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297)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5)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4)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9-20 00:0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앞 순서의 글에서 마산에 신극이 태동하던 1920년대 후의 여러 단체들이 순회공연을 했다고 했다.(표참조)


표(동아일보에서 추출하여 뽑은 것)를 참고로 살펴보면, 첫째 여름방학을 맞이하여 공연하였다는 것, 둘째 고학생 돕기 운동이 태반이었다는 것, 셋째 일본제국에 대한 문화적 대항 내지는 민중계몽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치 소나기가 갑자기 퍼붓듯 3·1운동 직후 조선총독부의 위장된 문화정책의 영향에 따라 1920년대 초반(21~23년) 몇 차례 공연이 있은 뒤 일제의 마각이 드러나면서 다시금 휴면기에 들어갔다.


그리하여 1931년에 접어들어 마산의 휴학생들과 지식청년이 힘을 합하여 극단을 창단하기로 하고 공연 준비에 착수한 것이다. 발기인은 목발 사장으로 너무나 유명한 김형윤(경남신문 전신인 마산일보 발행인)씨, 김종신(전 마산시장 및 국회의원)씨, 이우식(의령의 부호로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투옥되기도 함, 안호상 이극로 등의 독일유학을 거의 도맡다시피함, 물론 이번 일에도 재정 원조가 컸다고 함)씨, 그리고 이광래 이일래 형제가 그 중심인물이었다.


그러나 호사다마라 할까. 레퍼토리를 이광래 작 <어막의 일야>로 정하고 일주일간 책읽기 연습에 들어갔을 때였다고 한다.


당시 마산경찰서 고등계(주로 사상문제를 다루는 부서) 형사인 일본인 고다마가 연습장에 나타나 자꾸만 쓰잘데없는 시비를 거는 것이었다. 이에 키는 작지만 성격이 불같고 단단한 체구인 이광래와 언쟁을 하다가 육박전 직전까지 가는 사태로 악화되었다.


여기에 앙심을 품은 고다마 형사가 광래의 일본 도쿄에서 있었던 '다카다노마바 사건'을 들추어내어 조사할 게 있다는 명목으로 구류를 시켜버린 것이다. 이로써 마산의 신극운동은 첫 출발부터 시련과 난관에 부딪혀 좌절하고 만 것이다.


그 다음해인 1932년 7월에 '극예사'라는 단체를 김여찬 이훈산 등의 발기로 창립하고, 연출부에 천전막, 무대부에 윤종환, 음악부에 박성옥, 집행부에 김무산 등이 가담하였다는 기사가 당시 동아일보에 보이지만 공연에 대한 언급은 없다.


일본 유학을 팽개치고 귀국한 이광래는 상경하여 서울에서 집안의 아저씨 뻘이요, 어린 시절 막역한 친구 길상의 형이요, 또한 친형 일해의 죽마고우인 노산 이은상(당시 조선일보 학예부장이었다)의 도움을 받아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에 기자로 근무하면서 연극에의 꿈을 키워가고 있었다.


이 무렵 광래의 관심을 끈 것은 '극예술연구회(약칭 극연)'의 활동이었다. 극연은 극영동호회를 모체로 하여 1931년 7월 8일에 발족한 신극단체다. 창립 동인은 김진섭 이헌구 서항석 유치진 등 해외문학파와 일본축지소극장(일본신극의 요람무대)에 연극 공부를 마치고 귀국한 홍해성 등이었다.


각 신문상에 발표된 이들의 창립취지를 보면 '극예술에 대한 일반의 이해를 넓히고 기성극단의 사도로의 흐름을 구제하는 동시에 나아가서는 진정한 의미의 이 신극을 수립하려는 목적'이라고 선언하고 있다. 진정한 의미의 우리 신극 수립에 감동해 극연에 참여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1935년은 실로 이광래의 연극 인생에 있어 기념할 만한 한해가 된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