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18)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8)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5)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59)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8-08 04:4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가을을 감싸는 따스한 바이올린 선율

10일 김해문화의전당 차세대 바이올리니스트 김봄소리의 ‘아침음악회’


노랗게 발갛게 물든 단풍잎이 바람의 선율에 몸을 맡기는 이 깊은 가을에 덩달아 식어가는 우리의 몸과 마음을 따스한 감성의 바이올린 선율에 맡겨보면 어떨까.


차세대 바이올리니스트로 주목받는 김봄소리가 오는 10일 오전 11시 김해문화의전당 누리홀에서 ‘따스한 그 선율’이란 주제로 관객을 만난다.


김봄소리는 지난 7월 중국 하얼빈에서 열린 ‘2016 앨리스 앤 엘레노어 쇤펠드 국제 현악콩쿠르’에서 바이올린 부문 공동 2위를 차지한 실력파다.




그는 2004년 금호영재콘서트를 통해 데뷔했고 예원학교와 서울예고를 거쳐 서울대, 뉴욕 줄리아드 음악원을 졸업했다. 현재 한국인 바이올리니스트로는 최초로 줄리아드음악원 아티스트 디플로마(Artist Diploma) 과정에 합격해 실비아 로젠버그와 로날드 콥스를 사사하며 전액장학생으로 재학 중이라고 한다.


그가 이날 연주할 곡들은 바흐와 포레, 모차르트, 엘가, 왁스만, 비에냐프스키 등인데 대부분 상당한 기교가 받쳐져야 제대로 작품이 뽑아져 나오는 곡들이다.




바흐의 곡 ‘파르티타 1번 샤콘느’는 ‘무반주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와 파르티타’란 작품 중에서 파르티타 2BWV1004의 마지막 부분의 곡이다. 조성은 D단조인데 피아노나 오케스트라의 반주 없어 바이올린 혼자 여러 개의 성부를 동시에 연주하는 데 상당한 테크닉이 필요하다고 한다. 잘 들어보면 여러 대의 바이올린이 동시에 울리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바흐의 이 샤콘느는 선율보다는 화성이 강조된 만큼 복잡하고도 차가운 느낌이 든다고 한다. 유튜브를 통해 정경화의 연주로 먼저 들어보니 애잔하면서도 장중한 느낌도 들었다.


다음 곡은 가브리엘 포레의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1A장조 작품번호 13번’이다. 4악장으로 된 이 곡은 포레가 초기에 지은 것으로 그 자신을 당당히 작곡가의 반열에 올려놓은 작품이다.


앞의 두 곡은 음악에 대한 열정이 테마였다면 다음 두 곡은 사랑에 대한 열정이 테마다. 모차르트의 바이올린 소나타 e단조 k304. 클래식을 싫어하지 않는다면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음직한 곡이다. 클래식 계에서 널리 알려지기로 모차르트만큼 바이올린 곡을 아름답게 표현한 사람이 별로 없을 거라는 평이 있다.


그리고 엘가의 ‘사랑의 인사’ 역시 모차르트의 바이올린 곡만큼이나 유명하다. 특히 영화 ‘미술관 옆 동물원’에 삽입되어 익숙한 곡이 되었으며 피아노와 어울려 애잔함이 더욱 돋보이는 곡이다.




세 번째 삶에 대한 열정 테마에는 왁스만의 ‘카르멘 환상곡’과 비에냐프스키의 ‘화려한 폴로네이즈 1D장조 op. 4’가 준비되어 있다.


프란츠 왁스만의 ‘카르멘 환상곡’은 먼저 연주되어 나오는 피아노곡만 들어도 어떤 음악인지 눈치 챌 정도로 널리 알려진 곡이다. 왁스만은 오늘날 바이올린 연주자들이 선호하는 작곡가라고 한다.


후기 낭만파로 분류되는 비에냐프스키의 이 곡은 ‘바이올린에 있어서의 쇼팽’이란 별호가 붙을 정도로 명작이라고 한다. 곡이 호화롭고 현란한 폴로네이즈 무곡조를 구사하고 있다. 구성이 웅장하면서도 곡에 담긴 정취가 풍부하다는 평이다.


전석 18000. 공연 후 다과 제공. 문의 : 055-320-1234.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gogo즐기go]4~10일 경남의 공연·전시


창원


<공연>




△극단 미소 ‘할배요’ = 5일 오후 730. 도파니아트홀. 유료(감동후불제). 055-264-5264.

△경남교원필하모닉오케스트라 제11회 정기연주회 = 5일 오후 5. 성산아트홀 대극장. 무료. 010-3337-9649.

