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과 첩의 애절한 정
어떤 재상이 항상 말하되,
"내가 영남 도백으로 있을 때에 집 아이가 한 기생첩을 사랑하였는데, 내가 체차되어 돌아오매 함께 데리고 왔더니, 수년이 지난 뒤에 스스로 꾸짖음을 얻은 줄 알고 창기를 두는 자가 이 어찌 사부(士夫)의 행실일까 보냐 하여 이에 쫓아 보냈더니 이미 쫓아낸 후에 내가 '그 여인이 떠날 때에 여인이 무어라 말하더냐?' 물으니, '별로 다른 말이 없사옵고 다 말하지 못하되, 이렇듯 수년 동안 건즐(巾櫛)을 받들어 오다가 문득 이러한 이별이 있으니 유유한 내 회포를 무엇으로써 형언하리요 하며 운자를 불러 별장(別章)을 짓겠다기에 곧 군(君) 자를 부른즉, 여인이 가로되, 어찌 반드시 군자(君子)만 부르는고 하고 이에 읊어 가로되,
낙동강 위에서 님을 만나고
보제원 두에서 님과 여의니
복사꽃도 지면 자취 감추는데
어느 세월 어느 때인들 내 님 잊으랴.
이렇게 읊고 눈물을 흘리며 물러갔나이다' 하매 내 그 시를 듣고 그의 결연히 죽을 것을 알고, 사람을 보내어 불러오게 하였더니, 이미 누암강에 투신 자살한지라, 내 아들이 이로 인하여 병을 얻어 두어 달 만에 죽었도다. 내 또한 이 일이 있은 후로 때를 만나지 못하고 장차 늙어가니, 부자의 사이에 오히려 이러하거든 하물며 다른 이에게 가히 적원(積怨)할 수 있으랴." 하더라.
조선 영조 정조 때 부묵자라는 사람이 엮은 <파수록>에 실린 한 이야기다. <파수록>에는 이처럼 민간에 전하는 이야기나 속담, 전설, 음담패설 등이 담겨 있는데, 책 이름 '파수록(罷睡錄)'이란 말처럼 잠을 깨울만큼 재미 있는 글들이 많다.
문장은 요즘 사람들에겐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는 만연체로 이루어졌다. 인용한 부분이 있긴 하지만 자세히 보면 전체가 한 문장이다. 액자 구성으로 서술된 거라 처음부터 줄거리에 집중하지 않으면 이해하기 쉽지 않다.
내용이 재미있다. 중앙정부 고위직 장관이 전하는 이야기다.
그가 영남지역 도지사를 하고 있을 무렵 아들이 기생첩을 사랑하였는데, 자기가 임기를 마치고 서울로 돌아올 때 아들을 데리고 왔다는 것이다.
그런데 수년이 지나도 아들이 그 기생첩을 가까이 하자 아버지인 재상이 한마디 했단다.
"야, 이눔아! 늘 기생을 옆에 끼고 있는 자를 어찌 사대부라 부를 수 있겠느냐?" 하고 아들의 기생첩을 쫓아보냈다는 얘기다.
그런데 이 재상이 아들의 애인이 떠날 때 뭐라고 했는지 궁금했던 모양이다.
"갸가 가면서 뭐라 말 안 하더나?"
아들은 기어들어가는 목소리로 "별로 다른 말이 없었사옵니다" 라고 대답하고는 뜸을 들이가가 다시 말을 이었겄다.
"사실 갸가 수년 동안 내 수발을 든 거 사실 아입니꺼? 근데 갑자기 떠나라 카이 갸가 얼매나 마음이 아팟겠십니꺼. 그 씁쓸한 마음을 달래려고 글을 짓겠다며 운을 띄워 달라더군요. 그래서 군(君) 자를 불러주었는데 어찌 군자(君子)만 부르느냐며 퇴박을 놓더군요. 그러면서도 갸는 이렇게 읊었습니다."
아들의 기생첩이 읊은 시는 이랬다.
洛東江上初逢君(낙동강상초봉군) 낙동강 위에서 처음으로 임을 만나
普濟院頭更別君(보제원두경별군) 보제원 머리에서 임과 다시 헤어지네
桃花落地紅無跡(도화낙지홍무적) 복사꽃 떨어져 붉은 빛 흔적 없지만
明月何時不憶君(명월하시불억군) 달 밝으면 어느 때인들 임 생각 않으리
이 시는 사실 기녀 도화(桃花)의 시 '泣別北軒(읍별북헌)'의 내용이다.
아들의 첩이 이렇게 시를 읊고 떠났다고 하자 재상은 덜컥 겁이 났겠다. 죽음을 암시한 글임을 눈치챘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아랫것들을 시켜 갸를 찾았더니 남한강 상류 충주 누암감에서 자결했다는 것이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아들도 갸를 잊지 못하고 시름시름 앓다가 병을 얻어 두 달만에 죽었다는 것이다. 아들을 그렇게 보내고 재상 자신도 시절을 즐겁게 보내지 못하고 나이 들어 가니 사람 간에 원한을 쌓는 일이 얼마나 허무한 짓인지 말하는 것이다. 부자 간에도 그럴진대 하물며 남과의 관계에서 원한 살 일은 더더욱 조심하란 얘기렷다.
이 글은 서울대 구인환 사범대교수 가 엮고 신원문화사에서 펴낸 <촌담해이>란 책에 수록된 것인데, 이 책에는 '파수록' 뿐만 아니라 태평한화, 명엽지해, 진담록, 성수패설, 교수잡사, 어수록 등 11개의 설화집이 담겼다.
'이책 읽어보세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에는 눈 복수법이 생기면...고바야시 유카 장편 '저지먼트' (0) | 2018.03.10 |
---|---|
인간은 왜 춤을 추는가? 나는 왜 춤을 췄던 걸까? (0) | 2017.02.07 |
아니야, 잘못 되었어! (0) | 2010.05.11 |
[새책]세계사에 대한 발칙한 해석 (0) | 2008.09.27 |
[책]주목받지 못하는 천덕꾸러기들의 삶 (0) | 2008.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