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01)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8)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5)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5-06 00:03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주말에 뭘볼까]익숙한 즐거움 ‘맘마미아’

아바 음악으로 만든 주크박스 뮤지컬…24~26일 창원성산아트홀서 공연




아바의 음악으로 영화 <맘마미아>로도 널리 알려진 같은 제목의 뮤지컬 <맘마미아>24~26일 창원 관객을 만난다.


Mamma mia, here I go again My my, how can I resist you?/Mamma mia, does it show again? /My my, just how much I’ve missed you.” <맘마미아>란 제목만 들어도 그 노랫소리가 귀에 생생하다.


<맘마미아>19994월 영국서 초연 이래 전 세계에서 꾸준한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주크박스 뮤지컬이다. 아바의 오리지널 음악을 작곡한 앤더슨과 울배어스가 처음부터 뮤지컬 제작에 참여했으며 아바의 히트곡들로 구성해 스토리를 꾸몄다. 대본은 영국의 캐서린 존슨이 썼다.


미리 알아두어야 할 것은 뮤지컬 <맘마미아>가 아바의 노래들로 구성됐지만 아바의 음악인생과는 무관하며 1968년에 나온 영화 을 각색해 만든 작품이란 점이다.


브로드웨이에선 200110월 초연되었으며 한국어 공연은 20041월 예술의 전당에서 초연된 이래 약 12년을 지속해서 공연을 펼치고 있다. <맘마미아>는 영화로도 제작되어 더욱 많이 알려졌는데, 20089월 개봉됐다.


맘마미아 공연 장면./창원문화재단


줄거리를 잠깐 들여다 보면, 무대는 그리스 지중해의 작은 섬이다. 젊은 날 아마추어 그룹 리드싱어였지만 지금은 섬의 작은 모텔 사장이 된 도나와 그의 성년이 된 딸 소피가 주인공이다.


소피는 결혼식을 앞두고 아빠를 찾고 싶어하는데, 엄마의 옛날 일기장을 훔쳐보면서 그중에서 자신의 아버지일 가능성이 큰 세 사람을 지목해 어머니 이름으로 초청장을 보내면서 일어나는 이야기다.


맘마미아 공연 장면./창원문화재단


한국의 이 <맘마미아> 공연도 2004년 이래 총 1500회에 이르고 있다. 지난달 28일 서울 송파구 샤론데 씨어터에서의 기록이다. <맘마미아>가 이렇게 롱런을 할 수 있는 원인이 무엇일까. 비평가들은 시대를 뛰어넘는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모녀의 사랑, 그리고 우정, 첫사랑, 결혼 등의 소재와 젊은 시절 아바의 노래로 위로를 받았던 중장년층이 공연장에서 과거를 추억하고 현재를 즐기는 문화트렌드 때문이라고 말한다.


맘마미아 공연 장면./창원문화재단


이번 창원공연에서는 최정원, 신영숙 (도나), 전수경, 김영주 (타냐), 이경미, 홍지민 (로지), 남경주, 성기윤 (), 이현우, 정의욱 (해리), 오세준, 호산 (), 박지연, 소녀시대 서현,김금나 (소피), 심건우 (스카이) 37명의 배우가 등장한다.

성산아트홀 대극장서 24일 오후 730, 25일 오후 2·7, 26일 오후 2시 총 4회 공연.


관람료는 6~14만 원. 창원문화재단 유료회원이면 10% 할인 혜택을 받는다. 문의 : 1599-7448.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gogo즐기go]17~23일 경남의 공연·전시


창원


<공연>




△가족뮤지컬 장화신은 고양이 = 17일 오전 1015, 1120. 진해문화센터 공연장. 유료. 02-882-9001.

△연극 ‘물고뜯고싸우고’ = 17일 오후 730, 18일 오후 5. 창동 가배소극장. 유료. 010-2590-1838.

△장윤정콘서트 스위트 타임 = 18일 오후 3, 7. 성산아트홀 대극장. 유료. 1566-9621.

△창원청소년오케스트라 제43회 정기연주회 = 21일 오후 730. 성산아트홀 소극장. 무료. 011-809-4962.