△경남플루트앙상블 제6회 정기연주회 = 5일 오후 730. 성산아트홀 소극장. 무료. 010-9587-9118.

△어린이뮤지컬 ‘눈의 여왕’ = 5일 오후 1, 3. 진해문화센터 공연장. 유료. 1566-1318.

△솟대패사물놀이예술단 정기공연 ‘쟁이 하늘로 솟다’ = 6일 오후 6. 성산아트홀 대극장. 무료. 055-284-5960.

CWNU윈드오케스트라 사랑나눔음악회 = 8일 오후 730. 성산아트홀 대극장. 무료. 010-6486-7712.

△모닝콘서트 – 영상과 함께하는 시네마콘서트 = 8일 오전 11. 성산아트홀 소극장. 유료. 055-719-7800.

△소프라노 이나원 독창회 = 8일 오후 730. 성산아트홀 소극장. 무료. 010-7166-6064.

△가족 뮤지컬 ‘브레멘음악대’ = 8일 오전 1015, 1120. 진해문화센터 공연장. 유료. 1666-1318.

△창작국악관현악 groove = 9일 오후 730. 3·15아트센터 대극장. 유료. 055-241-2074.

△제2회 창원실내악축제 ‘With Music’ = 9일 오후 730. 3·15아트센터 소극장. 무료. 010-7200-1282.

△제9회 이수인 가곡의 밤 = 10일 오후 730. 3·15아트센터 대극장. 유료. 055-266-5580.

△코리안 드림 신포니에타 제11회 정기연주회 = 10일 오후 730. 3·15아트센터 소극장. 무료. 055-289-7745.

△제8회 시와 함께하는 가을음악회 = 10일 오후 7. 성산아트홀 소극장. 유료. 010-5373-6678.

△재즈파크빅밴드와 정수라의 힐링콘서트 = 10일 오후 730. 진해문화센터 공연장. 유료. 055-719-7800.


<전시>


장일순 작 ‘만물여아동체’.


2016문자문명전 = 6일까지. 무료. 성산아트홀 제1~7전시실. 무료. 055-719-7832.

△무위당 장일순의 삶과 수묵전 = 6일까지. 3·15아트센터 제1전시실. 무료. 055-298-0573.

△코리아부경아트 아동그림전시 = 6. 3·15아트센터 제4전시실. 무료. 010-3586-0888.

2016경남건축문화제 = 7일까지. 3·15아트센터 제2~3전시실. 무료. 055-246-4530.

△고 권영호 화백 회고전 = 11일까지. 경남은행 본점 1층 갤러리. 무료. 055-274-2066.

△제23회 경남서단전 = 9~14. 성산아트홀 제1전시실. 무료. 010-9205-8500.

△제21회 둥지회전 = 9~14. 성산아트홀 제2전시실. 무료. 010-3865-9189.

△마산교구설정 50주년 가톨릭미술인전 = 9~14. 성산아트홀 제3전시실. 무료. 010-3419-7282.

△제30회 경남산업디자이너협회전 = 9~14. 성산아트홀 제4전시실. 무료. 010-3576-5887.

△그리미 제9회 정기전 = 9~14. 성산아트홀 제5전시실. 무료. 010-6529-3959.

Exhibition Of Fablic Art 2016 = 9~14. 성산아트홀 제6전시실. 무료. 010-9900-1130.

△냉정과 열정 사이-김계완 박재영 2인전 = 26일까지. 월남동 장원빌딩 그림갤러리. 무료. 055-243-0999.

△경남 100100작 신종식전 = 124일까지. 경남도립미술관 제3, 4전시실. 유료. 055-254-4600.

△피카소와 세 개의 정원 = 124일까지. 경남도립미술관 제1,2,3전시실. 유료. 055-254-4600.


진주


<공연>




△모노드라마 손숙의 ‘그 여자’ = 4일 오후 730. 경남도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1544-6711.

△대한민국 실버 페스티벌 = 5일 오후 3. 경남도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료. 055-763-5677.

△진주챔버콰이어 정기연주회 = 8일 오후 930. 경남도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055-747-9759.


<전시>


△한국서예협회 진주지부전·경남학생서예대전 = 4~8. 경남도문화예술회관 제1전시실. 무료. 010-38892166.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기획전 ‘보이는 감각’ = 30일까지. 경남도문화예술회관 제2전시실. 무료. 1544-6711.


김해


<공연>




△어린이 연극 ‘피노키오’ = 4일 오전 11·오후 1·4, 5일 오전 11· 오후 2. 김해문화의전당 누리홀. 유료. 77-4868.

