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01)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8)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5)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4-27 00:02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지난 15일부터 20일까지 창원성산아트홀 제1전시실에서 열린 제20회 경남여성작가회전.


작품을 감상할 때 그날의 기분이나 또 일종의 바이오리듬 같은 어떤 생체의 흐름 같은 것에 의해 작품의 호불호가 정해지기도 하는갑다.


지난 주 금요일, 일부러 성산아트홀을 찾았다. 경남도립미술관 한 바퀴 돌고서였지만. 어쩌면 도립미술관에서 봤던 작품들이 성에 차지 않아서였는지도 모르겠다.


2층에서 전시되고 있던 창원대 미술학과 졸업전도 아주 긍정적이고 관심있게 감상했던 것처럼 여성작가회 전시회에서도 그런 기분이었다. 그래서인지 괜찮은 작품들이 제법 눈에 들어왔다.


그중에서도 눈길을 끌었던 몇 작품 기록에 남긴다.


신성희 작 '느낌! 자연속으로'. 사실 이 작품은 구상이나 기법에서 특별한 게 있지는 않다. 다만 개인적으로 아주 유사한 경험, 추억, 뭐 그런 감성을 자극하는 작품이란 점에서 선택.


옥인숙 작 '동상이몽'. 이날 봤던 작품 중에서 가장 감명받은 그림이다. 사진이 흐릿해 아쉽다. 동상이몽이란 제목도 적절하고 작가의 심리가 잘 표현된 것 같다. 부부의 다른 생각도 동상이몽이겠지만 한 사람이 두 가지 이상 상충되는 다른 고민을 갖는 것도 동상이몽이리라.


이명숙 작 '한국의 미'. 점묘파 느낌이 나는 그림. 화폭 속에 감춰진 이미지를 찾는 재미가 있는 작품이다.


도록에 다른 작품이 올라가 있는 바람에 작가와 작품명을 알기 어렵다. 사진이라도 깔끔하게 찍었더라면. 이 한국화를 보면서 묘한 느낌을 받았다. 키큰 대나무 숲을 걸어가는 여인의 심리가 읽혀서다. 정자의 위치나 여인의 그림자가 아주 비현실적인 것도 그림 속으로 한걸음 더 들어가게 만드는 요인이다. 외로운 여인과 빛. 그 두 개의 키워드 속에 뭔가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것이 있을 것이다.


김다순 작 '삶의 향연'. 그냥 위에 있는 낙서만 보면 어지러운 심리를 마구 그렸나 싶었다가 아래의 시루봉을 연결시켜 그림을 읽어보니 뭔가 이야기가 있는 듯하다. 하늘을 이렇게 표현한 사람은 아마도 김다순이 처음을 것이다.


제목이 '아침수다'다. 정순옥 작. 여탕 풍경인데 익숙한 그림체다. 굵은 윤곽선이 인상적이다. 좀 엉뚱하지만.... 작가가 좀 유명해지면 상당한 가격을 부를 수 있는 작품 아닐까 싶다.


그림은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느끼는 것이라고 했는데... 어느 순간부터 그림을 보려고 하지 않고 읽으려 하는 나 자신을 본다. 좀 더 그림을 보는 훈련이 필요하지 싶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Drawing 그리고 Dreaming 그리고 Missing 그리고. DDM. 학생들의 졸업전에 딱 어울리는 제목이다. 지금은 전시가 끝난 상황에서 봤던 걸 올리려니 좀 생뚱맞긴 한데... 이제야 겨우 작성할 시간을 낼 수 있으니 어쩔 수 없다.


창원대 미술학과 졸업전은 지난 15일부터 19일까지 닷새 동안 창원 성산아트홀 제4, 5, 6전시실에서 개최됐다. 한국화 부문에 김지수, 남화연, 류진, 박형준, 안지영, 손혜빈, 하윤서, 전예주, 서양화 부문에 고은빈, 김영은, 김나연, 김은지, 김채빈, 김태영, 김하나, 박인영, 서다영, 김하나, 박인영, 서다영, 서민정, 정연지, 조영서, 최은지, 한상희, 실용조각 부문에 박제영, 신아영, 이수정, 이규형, 장성주, 조혜원, 최소현 등이 참여했다.


지난해에도 창원대 졸업전을 본 기억이 있다. 학생들 작품 치고는 상당한 수준이라고 여겼더랬는데 올해 역시 번떡이는 아이디어와 색다른 시각을 느낄 수 있었다.


4전시실 입구. 창원대 미술학과 36회 졸업전이다.


서다영 작 'paradise'.


4전시실 내부.


포스터 앞 인증샷.


작품을 관람하는 관람객들.



현수막과 작품들.


김은지 작. 그 많던 골목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낯선 시선으로 일상성의 가치가 깃든 공간을 바라보다 라고 작품을 소개하고 있다. 'Unfamiliar'.


신아영 작 '나'.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극단이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을 꾸준히 유지하는 것도 부럽지만 그 청소년들이 꾸준하게 활동할 수 있게 극단이 뒷받침되어준다는 것도 정말 부럽고 고마운 일이다.


본격적으로 연극에 발을 들이면서 연을 맺게된 극단이 밀양의 메들리다. 올해 경남연극제를 밀양에서 열었기 때문이다. 물론 메들리의 연극은 지난해 '경남이야기'를 맡고 있을 때 취재차 관람하고 글을 썼던 적이 있었다.


메들리는 청소년극회를 운영하고 있다. 청소년극회를 잘 운영하고 있는 곳이 도내에 몇  된다. 진주 현장이나 김해 이루마 등이다. 물론 이외에도 여럿 있을 것이다. 극단이 청소년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발표하도록 기회를 만드는 것은 정말 권장할 일이다.


이런 발표를 통해 청소년들은 자신의 끼를 발견하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으며 또한 정신도 더욱 건강해져서 올바른 어른으로 성장할 것이기 때문이다.


밀양 청소년극회 세우인이 공연을 했다는 소식을 듣고 극단 메들리의 김은민 대표에게 자료를 부탁했다. 나는 기사로서 관심을 나타내고 독자들은 기사를 보고 은연 중에 조금씩 청소년들의 활동에 관심을 보이지 않을까 기대한다.


공연을 봤다는 관객의 이야기 하나가 와닿는다. "우리 지역에 이런 청소년 단체가 있는 줄 몰랐고 미안하다. 관심이 있는 친구들을 적극 추천하겠다." 청소년들의 활동이 많이 전파되고 왕성한 활동으로 이어졌으면 좋겠다.



온라인 기사


http://www.idomin.com/?mod=news&act=articleView&idxno=552680&sc_code=1395288640&page=&total=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