△엄유진 첼로 독주회 = 23일 오후 730. 3·15아트센터 소극장. 무료. 010-2606-3749.


<전시>




△경남예술창작센터 제8기 입주작가결과전 = 19일까지. 성산아트홀 제1전시실. 무료. 055-213-8032.

△강현주 개인전 = 20일까지. 성산아트홀 제2전시실. 무료. 010-7472-4415.

△제29회 전국공모 성산미술대전 초대작가전 = 20일까지. 성산아트홀 제3전시실. 무료. 055-261-3558.

2016 한국미술협회 경상남도지회전 = 21일까지. 3·15아트센터 제2~3전시실. 무료. 055-240-5148.

2016 39회 경상남도미술대전 추천·초대작가전 = 21일까지. 3·15아트센터 제1, 4전시실. 무료. 055-240-5148.

△하종욱 작가 개인전 = 26일까지. 스페이스 1326. 무료. 010-3870-2094.

△김정혜 작가 초대전 = 26일까지. 문신미술관. 유료. 055-225-7187.

△제46회 대한민국 공에품대전 지역예선 및 도내 공예품 경진대회 = 성산아트홀 제1~3전시실. 22~27. 무료. 055-266-4044.

△마산대학 DSLR 동호회 사진전 = 23~28. 3·5아트센터 제3전시실. 무료. 010-7672-0443.

△제19회 경남여성작가회 정기전 = 23~28. 3·15아트센터 제2전시실. 무료. 010-3880-2212.

△청산 남종석 금니사경전 = 28일까지. 마산 추산동 정법사 만불전. 무료. 055-223-6212.

△정재삼 초대 개인전 = 29일까지. 더큰병원 8층 숲갤러리. 무료. 055-270-0931.

△‘무속신앙, 한국의 신명을 보다’전 = 30일까지. 창원시립마산박물관. 유료. 055-225-7173.

2016 싱글채널비디오 = 73일까지. 경남도립미술관 1층 영상전시실. 유료. 055-254-4600

△‘한일현대미술 임팩트(IMPACT)’= 78일까지. 경남은행갤러리. 무료. 055-290-8151.

△영크리에이터 ‘R=VD’= 710일까지. 창동예술촌 아트센터 2. 무료. 055-222-2155.

△우촌 최태문 화백 초대전 = 722일까지. 경남스틸㈜ 송원갤러리. 무료. 055-274-2066.

△최배혁 개인전 ‘걱정하지 말아요’ = 723일까지. 그림갤러리. 무료. 055-243-0999.

N아티스트2016-새로운 담지자 = 824일까지. 경남도립미술관 4, 5전시실 및 3층 전시홀. 유료. 055-254-4600

△신나는 미술관 ‘앨리스가 그곳에서 발견한 것’ = 824일까지. 경남도립미술관 1,2,3전시실 및 특별전시실. 유료. 055-254-4600

△흔적 120인 전 = 831일까지. 대산미술관. 무료. 055-261-5237.


진주


<공연>




2016 큰들 정기공연 – 마당극 남남북녀 혼례판굿 ‘오작교 아리랑’ = 18일 오후 3, 7. 경상남도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055-742-0802.

2016 장범준 전국 공연 ‘사랑에 빠져요’ = 19일 오후 5. 경남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1566-5973.

△진주챔버오케스트라 제28회 정기연주회 = 21일 오후 730. 경남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료. 010-3873-0287.

△미션코랄 제13회 정기연주회 = 23일 오후 730. 경남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료. 055-852-8789.


<전시>


△제5회 인연전 = 21일까지. 경남문화예술회관 제2전시실. 무료. 055-741-5645.

△참진주 수채화 정기전 = 23~28. 경남문화예술회관 제2전시실. 무료. 010-6477-9737.


김해


<공연>




2016 장범준 전국공연 ‘사랑에 빠져요’-김해 = 17일 오후 8. 김해문화의전당 마루홀. 유료. 055-320-1234.

△연극 ‘어쩌다 보니’ = 17일 오후 330, 8, 18일 오후 37. 김해문화의전당 누리홀. 유료. 055-320-1234.