△제10회 김해연예예술인협회 정기공연 = 4일 오후 6. 김해문화의전당 애두름마당. 무료. 055-313-0475.

△시민과 함께하는 예술한마당 = 5일 오후 5. 김해문화의전당 애두름마당. 무료. 055-311-7621.

△경남 우수 문화예술공연 유치사업 선정작 ‘불효자는 웁니다’ = 5일 오후 3·7, 6일 오후 2·6. 김해문화의전당 마루홀. 유료. 055-320-1234.

△김해신포니에타 제32회 정기연주회 = 8일 오후 730. 김해문화전당 마루홀. 무료. 010-6334-9557.

△아침의음악회 ‘RED 바이올리니스트 김봄소리-따스한 그 선율’ = 10일 오전 11. 김해문화의전당 누리홀. 유료. 055-320-1234.

△김해교향악단 제48회 정기연주회 = 10일 오후 730. 김해문화의전당 마루홀. 무료. 010-9403-1462.


<전시>




△제9회 김해미술대전 = 5일까지. 윤슬미술관 제1전시실. 무료. 070-4248-5163.

△제6회 임호서각 전시회 = 6일까지. 윤슬미술관 제3전시실. 무료. 010-3871-0554.

△제16회 김해구상작가회 정기전 = 7~13. 윤슬미술관 제3전시실. 무료. 055-320-1261.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개관 10주년전 ‘Post-Tile, 타일 이후의 타일’ = 1225일까지. 유료. 055-340-7007.


밀양


<공연>




△고재경의 마임콘서트 = 4일 오후 730, 5일 오후 5. 밀양아리랑아트센터 소공연장. 유료. 055-359-4541.

△제10회 밀양오페라단 정기공연 = 8일 오후 730. 밀양아리랑아트센터 대공연장. 유료. 010-2666-2515.


<전시>


△밀양청년작가회 정기전 = 6일까지. 밀양시립도서관 미리내갤러리. 무료. 017-554-2622.


통영


<공연>




△뜨라토리아 델 아르테 재즈나이트 = 4일 오후 830. 통영국제음악당 뜨라토리아 델 아르테. 유료. 055-650-0400.

2016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결선 = 5일 오후 2. 통영국제음악당 콘서트홀. 유료. 055-650-0400.


<전시>




△섬, 그 소리 없는 아우성-피아노전 = 11일까지. 통영국제음악당 블랙박스. 무료. 055-650-0400.

△통영아트페어 미술전시회 = 24일까지. 통영시민문화회관 전시실. 무료. 010-3557-4256.


거제


<공연>




△국립오페라단 ‘토스카’ = 4일 오후 730, 5일 오후 3. 거제문화예술회관 대극장. 유료. 055-680-1050.

△뮤지컬 ‘비밥’ = 8·9·10일 오전 10. 거제문화예술회관 대극장. 무료. 055-680-1050.


<전시>


김록희 개인전 출품작.


△제15회 거제문화화가회 정기회원전 = 17일까지. 거제문화예술회관 전시실. 무료. 010-8517-6821.

△김록희 개인전 = 9~14. 거제문화예술회관 전시실. 무료. 010-2658-6571.


사천


<전시>




△리미술관 서른 번째 초대전 ‘그대와 함께’ = 30일까지. 리미술관 제2전시관. 무료. 055-835-2015.

△리미술관 스믈아홉번째 초대전 ‘사천의 사계’ = 30일까지. 리미술관 제1전시관. 무료. 055-835-2015.


창녕


<공연>




△국악힐링콘서트 = 4일 오후 730. 창녕문화예수회관 대공연장. 유료. 055-530-1911.


<전시>



△제34회 창녕미술협회전 = 9일까지. 창녕문화예술회관 전시실. 무료. 055-530-1911.


함안


<공연>




△뮤지컬 ‘빨래’ = 5일 오후 3·7. 함안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유료. 055-580-3608.


함양


<공연>




△뮤지컬 ‘루나틱’ = 5일 오후 5. 함양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료. 055-960-5544.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주말에 뭘볼까]가족의 어른 ‘할배’의 존재는?

극단 미소 가족 간 소통 다룬 ‘할배요’ 5일 도파니아트홀 공연


‘할배요!’ 전형적인, ‘갱상도’ 사람들이 어르신인 할아버지를 편안하게, 혹은 업신여기듯 부르는 호칭이다. 할아버지 수염을 잡고 놀던 ‘머스마’도 언젠가 세월에 밀려 살다 보면 그 ‘할배’가 되겠지만, 그 ‘할배’란 존재는 어떤 것일까?


