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18)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8)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5)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59)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8-04 19:21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월초가 문단에 데뷔하여 금의환향한 이야기. 무엇보다 월초가 관심을 보였던 한현주라는 여성이 등장하는데 글을 베껴 쓰면서도 그가 경남연극에 어떤 역할을 했기에 한하균 선생이 주목해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지 궁금하다. 문득, 현재 경남연극인들 중에 이런 이야기로 관심을 끌 수 있는 인물이 누가 있을까 궁금해진다.




일정 말기인 1930년대 말, 우리 나라의 유일무이한 문학전문지인 <문장>에 그렇게도 간절히 소망하던 문단 데뷔의 일차 관문을 통과하게 되자 월초는 그리운 고장 마산을 찾아와 온 시중을 휩쓸고 다녔다.


그 당시 마산 시중이래야 신마산은 70% 가까이가 일본인이 모여사는 신시가지였고 구마산은 거의 전부가 한국인이 취락하여 사는 보수색이 짙은 마을이었다. 다만 오동동만이 술집이 많이 있었지만 전통적인 노랫가락과 신판 유행가가 뒤섞인 이른바 '안방술집'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니까 이른바 술깨나 한다는 사람들은 초장술은 북마산에서 마시고 거나해지면 카페 '공작'과 '은하'를 찾아들게 마련이었다. 당시 마산에는 카페라고는 앞에 말한 두 곳뿐이었다.


지금 남성동 파출소 앞에 제일은행이 있고 그 제일은행 뒤편에 부림시장으로 들어가는 길이 있는데 그 길 왼편에 아주 조그마한 골목이 있었고 그 골목 초입에 '공작'(옛날 미도식당 자리), 그리고 그 건너편에 '은하'가 있었다.


예나 지금이나 장래가 촉망되거나 그 미래가 보증된 사람의 주변에는 으레 술 친구가 모여들게 되어 있는데, 월초 자신의 말대로 '보증이 붙은 문학청년입네 하고 선배들이 곧잘하던 데카당 흉내를 내고 있었으니 주변에 술 친구가 없을 리 없다. 그러니 자연스레 마산 최고의 신식 사교장인 공작과 은하에 날마다 출근하다시피 했고, 그 중에 은하의 요정 현주를 만나게 된 것이다.


한현주. 그녀의 본명은 모른다. 술이 거나해지면 월초는 스스럼없이 옛일을 다 털어놓으시면서도 끝까지 그녀의 본명은 '어딘가에 살아 있을 그녀의 명예를 위해' 밝힐 수 없다는 것이다. 다만 그녀가 황해도 사리원 출신으로 서울의 풍문고녀(요즘의 여고)를 거쳐 이화여전(이화여대의 전신) 문과를 졸업한 아가씨라는 것만 밝혔다.


부산일보에 발표한 <세정무정(世情無情)>에서 이화여전 중퇴라고 쓴 것은 그녀의 신분을 노출시키지 않으려는 뜻에서였고 재학 당시 '메이퀸(5월의 여왕)'으로 뽑힌 적도 있는 재원이라는 것이다.


"이건 자네만 알아야 해"하고 몇 차례나 당부하신 뒤 "이화여전 연극반이 공연했던 체호프의 <3인자매>에 '아주 중요한 역할'(역시 역명을 밝히면 그녀의 신분이 노출되니까)로 출연했던 연극 광(狂)이었어"라며 처연하게 회상하시곤 했었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31화 중 홍해성이 등장하는 장면에서 왜 방송에도 종종 나왔던 유명인사가 떠올랐다. 이름이 김벌레든가... 아, 김벌래. 인터넷이 가까이 있어서 이렇게 편하다니까. ㅋㅋ. 이 양반은 여러가지 도구로 음향효과를 내는데 참 기발하기도 하단 생각을 했더랬다. 정진업이 유치진 홍해성 이런 분들한테서 연극을 공부하던 중 '극예술연구회'가 강제해산이 되었단다. 정진업으로선 얼마나 아쉬운 일이랴. 게다가 홍해성은 신파극을 하는 동양극장으로 옮겨갔다. 정진업이 좀 알아주는 연극인이었다면 같이 가잔 제의도 들었겠지. 그럼에도 다행히 한달만에 '극연좌'란 이름으로 극단이 재구성된다. 당시 일제가 아무리 밟아도 일어서던 민중처럼 극단도 그랬나 보다. 여튼 연구생 시절에 문단에 데뷔한 실력이 부럽기도 하지만... 내 글이야 기자라는 신분 때문에 세상에 많이 퍼져되어 있지만 그래, 문단 데뷔... 이런 것도 하고 싶네. 갑자기, 문득, 각중에, 백줴....ㅎㅎ



그런데 이 홍해성은 고매한 이론보다는 실제로 축지 소극장에서 배운 그대로 시범을 보여주는 형태로 강의하였기 때문에 수강생들에게는 대단한 인기가 있었다고 한다. 가령 효과의 실제를 말하면서 요즘은 녹음기에다 실제로 진짜 소리를 녹음하여 쓰기도 하지만 그 당시는 거의 대부분 의음으로 효과음을 냈다.