GASC 애두름 페스티벌 = 18일 오후 8. 김해문화의전단 애두름마당. 무료. 055-320-1234.


<전시>


페르낭 레제의 ‘곡예사와 음악가들’.


△피카소에서 앤디워홀까지 = 26일까지. 김해문화의전당 윤슬미술관 전시실. 유료. 055-320-1226.

△최행숙 초대전 = 29일까지. 더큰병원 숲갤러리. 무료. 055-340-0900.

△건축도자 – Earth = 73일까지.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돔하우스 갤러리 1, 2 중앙홀 및 야외. 유료. 055-340-7070.

△하이퍼리얼리즘 : 피그말리온, 생명을 불어넣다전 = 925일까지.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큐빅하우스 4, 5, 6갤러리. 유료. 055-340-7070.


통영


<공연>




△줄리아드 스트링 콰르텟 = 18일 오후 730. 통영국제음악당 콘서트홀. 무료. 055-650-0400.

△통영 블루웨이브 여성합창단 기획공연(엄마니까, 괜찮아) = 18일 오후 5. 통영시민문화회관 대극장. 무료. 010-4585-7755.

△어린이뮤지컬 ‘앗! 짱돌이가 변했어요’ = 23일 오전 1030. 통영시민문화회관 대극장. 단체예약. 055-772-9393.


<전시>


△제16회 여수·통영 미술 교류전 = 17~23. 통영시민문화회관 전시실. 무료. 055-649-9933.


거제


<공연>




△영어뮤지컬 ‘2016 Tracy Party’ = 21일 오후 7. 거제문화예술회관 소극장. 유료. 055-634-2982.

△거제시여성합창단 제4회합창페스티벌 = 23일 오후 730. 거제문화예술회관 소극장. 무료. 010-3065-9912.


<전시>




△김소형 작가 ‘세상사람들’ 전 = 30일까지. 유경미술관 2. 무료. 055-632-0670.

△김성호 작가 ‘바다의 뜰’ 전 = 30일까지. 유경미술관 1. 무료. 055-632-0670.

△찾아가는 도립미술관 = 22~713. 거제문화예술회관 전시실. 무료. 055-680-1014.


사천


<전시>


권기주 작가 ‘재생과 생성전’


△리 미술관 4번째 기획전시 ‘6·25 사진전’ = 30일까지. 사천리미술관 3. 무료. 055-835-2015.

△리 미술관 17번째 초대전 권기주 작가 ‘재생과 생성전’ = 30일까지. 사천리미술관 제1. 무료. 055-835-2015.

△사천 리 미술관 18번째 초대전 김향금 작가 ‘김향금전’ = 30일까지. 사천리미술관 제2전시관. 무료. 055-835-2015.


양산


<공연>


△가족뮤지컬 ‘커다란 방귀’ = 21·22·23일 오전 1010, 1110. 웅상문화체육센터. 유료. 055-379-8550.


의령


<전시>


△의령예술촌 개촌 17주년 기념작품전 = 729일까지. 의령예술촌 1~5전시실. 무료. 055-570-2971.


창녕


<전시>


△미술래전 = 26일까지. 창녕문화예술회관 전시실. 무료. 055-530-1911.

△노병열의 Flow-잃어버린 파랑새를 찾아서 = 30일까지. 부곡스파디움따오기호텔 1층 로비. 무료. 010-2472-1283.


거창


<공연>


△힐링 뮤지컬 ‘빨래’ = 23일 오후 730. 거창군 문화센터 대공연장. 055-940-8640.


<전시>




△대한민국 원로작가 15인 초대전 = 3~30. 거창문화센터 전시장. 무료. 055-940-8460.


함양


<전시>


△어린이를 위한 이야기 독립운동사 전시회 = 17일까지. 함양문화예술회관 전시실. 무료. 055-960-5531.


함안


<공연>


토끼와 자라.


△영상으로 만나는 발레 ‘라바야데르’ = 17일 오후 7. 함안예술문화회관 다목적홀. 유료. 055-580-3608.

△가족뮤지컬 ‘토끼와 자라’ = 17일 오전 1010, 1120. 함안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02-2654-5854.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주말에 뭘볼까]어쩌다 보니 코미디?

