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24)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8)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1)
경남민속·전통 (15)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64)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9-16 00:0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2009년 7월 16일 수요일 아침. 마산 석전동. 하늘에서 쏟아지는 빗소리가 예사롭지 않다. 아이들이 등교하던 7시 30분에서 8시까지는 여느 비오는 날처럼 그러려니 했다. 아이들이 학교에 가고나서 이리저리 정리할 것 하고 막내를 데리고 나서려는데 세다. 빗줄기가 주룩주룩 내리는 것이 아니라 쏴하고 쏟는다. 대개 이렇게 강하게 내릴 땐 얼마 못가서 숙지근해지는데 그렇지 않다. 하는 수 없이 빗속에서 아이 인형이다, 가방, 이런저런 것들을 차 안으로 옮기고 막내를 차에 태워 출발했다.

 

8시 40분. 9시 20분까지 출석카드를 찍어야 하는데 딸막딸막하다. 석전초등학교 쪽으로 해서 큰길에 나가려는데 차들이 많이 밀린다. 경남은행 본점 앞에서 좌회전하지 않고 직진했다. 아이쿠. 뒷길에 물이 너무 많이 찼다. 바퀴의 반은 물에 잠긴다. 여전히 비가 내리 붓는다. 막내는 뒷좌석에서 잘 논다.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앞으로 해서 큰길로 나왔다. 도로의 반은 황톳물로 잠겼다. 1,2차로 정도는 차를 몰고 다닐 만하다.

 

합성동을 지날 때 머리를 굴렸다. 창원대로길에서 북면으로 들어가는 곳이 낮은 지대이므로 물에 찼을 것 같다. 철길 옆 교차로에 들어섰을 때 구암동 쪽으로 좌회전했다. 아무래도 지대가 높으니 물이 차지는 않았을 것이었다. 예상대로 였다. 그길로 북면 도로로 차를 올려 달렸다. 굴현터널에 당도했을 때 입구쪽에 교통통제가 있었다. 1차로 하나만 차량이 통행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이유는 오른쪽 산위에서 물이 폭포처럼 쏟아져 내렸기 때문이다.

 

터널을 지나고 나서부터는 물에 잠기거나 위험지역은 없었다. 북면 집까지 안전하게 도착했다. 대문앞에 차를 세웠을 때 마침 비도 조금 잦아들었다. 아이를 집안에 들여놓고 도시락을 챙겨 다시 시동을 걸었다. 감계리 산중턱에 있는 지게차 학교 실습장으로 가기 위해서다. 시간이 빠듯하다. 3분 남았다. 지각은 면하지 못하겠다.

 

올라가는 길에는 자갈들이 길에 쏟아져 나와 차가 털털거렸다. 시간은 없는데 속도를 낼 수가 없다. 도착하니 차가 별로 없다. 넉대 정도 비를 맞고 서있었다. 사무실로 들어가 카드를 긁으니 9시 20분 50초다. 50초만 당겼어도 지각은 아닌데...

 

진해팀이 오지 않는다. 석진씨가 전화를 하니 물에 잠겨 시동이 꺼졌단다. 창원 홈플러스 앞에서. 보험사에 전화를 해봤지만 레커가 오지 못하는 사정이란다. 다른 때엔 오라지 않아도 살짝 박기만 해도 총알같이 달려오던 레커가 오늘만큼은 배짱인 것인가? 아마도 오늘 같은 날 레커가 가장 바빴지 싶다. 물론 교통관련 공무원이나 사고지역 사람들도 바쁘긴 했겠지만.

 

구조대가 출발했다. 나중에 이야기를 들으니 동승했던 원생들이 물 속에서 차를 밀고 쇼를 했다는데... 진익 씨는 그 와중에도 담배 사러 가야 한다며 차에서 빠져나갔단다. 다른 사람들의 원성을 뒤로한 채. 숙희 씨의 이 진술은 농 반 진담 반으로 들렸다. 구조대가 가서 일단 점퍼로 시동을 걸어보니 다행히 걸렸단다. 물먹은 차는 카센터로 가고 나머지는 실습장으로 왔다.

 

이 와중에도 진 부장의 지시에 따라 원생들은 열심히 지게차 연습을 했다. 모의 주행 시험을 쳤는데 다들 속도가 늦다. 벌써 수중 운전을 한 게 나흘째다. 시험을 치는 내일은 날씨가 좋아야 할 텐데 일기예보가 반갑지는 않다.

 

뉴스에선 산사태도 나고 가옥이 무너지고 침수 사망 실종사건도 터져 난리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아무리 살을 맞대고 사는 부부지간이라도 소통이 되지 않으면 오해가 생기고 그 오해가 풀리지 않으면 돌아서게 된다. 그래서 소통은 인간 삶의 아주 기본적인 요건이다. 이런 기본적인 것이 얼마나 통하지 않았으면 '소통하자'고 그렇게 강조하는 것일까. 더 웃기는 것은 소통하자고 그렇게 강조한 사람이 소통을 거부하는 경우인데 이런 사람의 본질은 이기주의에 있다. 자신에게 유리하면 소통하고 불리하면 먹통해버리는 사람이다.

