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299)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7)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4)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12-04 00:04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창원문화재단에서 마련한 시민교양강좌, 화요명작예술감상회. 오늘은 마산대 아동미술치료과 황무현 교수의 '톡톡 미술과의 대화' 두 번째 시간, '그림 속의 사람들'이다. 


메모했다가 다시 블로깅하려니 자꾸 미루게 되어 오늘은 바로 강의를 들으면서 작성한다. 그래서 정리가 미숙할 수 있다.




왕과 장군의 도시


우리나라도 왕과 장군이 도시다. 


손을 치켜든 아우구스투스와 이우렐리우스 황제의 동상에서 보듯 그 배경에는 영웅 숭배 관념이 자리잡고 있다.


창원도 그렇다. 최윤덕 장군 동상이 창원 시청 옆에 서있다. 우리 시대 도시의 가치에 장군을 자꾸 끌어들여야 하는지. 차라리 최치원 동상이 창원에 있으면 좋겠다. 시진핑이 여기 와서 최치원 시를 읊고 하면 더 좋을 텐데.... 장군 동상이 많은 것에 대한 비판.


나폴레옹 대관식 그림1769-1821. 우리에게네 이중적 잣대가 있다. 있는 사실 그대로 표현하면 좋은데 전설을 만든다. 진해 이순신장군 조성 때 주변 경관조성을 화려하게 했다. 소박한 분위기가 갑자기 화려하게 선양해 께름칙하다. 친일 작가라서 오히려 소박한 게 나았을 것.


미적 취향에는 사람마다 차이가 나. 미적 가치가 변한 것인가? 요즘 들어선 '우리의 것을 좀 보잘것 없다'고 보는 인식이 있는 것 같다. 우리 엄마, 내 동생, 우리 마누라가 예쁜지 않다고 여기는 것과 비슷? 서양의 미 기준이 어느 순간 우리의 미의 기준이 되어버린 것이 바람직한가. 공공미디어들이 그렇게 몰아가고 있다. TV는 끊임없이 그렇게 보여주고 있다. 




왕의 대관식. 우리가 어떻게 볼 것인가? 잘 그렸다 못 그렸다로 인식할 것인가? 좋은 대학에 붙었다는 표현은 반대급부가 있다. 그렇다면 안좋은 대학이 있다는 얘기처럼 그림도 마찬가지다. 조심스럽게 써야 한다. 그때문에 전체 미술이 왜곡될 수 있다.


그림을 사는 경우 그림이 좋아서 사는 것이 아니라 주식 투자하듯 사고 있다. 그림에 가짜가 많은데 진짜가짜를 분별할 정도의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다. 문신 선생의 작품도 10년을 같이 산 최성숙 관장도 하지 못한다.


문신 아들이 작품을 몰래 들고 나가 팔았는데 그건 작가가 모르는 상황. 그렇다면 그건 진짜인가 가짜인가. 진짜죠. 문신 싸인 문제. 원래 없는 작품에 싸인을 한다면 위작이다. 문신 작품 가짜로 만들기 쉽다. 미적 가치에도 보편성이 존재해야 한다. 그게 기본이 돼야 제대로 미술을 바라볼 수 있다.


미켈란젤로 그림 앞에서 주눅이 들 필요가 없다. 세잔? 잘 그린 그림이 아니지 않느냐? 그렇게 따지면 미술이 한발자국도 나아가기 어렵다.


아테네학당. 



디오게네스 일화. 왕이 뭐 물어보는데 "비키라, 햇빛 가린다"했다는. 아테네 학당을 가진 나라 얼마나 부러운가. 중국 살아있는 부처 보여준다고 해서 갔는데, 우리나라의 원효 얘기를 해. 원효학? 중국에선 그런 걸 가르친다. 우리나라도 정약용학 같은 학문이 있으면 좋겠다.


라파엘로도 그림속에 자기를 넣어. 밉지 않다. 우리나라 장군을  만들면서 자기 얼굴을 넣는 것은 밉상이다. 아테네학당에서처럼 수많은 인물 중에 살짝 자기를 넣는 것이라면 몰라도. 


마네의 올랭피아.



작품이 공개되었을 때 외설 논란이 있었다. 박근혜 페르디로 우리나라서도 논란이 있었지만 그것보다 더욱 당시에 논란이 되었다. 누드는 당시에도 많이 그려졌다. 그런데 대부분 신을 누드로 그렸으나 마네는 매춘부를 그렸기 때문에 문제가 되었던 것이다.


이 작품의 원작은 따로 있었다. 티치아노의 그림에서 비롯.


지금도 우리나라에선 누드 크로키를 하려면 미리 신고를 해야 한다. 아니면 공연무슨 법에 저촉된다고.  우르비노의 비너스는 신화속 여인이어서 문제가 되지 않았는데 매춘부를 그린 마네는 비난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는 것. 왜 얼굴을 당돌하게 쳐다보고 있었냐는 문제...