극단 예도 ‘어쩌다 보니’ 17, 18일 김해문화의전당 공연


<어쩌다 보니>. 제목이 꼭 불완전 명사 같다. 아니 나오다 만 재채기 같다고나 할까. 어쩌다 보니, 뭐 어쩌라구. 뭐 어쩌는 게 있어야 시원하겠는데, 뭘 어쩌자는 건지….


극단 예도의 이 연극은 어떤 주제의식을 가지고 관객에게 뭔가 의미심장한 의미를 부여하고자 만들어진 연극이 아니란다. 교훈이 담긴 것도 아니요, 역사적 사실을 재해석하자는 얘기도 아니란다. 그저 그냥 웃고 즐기는 연극 한 번 만들어보자는 해방(?)의 의지로 만들어진 코미디물이란 게 제작진의 강변이다.




그래서 제목이 그렇게 붙었나 보다. 어쩌다 보니 그렇게 만들어진 연극. 그래도 타이틀 앞에 멋진 수식어 하나는 붙었다. ‘퓨전사극’. 이 연극은 작년 7월 거제문화예술회관에서 처음 무대에 올랐다. 작정하고 만든 연극도 아니고 그저 웃기는 연극 무대에 올려보자고 했던 연극이 대단한 호평을 얻었다.


“이번 작품은 폭소와 해학이 있어서 더욱 재미있게 볼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았고 공연장에서 즉석 오디션을 봐서 배우를 캐스팅하는 방법도 신선하고 좋았다.”


극단 예도 관람소감 게시판에 오른 관객의 글 일부에서 느낄 수 있듯이 작품은 관객과 호흡을 같이하는 형태로 구성됐다. 정통 연극방식에서 탈피했다는 얘기다. 그래서 관객들은 진지함을 내던지고 터놓고 웃고 떠드는지도 모르겠다.


어쩌다 보니’ 자료 사진./김해문화의전당


극의 큰 줄기는 1712년 조선과 청나라가 국경을 확정하면서 청이 손해를 보자 분풀이로 청 황제가 군대를 이끌고 거제를 침공했는데, 황제가 거제 현령에게 백성을 죽이고 싶지 않으면 희생양 세 명만 내놓으라고 하면서 일어나는 이야기다.


내미락네미락하던 사이 어쩌다 보니 당대 거제의 최고 지식인이라는 시형과 최고 권력자인 현령 찰홍이, 그리고 최고 부자인 형방 만갑이가 떠밀려 나와 희생양이 된다. 스스로 나선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잘못 나왔다고도 할 수 없는 상황. 그대로 밀고 나가는데…. , 이 세 사람은 어렸을 때부터 함께 자란 친구지간이다. 그래서 앞으로 벌어지는 일들이 더욱 재미로 연결될 고리가 된다.


이 세 친구가 죽음 앞에서 어떤 행동을 펼칠지 궁금하다. 등장인물은 멀티 역할을 맡은 여성 배우 세 명이 더해져 총 6명이다. 하지만, 공연장 즉석 캐스팅이 있어 등장인물은 더 늘어날 수 있다.


어쩌다 보니’ 자료 사진./김해문화의전당


어쩌다 보니’ 자료 사진./김해문화의전당


이번 공연은 김해 공연이어서 극의 배경도 청 황제가 거제를 침공한 것이 아니라 김해를 침공하는 것으로 설정된다. 극의 유연성이 발견되는 대목이다.


여러 자료사진을 보니 가면 쓴 청나라 황제가 있고 주막에서 음식을 파는 주모도 나오는 것 같고 반짝이는 현대 무대 의상을 입고 춤을 추는 여성도 있는 것으로 보아 직접 보지 않고서는 도저히 내용을 추측할 수가 없다.


이 공연은 경상남도와 경남문화예술진흥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후원했으며 김해문화의전당과 극단 이루마가 주최해 2016년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지원사업으로 마련됐다.


17일 오후 330· 8, 18일 오후 3·7. 김해문화의전당 누리홀. 15000.

문의 : 070-4231-9004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