이런 사람은 단체나 조직에 피해를 끼친다. 다른 사람에게 스트레스를 주고 병들게 한다. 나아가 사회를 병들게 한다. 결국엔 피해가 자신에게 돌아가게 되고 후회하게 되는데 문제는 그것을 모른다는 것이다.

영화 '핸드폰'이 이러한 상황을 아주 잘 설명해주고 있다. 연예인 매니저를 하는 주인공이 집으로 돌아와서는 피곤하다는 이유로 아내의 대화요청을 거부하는데 이것이 나중에 큰 불행을 낳게 된다. 계속 대화를 거부하는 남편에게 아내는 "이혼하자"는 말을 꺼내 대화하려 하지만 남편은 이마저 무시한다. 남편은 아내에게 다른 남자가 있다는 것을 알았던 모양이다. 사람을 시켜 혼을 내주게 했는데 죽였던 모양이다. 분실한 자신의 핸드폰을 습득한 사람과 나중에는 집에서 싸우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아내는 남편이 청부살해한 사실을 알게 된다. 남편이 상대를 거의 숨지게 한 후 아내에게 다가갔을 때 태아 사진을 발견하는데 '이 사랑을 지키기로 했어요'라는 글을 보곤 아내를 목졸라 살해한다. 그는 태아가 다른 남자의 자식으로 여겼던 것이다. 동시에 거의 죽어가던 남자가 라이터 불을 켜 집이 가스폭발로 터진다. 남편만이 살아남지만 심한 화상을 입었다. 몇 개월 후 형사가 한가지 사실을 알려준다. 태아는 매니저의 아기라고.

아내가 대화를 요청했을 때 단 10분이라도 시간을 내어 들어줬더라면 이런 불행이 왔을까. 아니 단 몇 초 만이라도 아내의 얼굴을 바로보고 애기할 수 있게 마음을 열어줬더라면 "나는 당신의 아기를 가졌어요" 이 한마디만 들었더라도 그렇게 많은 사건들을 만들지도 않았을 것인데. 아주 잠깐동안이라도 마음을 열지 않았던 것이 남을 죽이게하고 아내와 아기마저 죽게하는 결과를 불러오게 된 것인데 뒤늦게 후회를 한들 무슨 소용일까.

소통은 그래서 소중하다. 소통은 내가 말을 해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남의 말을 들어주는 것이다. 그것이 먼저 되어야 자신의 이야기를 남에게 전달할 수가 있는 것이다. 아내가 남편에게 무슨 할 말이 있을 땐 남편은 무조건 귀를 열어주어야 한다. 아내 역시 마찬가지다. 부모와 자식 간에도 마찬가지다. 자식이 뭔가 할 말이 있어 불렀는데 "지금 바빠. 나중에 얘기해." 하는 순간 어떠한 불행이 시작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학교의 선생님은 학생의 이야기를 귀기울여 들어야 하고 자치단체의 장은 시민의 목소리를 무시해선 안된다. 그리고 나라의 수장은 더 큰 귀를 가져야 하는데 소수의 작은 목소리도 귀담아 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무시하고 '핸드폰'의 남편처럼 해버린다면 나라를 멸망하게 하는 장본인이 되는 것이다. 먹통된 핸드폰이 필요없는 이유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인어공주 그림은 딸아이의 연습게임입니다. 중학교 1학년 때까지만 하더라도 공부도 못하고 아무런 재능을 보이지 않더니 중2 올라와서 드라마 '바람의 화원'을 보고 난 후 탤런트 문근영에 반하면서 신윤복처럼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어디서 그림 공부를 한 것도 아닌데 제법 따라 그리는 것입니다. 한편 대견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만 지나친 칭찬은 자만심을 심어줄까봐 그냥 '잘 그렸네' 정도로 평가해주었는데 지금까지 뭐든 못한다는 핀잔만 들어와서 그런지 그게 자신에게 큰 힘이 됐나 봅니다.

 그 이후로 딸은 수시로 그림을 그렸습니다. 그림을 그리는 게 좋은 모양입니다. 어떤 때엔 밤 1시가 되어도 붓을 놓지 않고 제 방에서 그림을 그리는 것입니다. 붓을 사용하기도 하고 색연필을 사용하기도 하고 4시간이 넘게 열중하는 모습을 보면 입가에 미소가 올라갑니다. "너무 무리하는 것 아니냐? 이제 정리하고 좀 자라." "예!" 그러고도 한 시간은 더 그리다가 어느듯 잠을 잡니다.

 그런데 그렇게 공부도 못하고 아무것도 할 줄 모르던 아이가 드라마에 반해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고 나선 변한 게 많습니다. 공부를 하라고 하면 20분도 더 못버텼는데 이제는 두 시간도 거뜬히 버팁니다. 지난 중간고사 때에도 그랬고 이번 기말고사 역시 시험공부를 열심히 했습니다. 결과는 당연히 긍정적입니다. 극히 기초가 없어 부진했던 과목 외엔 대부분 고득점을 올렸으니까요.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얻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시험기간 동안 그리지 못했던 그림을 그리는가 싶더니 작품을 하나 내놓더군요. 바로 아래에 있는 그림입니다. 예전보다 좀 더 꼼꼼히 그렸습니다. 칭찬을 했더니 좋아합니다. 이렇게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면 미술 쪽으로 더 발전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괜찮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