그림 속의 장치들. 머리에 꽃을 꽂은 모습, 검은 고양이가 꼬리를 들고 있다. 한쪽 발만 슬리퍼를 신고 있다는 점 등의 장치들이 근거. 숨기고자 하는 것을 들추면 사람들이 싫어했다. 풀밭 위의 식사라는 그림도 화제가 됐다. 현실비판이 강했다는 점 때문. 그때문에 마네가 비난을 받았던 것.


로뎅의 '칼레의 시민'



칼레의 시민이 유명해진 것은 칼레에 있는 난민들 때문이다. 


장복산 마진터널. 79년도 헌병 유명했다. 찾아보기로 하고. 칼레의 시민은 소설 속의 이야기다. 진짜인지 아닌지는 모른다. 너희중에 6명 목숨을 내놓아라. 그러면 나머지 살려주겠다. 이런 뭥미? 극단 예도의 '어쩌다 보니'와 오버랩이 되는...


노블리스 오블리주 원산지처럼 생각하게 돼. 가진 자의 도덕성 얘기. 왜 우리나라의 부자들은 존경받지 못하는가. 


자랑. 옛날 웃으면 복이와요. 금니 자랑, 금반지 자랑. 그랬지만 지금 우리는 그렇지 않지 않느냐. 루이비똥 다 하나씩 가지고 있고 하니. 진짜든 가짜든 간에. 그런데 왜 옛날엔 그런 걸 자랑하려고 했을까? 부자들이 화가 많이 나 있다. 가난한 사람은 차가 없어야 하는데 왜 가지고 있는 거야 하는 인식이 있다. 계급사회에서 부자의 존재 가치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을 가난한 사람은 갖고 있지 않아야 한다는 것.




대학가에 2~3년 안에 예상치 못하는 일들이 벌어질 것이다. 학생이 없다. 급격히 줄어든다. 일본이 애 안낳고 노인만 사는 나라... 하면서 고소하다 했는데 우리가 지금 그렇게 되고 있다. 일본은 미리 준비라도 했지만 우리나라는 준비 못하고 있다. 애 안 낳는 이유는 교육비 때문이다. 대학까지 3억. 어찌 애를 낳겠나. 물려주지 못하는 죄책감을 갖고 살지 않느냐.


페이퍼 내용 요약. 칼레의 부르주아 시민들. 이 작품은 6명의 시민 으스타슈 셍 피에르, 작크,  피에르 드 비상, 장 드 피엔느, 앙드리으 당드르, 장 데르 이렇게 6명이다. 이야기의 배경은 1346년 9월 영국와 에드워드 3세에게 무려 11개월동안 저항하여 6명 시민을 넘겨주면 이들만 처형하고 시민 목숨 살려주겠다. 이 때문에 6명이 연장자인 셍 피에르를 선두로 목에 밧줄을 두르고 도시와 성의 열쇠를 바치려고 왕 앞에 나타나. 이를 로뎅이 작품으로 옮겨 불멸성에 기여.


칼레의 시민을 존중하는 이유는 선뜻 누굴 대신해서 죽겠는가. 하필 당시 나선 사람들이 모두 가진 자였다는 것. 칼레의 시민들처럼 왜 우리는 못 만드나. 우리나라에도 순직한 사람들이 많은데 왜 만들지 못하느냐. 


존 콜리어의 고디바 부인.



이 작품도 노블레스 오블리주에 관한 얘기다. 11세기 영국 코벤트리의 영주였던 레오프릭의 지나친 수탈을 줄이고자 가난한 농민을 위해 알몸으로 도시를 행진했다고 한다. 이때 도시민들은 그녀가 행진을 마칠 때까지 박에 나오지 않고 창문도 커튼으로 가리었다고 전해진다. 1898년 작.


우리나라에도 한때 김종필이 고 육영수 여사를 전설처럼 만들고자 했던 적이 있었다고 한다. 


어찌됐든 그림 속에서 우리에게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가진자의 도덕적 덕목이다.



장복터널 위 마진터널 옆에 있는 추모비. 이 사실을 언젠가 칼레의 시민처럼 작품화되길 바란다.


위안부 기림비. 부끄러운 얘기지만 숨길 내용은 아니다. 전쟁이 나면 인권이 유린되는데 특히 약한 사람이 수탈의 대상이 되는 데 그 문제를 고민해야 한다. 살아있는 역사이며 다가올 역사다. 국민들이 언제나 깨어 있어야 한다.


그림 속으로 들어간 사람들. 가진자의 도덕성, 계몽성 등을 다뤘다.



다음 시간엔 그림 속으로 들어간 연인들에 대한 얘길 하겠다며 강의를 마쳤다.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