의 하녀로 소프라노. 그리고 대사 한 마디 없지만 극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우베르토의 하인 베스포네.


독신 노인인 우베르토는 세르피나를 어려서부터 하녀로 거두어 키우다시피 했다. 그런데 세르피나는 점점 나이가 들면서 우베르토의 말을 잘 듣지 않는다. 뭘 하나 시켜도 들은 체 만 체다.


우베르토가 야단이라도 치면 “왜 그리 시끄러운가요? 차라리 잠자코 계시는 편이 나는 좋은데”하면서 오히려 주인을 나무란다. 이런 내용을 담은 아리아 끝에 세르피나는 은근히 “절 마님으로 맞아 주시면 어떠실까”하면서 유혹한다.


우베르토는 세르피나를 내보낼 생각을 하고 있고 세르피나는 이 집의 마님이 되고자 작전을 편다. 세르피나는 궁리 끝에 하인 베스포네를 장군으로 변장케 하고 자신의 약혼자라며 우베르토에게 소개한다.




베스포네는 우베르토에게 위협을 가하기도 하면서 한바탕 소동을 벌인다. 그런 와중에 세르피나는 눈물을 흘리면서 우베르토가 언젠가 자기를 생각해주겠지 하면서 아리아를 부른다.


우베르토의 마음이 움직인다. 손녀 같지만 쾌활한 하녀 세르피나가 싫지 않다. 은근히 장군에게 시집보내는 것이 아깝다는 생각을 한다. 그것을 간파한 세르피나가 또 작전을 벌인다.


베스포네가 난동을 부리며 위협하게 하고 그것을 세르피나가 해결한 것처럼 꾸며 지참금 없이 우베르토와 결혼하게 된다. “오늘부터는 내가 마님~”이라며 노래를 부르는 세르피나, 우베르토 역시 은근히 좋다. 둘은 듀엣으로 기쁨의 이중창을 부른다.




우베르토 역엔 베이스 박경태, 세르피나는 소프라노 황상미, 베스포네 역은 바리톤 한진만이 맡았다. 관람료는 1000원이며 8세 이상이라야 입장된다. 문의 : 055-580-3608.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창원문화재단 25일 오후 최승열 콘서트 ‘바람이 불어오는 곳…진해’


“바람이 불어오는 곳 그곳으로 가네~/그대의 머릿결 같은 나무 아래로~/덜컹이는 기차에 기대어 너에게 편지를 쓴다/꿈에 보았던 길~ 그 길에 서 있네…”


김광석의 노래 ‘바람이 불어오는 곳’. 통기타 반주에 노래가 흥겹다. 김광석의 목소리가 더욱 상큼하게 느껴지는 노래다. 1996년 서른둘의 나이로 노래에 살다 젊은 나이로 요절한 가수 김광석은 20년이 지난 오늘에도 그는 여전히 살아있다.


그와 똑같은 목소리의 주인공 최승열, 2013년 말께 jtbc ‘히든싱어’ 김광석 편에서 그는 준우승을 차지할 정도로 김광석을 닮은 실력자다. 노래도 노래지만 그는 현재 왕성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뮤지컬 배우이기도 하다.




창원문화재단은 그런 최승열을 초청해 오는 25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오후 730, 진해문화센터 공연을 마련했다. ‘바람이 불어오는 곳…진해’, 그래서 제목에 진해가 붙었나 보다.


‘히든싱어’를 통해 실력을 인정받은 그는 뮤지컬 ‘화려한 휴가’ ‘건메탈 블루스’ ‘울지마, 톤즈’ ‘바람이 불어오는 곳’ 등에 출연했다. 최승열은 김광석과 그룹 ‘동물원’의 이야기를 다룬 ‘바람이 불어오는 곳’ 시즌 1, 2에 박창근과 함께 더블캐스팅으로 출연함으로써 이름을 알렸다.


최승열은 이날 ‘일어나’ ‘서른 즈음에’ ‘바람이 불어오는 곳’ ‘거리에서’ ‘사랑했지만’ 등 주로 김광석의 노래를 부르고 버스커버스커의 ‘벚꽃엔딩’도 부를 계획이다.


문화가 있는 날이어서 관람료는 1만 원에서 30% 할인된 7000원이다. 문의 : 055-719-7800.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매주 목요일 경남 도내 곳곳에서 펼쳐지는 공연과 전시 소식을 취합하다 보면 관람하고픈 행사가 꼭 한두 개는 나온다. 다음 주 공연 중에 필이 꽃히는 게 있다. 창원소년소녀합창단 정기연주회. 예전엔 막내가 합창단원 활동을 한 적이 있어서 더 어린이합창 공연에 눈길이 간다. 다문화어린이합창단 연습 때 종종 목이 아프다고 호소했다. 병원도 다니고. 아무래도 애 목이 별로 튼튼하지 못한 것 같아 그만두게 했는데... 아쉽긴 하다.


[gogo즐기go]20~26일 경남의 공연·전시


창원


<공연>




△테너 김대욱 제7회 독창회 = 20일 오후 730. 성산아트홀 소극장. 무료. 010-6567-0888.