결혼을 해서 아기를 낳고, 애지중지 키우면서 한 때는 그게 세상 사는 낙인 줄로만 알던 시절도 지나가고 자식이 또 자식을 낳아 기르면서 뒷방 늙은이로 자손들의 관심 밖으로 밀려나 어디 공원 햇살 잘 드는 벤치에 앉아 하루 온종일 사람 구경으로 소일을 보내는 존재?


극단 미소는 이러한 ‘할배’의 이야기를 통해 가족 간의 사랑과 화목을 풀어낸다. 오는 5일 오후 730분 창원 명서도 대호상가 지하 ‘도파니 아트홀’에서 장종도 작·연출의 ‘할배요’를 공연한다. 3일과 4일 공연도 있으나 단체 예약이 끝난 터라 일반 관람은 토요일 공연만 가능하다. 관람료는 도파니아트홀이 종종 시행하는 요금제인 공연 관람 후 돈을 내는 ‘감동후불제’로 감동한 만큼 성의껏 내면 된다고 한다.


이야기는 먼저 간 아내의 제사를 준비하면서 자식들과 갈등을 일으키며 시작한다. 이야기의 주인공인 이 할아버지도 젊었을 때 그렇게 살았는지 모르지만 팍팍한 사회생활에 여유 없이 살아가는 자식들은 이 ‘할배’ 앞에서 대놓고 어머니 제사 문제로 티격태격 다툰다.




‘자식들이란 게…’ 이쯤 서운함이 북받쳐 오르면 저도 모르게 언성을 높이고 마멸차게 자리를 박차고 나가버리는 경상도 ‘할배’의 전형적인 모습일지도 모른다. 소개한 줄거리를 보니 이 ‘할배’가 “연을 끊자!”며 호통을 쳐서 모두 돌아가게 했단다.


이 장면에서 연출자의 속마음을 상상해봤다. ‘영감, 성질머리하고는! , 좀 참고 자식들 잘 달래서 마누라 제사라도 마음 편하게 지낼 것이지!’ 하는, 할머니가 살아있었다면 했을 법한 그런 마음.


그렇게 자식들과 한바탕 전쟁을 벌인 뒤 아내의 제삿날은 다가오건만 아무도 전화 한 통 걸어오는 놈이 없다. 하는 수 없이 ‘할배’는 홀로 아내의 제사상을 차린다. 자식은 오지 않고 영감 혼자 기제를 지내는 장면에서 기시감(데자뷔)이 있다.


지난해 3월 경남연극제에 출품됐던 극단 ‘객석과무대’의 ‘행복한 가족’ 역시 쓸쓸히 지내는 ‘할배’의 아내 제사상 차리기가 모티브였다. ‘가화만사성’을 가훈으로 삼고 있는 이 집. 그래서인가 극이 진행되는 동안 가족들은 화목하게 제사를 지낸다. 미국에 사는 막내도 아버지와 통화하면서 제사에 참석하지 못한 게 영 미안한 마음이다. 극의 끝에서 반전이 있었다. 자식들로 역할을 대행한 ‘제사대행사’의 작품이었던 것이다.


극단 미소의 ‘핼배요’에선 귀신들이 등장한다. 영감 혼자서 아내의 제사상을 차리고 있는데 마침 이날 제삿밥 먹으러 왔던 귀신들이 무슨 연유인지 모르나 자기 제삿밥을 먹지 못하고 어슬렁거리다가 영감의 집으로 모여든다. 등장인물을 보니 귀신 1, 2, 3, 4. 정작 아내 귀신이 없다. 자식들의 다툼에 영감의 역성에 귀가 송신스러워(어수선하고 혼란스러운 상태를 나타내는 경상도 사투리) 토라져 오지 않았을지도 모르겠다.


할배와 할배 집에 우연히 들른 다른 집 귀신들이 나누는 이야기. 할배가 살아온 기나긴 세월의 이야기를 하룻밤 새 다 풀어놓을 수야 있으랴만 이들의 이야기를 통해 가족 간의 사랑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풀어놓는다고 한다.


극을 쓰고 연출을 맡은 장종도는 팸플릿을 통해 “외로움과 침묵의 대명사 경상도 할배, 전화 한 통 하지 못할 정도로 쑥스러움이 많은 할배,…우리는 자식이니까 모를 수 있다고, 그러니까 손 반 번 내밀어 보라고” 했다. 그리고 관객들에겐 공연을 본 후 부모님께 전화 한 통 할 수 있게 되길 희망했다.


‘할배’역에 천영훈, 귀신1 윤영경, 귀신2 주요한, 귀신3 박시우, 귀신4 정진영. 문의 : 055-264-5264.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