"바람 소리는 '윈드머신'이라고 하는 도구의 손잡이를 돌리면 천과 톱니바퀴가 마찰 바람 소리가 나는데, 도리는 방법과 천의 질에 따라 바람의 강약을 낼 수 있다. 또 빗소리는 부채에다 콩이나 팥 같은 것을 20개쯤 실로 꿰어 매단다. 그것을 콩을 위로 하고 좌우로 흔들어 움직이면 빗소리가 난다. 부채 두 개를 동시에 흔들면 더욱 세찬 빗소리가 난다. 그리고 천둥소리는 철판을 매어 달고 두드리되 주먹으로 가볍게 치면 먼 거리의 원뢰 소리가 되고 북채로 힘차게 두드리면 벼락 치는 소리가 난다…."


이렇게 연극의 이론과 실제에 대하여 많은 것을 배우고 또 때가 오면 무대 위에서 발휘할 날만 고대하던 중 19383'극예술연구회'가 강제 해산되는 비운을 맞은 것이다. 일본 경찰은 19377월 중일전쟁을 일으킨 뒤 '극예술연구회'를 일종의 사상단체로 보고 또한 그 동인들을 민족주의자로 간주하여 해산시키기에 이른 것이다.


그러나 일본 제국이 총칼로 꺾으면 꺾을수록 한겨울에도 그 생명력을 과시하는 소나무처럼 우리의 순수 연극인들은 다시금 힘을 합친 것이다. 비록 홍해성이 동양극장(신파연극을 상연하던 극장)으로 옮겨 가고 일부는 연극계를 떠나버렸지만 19384, 그러니까 '극연'이 해체된 한 달쯤 뒤에 '극연좌'란 이름으로 다시 무대를 찾게 된 것이다. 물론 월초도 극연좌 연구생으로 자리를 옮겼음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해가 바뀌어 1939"<카츄샤에게 보내는 편지>가 이 무렵 상허(이태후를 일컫는 말)의 추천으로 비로소 관문을 통과는 했지만 제2, 3작을 통과하기 전에 일제의 문화말살정책으로 폐간이 되고 말았다. 당시 상허는 서간문형식으로 된 필자의 단편을 주제의식이 희미한 감상문이라고 비판하면서 200자 약 50매분을 얼마나 퇴고했던지 30매 정도로 깎아 발표하여" ('나의 무단 올챙이 시절' ) 이른바 문단 데뷔를 하게 되자 개선장군(?)처럼 금의환향하게 된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정진업이 서울로 연극 공부를 하러 가서 만난 사람이 유치진과 홍해성이라고 한다. 물론 이광래가 내쳤더라면 그마저도 불가능했을 인연이었겠지만, 어쩌면 번역 일을 하면서 '극예술연구회'가 주최한 강습회에 참여할 수 있게 된 것만 해도 여간 다행한 일은 아니었겠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들을 들여다 보면 좋은 스승을 만나는 것만큼 중요한 일도 없겠다 싶다.




월초가 서울에 갔을 때의 광래는 극작가로서보다도 오히려 문화부 베테랑 기자로 더욱 명성이 높았을 때였다. 광래는 연극을 배우겠다고 찾아온 고향 후배를 매몰차게 되돌려 보낼 수는 없고 여러 가지 궁리를 하다가 우선 검열대본 번역일을 맡겨 보기로 했다.


당시는 우리나라 말로 연극을 할 수 있을 때였는데(왜정 말기에는 일본말로 대사를 주고 받아야 했으니까) 우리 나라 작품을 조선총독부 산하의 관청에서 공연 허가를 얻으려면 일본말로 된 대본을 제출하게 되어 있었다. 그래야만 일본 관헌이 읽고 판단할 수 있을 테니까.


광래는 이 일을 주선해 진업에게 맡기면서 그의 호구지책을 우선 해결하기로 한 것이다. 여기에는 두 가지의 뜻이 내포되어 있었다. 하나는 작품(희곡)을 접함으로써 연극의 세계에 입문시키려 함이었고, 또 다른 하나는 연극계 인사들과 얼굴을 익혀 안면을 넓히기 위한 것이었다.


다행히 월초에게는 문재(文才)가 있어 광래의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문장력을 발휘하여 각 극단에서는 웬만하면 월초에게 번역 일을 맡기고자 하였다. 그러나 예나 이제나 '문필 업'은 생활과는 먼거리에 있었다.


한 작품 번역해보아야 한 달치 하숙비가 될똥말똥하는 그런 싸구려 수입뿐이었다. 이러한 번역하는 일로 극단 주변에서 약 1년쯤 지냈을 때인 1937년 11월 '극예술연구회'의 실천부(극예술연구회는 크게 연구부와 실천부로 나뉘어 있었고, 전자는 실험무대를 두고 또 후자는 강습회 등을 통하여 새로운 연기자 양성과 연극의 중요성과 함께 스태프의 각 분야별 전문 강의를 맡아 하고 있었다) 산하 강습회 회원으로 수강하게 된다.


이 강습회에서 몇 달 동안 강의를 받던 중 가장 인상적인 과목은 동랑 유치진의 <연기론>과 홍해성의 <무대론>이었다. 유치진은 너무나 유명한 극작가요 연출가니까 새삼스레 말할 필요는 없겠지만 홍해성에 대하여 잠시 언급해 두고자 한다.


홍해성은 극예술연구회 동인(해외문학파)들보다는 약 10년 선배로 소년시절부터 일본 신극의 요람인 축지 소극장에서 일본 신극의 개척자 오사나이 카오루에게서 신극의 무대 기술과 연기를 배우고 익혀 귀국하여 한국에 이식한 신극계 공로자의 한 사람이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