△유리알 유희 = 21일 오후 9. 창원 재즈클럽 몽크. 유료. 010-2217-0275.

△늘푸른무용단 ‘색깔 있는 우리 춤’ = 21일 오후 5. 진해문화센터 공연장. 무료. 055-232-7325.

△제6회 합창 행복콘서트 = 21일 오후 5. 성산아트홀 소극장. 무료. 055-282-7733.

△유니크리틀 클라리넷 앙상블 정기연주회 = 21일 오후 5. 3·15아트센터 소극장. 유료. 010-9124-5406.

△창원시청소년교향악단 협주곡의 밤 = 22일 오후 5. 3·15아트센터 소극장. 무료. 010-5499-2859.

△뮤지컬 ‘아기돼지 삼형제’ = 24일 오전 1010, 1120. 진해문화센터 공연장. 유료. 02-2654-6854.

△창원시립소년소녀합창단 제64회 정기연주회 = 24일 오후 730. 성산아트홀 소극장. 무료. 055-299-5832.

△경남쳄버쏘싸이어티 제30회 정기연주회 = 24일 오후 730. 3·15아트센터 소극장. 무료. 055-249-2390.

△수요콘서트-최승열의 바람이 불어오는곳…진해 = 25일 오후 730. 진해문화센터 공연장. 유료. 055-719-7800.

△창원시민과 함께하는 우리 가곡의 밤 = 25일 오후 730. 3·15아트센터 소극장. 무료. 010-2027-6903.

△인형극 ‘피노키오와 손씻기’ = 26일 오전 1030, 1140. 진해문화센터 공연장. 무료. 055-225-6123.

△창원시립교향악단 제295회 정기연주회 = 26일 오후 730. 성산아트홀 대극장. 무료. 055-299-5832.

△연극 ‘사랑에 관한 다섯 가지 소묘’ = 29일까지 매주 수···일 평일 오후 8, 토요일 오후 37. 일요일 오후 5. 창원 중앙동 한서병원 뒤 창원시민극장. 유료. 055-275-0618.


<전시>




△윤복희 ‘봄의 소리’전 = 20일까지. 창원상공회의소 1층 챔버갤러리. 무료. 055-210-3030.

△우주를 향하여 = 22일까지. 문신미술관 제2전시관. 유료. 055-247-2100.

△한국사진 방송 경남지사 사진전 = 23일까지. 성산아트홀 제1전시실. 무료. 010-9693-2400.

△청전 김학재 도예작품전 = 23일까지. 성산아트홀 제2전시실. 무료. 010-4769-3399

△제7회 박명숙 개인전 = 23일까지. 성산아트홀 제3전시실. 무료. 010-8545-6513.

△창원시 수석인연합회 제30회 회원전 = 20~23. 성산아트홀 제4~7전시실. 무료. 010-4550-3643.

2016 8회 경남미술품 경매시장 = 24일까지. 3·15아트센터 제1~2 전시실. 무료. 055-240-5148.

△단색조 : 한국현대미술의 정신 = 25일까지. 경남도립미술관 제4·5·로비전시실. 유료. 055-254-4600.

you, the living = 25일까지. 경남도립미술관 제 1·2·3전시실. 유료. 055-254-4600.

△김민경 개인전 = 28일까지. 그림갤러리. 무료. 055-243-0999.

△이혜경 개인전 ‘NATURE-자연’ = 29일까지. 창동예술촌 리아갤러리. 무료. 010-7459-0522.

△제18회 경남여성휘호대회 입상작품 전시 = 26~31. 3·15아트센터 제1~3전시실. 무료. 055-771-2150.

2016 창원아시아미술제-청춘본심(靑春本心) = 26~65. 성산아트홀 전시장 전관. 무료. 055-719-7800.

△창동예술촌 ‘스티브잡스 사진전’ = 612일까지. 창동예술촌 아트센터 2. 무료. 055-222-2155.

△‘무속신앙, 한국의 신명을 보다’전 = 630일까지. 창원시립마산박물관. 유료. 055-225-7173.


진주


<공연>




△리버사이드 모닝콘서트 ‘유니크 클라리넷 앙상블 연주회’ = 20일 오전 11. 경남문화예술회관 로비. 무료. 1544-6711.

△문화가 있는 날 ‘영상으로 만나는 백건우 피아노 리사이틀’ = 25일 오후 730. 경남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료. 1544-6711.

△경남예술고등학교 제26회 정기연주회(클래식) = 26일 오후 7. 경남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료. 055-759-3709.


<전시>


△제28회 운정한울 문인화전 = 24일까지. 경남문화예수회관 제1전시실. 무료. 010-9346-7624.

△제30회 진주시공예품경진대회 / 5회 진주시문화관광기념품경진대회 = 24일까지. 경남문화예술회관. 무료. 055-762-5031.

2016학년도 경남예술고등학교 정기미전&애니메이션전 = 26~31. 경남문화예술회관 제2전시실. 무료. 055-759-3583.


김해


<공연>




△가족극 ‘안데르센’ = 21일 낮 1230, 오후 430, 22일 오전 11, 오후 3. 가야테마파크 철광산 공연장. 유료. 055-340-7900.

GASC 애두름 페스티벌 = 21일 오후 8. 김해문화의전당 애두름마당. 무료. 055-320-1234.

△연극 ‘개 짖는 날’ = 24일 오후 8. 김해문화의전당 누리홀. 유료. 070-4231-9004.

△어린이 뮤지컬 ‘아기돼지 삼형제’ = 27일 오후 4, 28일 오전 11, 오후 2, 4. 김해문화의전장 누리홀. 유료. 1577-4868.


<전시>


하이퍼리얼리즘:피그말리온생명을 불어넣다전


△피카소에서 앤디워홀까지 = 626일까지. 김해문화의전당 윤슬미술관. 유료. 055-320-1261.

△건축도자 – Earth = 73일까지.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돔하우스 갤러리 1, 2 중앙홀 및 야외. 유료. 055-340-7070.

△하이퍼리얼리즘:피그말리온, 생명을 불어넣다전 = 925일까지.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큐빅하우스 4, 5, 6갤러리. 유료. 055-340-7070.


양산


<공연>




△뮤지컬 상영 ‘침묵의 눈물을 사랑하며’ = 22일 오후 2. 양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료. 010-2840-7031.

△브런치 콘서트 클래식 음악 속의 ‘재즈와 탱고’ = 25일 오전 11. 양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055-379-8550.

△음악영화 ‘그 여자 작사 그 남자 작곡’ = 25일 오후 730. 양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료. 055-379-8550.


통영


<공연>




△닐스 묑케마이어 & 윤홍천 = 21일 오후 5. 통영국제음악당 콘서트홀. 유료. 055-650-0400.


거제


<공연>




△클래식 기타 공연 = 21일 오6. 거제문화예술회관 소극장. 유료. 010-4072-1526.

△연극 ‘신나는 제빵왕 김탁구’ = 24일 오전 10, 오후 130, 25·26일 오전 10. 거제문화예술회관 대극장. 유료. 055-680-1011.

△문화가있는 수요일 베를린 필하모닉 카메라타 = 25일 오후 730. 거제문화예술회관 소극장. 무료. 055-680-1050.


<전시>


△제26회 거제서예학회 정기회원전 = 25~29. 거제문화예술회관 전시실. 무료. 055-681-2187.

△김향금 전 = 30일까지. 유경미술관 2. 무료. 055-632-0670.

△남혜경 작가 ‘비가 내리다, 사랑이 내리다’전 = 30일까지. 유경미술관 1. 무료. 055-632-0670.


사천


<축제>




△제21회 와룡문화제= 20~22. 사천문화예술회관·예술의 광장·향토음식의 거리 일원. 무료. 055-831-2460.

△어린이 뮤지컬 ‘장화신은 고양이’ = 24일 오전 1015, 1120. 사천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02-882-9001.


<전시>


△제4회 사천와룡초목회 회원전 = 22일까지. 사천문화예술회관 전시실. 무료. 010-5583-0007.

△리 미술관 14번 째 초대전 ‘김성혜 해, , 꽃’ = 30일까지. 사천리미술관 1. 무료. 055-835-2015.

△리 미술관 15번째 초대전 ‘이은경 러브 코끼리, 어린 왕자를 만나다’ = 30일까지 사천리미술관 제2전시관. 무료. 055-835-2015.


밀양


<축제>




△제58회 밀양아리랑 대축제= 22일까지. 영남루와 밀양강변 일원. 무료. 055-353-3550.


의령


<전시>


2016년 봄을 여는 향기전 = 20일까지. 의령예술촌. 무료. 055-570-2971.


창녕


<공연>




△예술단 락 ‘신명의 울림’ = 20일 오후 730. 창녕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료. 055-530-1464..


<전시>




2016 우당탕탕 아빠가 만든 놀이터 = 29일까지. 창녕문화예술회관 전시실. 유료. 055-530-1911.

△노병열의 Flow-잃어버린 파랑새를 찾아서 = 20~630. 부곡스파디움따오기호텔 1층 로비. 무료. 010-2472-1283.


함안


<공연>




△하우스콘서트 ‘마님이 된 하녀’ = 25일 오후 730. 함안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055-580-3608.


고성


<전시>




△최위숙 개인전 = 61일까지. 고성읍 율대리 도원미술관. 무료. 055-673-9655.


거창


<전시>




△찾아가는 도립미술관 ‘도시의 기억’ = 29일까지. 거창문화센터 전시실. 무료. 055-940-8464.


남해


<공연>


△제6회 남해섬 어린이 공연 예술제 퓨전 마당놀이 ‘콩쥐팥쥐’ = 21·22일 오후 3. 남해국제탈공연예술촌 실험극장. 유료. 055-860-3790


함양


<공연>


△문화야 놀자-주부가요열창 = 20일 오후 7. 함양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055-960-5531.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