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289)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0)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4)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4-24 05:07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지난해 4월 교육부 통계를 보면 어머니나 아버지가 외국인인 초·중·고등학생은 총 1만 3445명이라고 합니다. 이 아이들은 국제결혼이 급증하기 시작한 2000년 이전에 태어난 경우라서 그렇게 많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앞으로는 다문화가정의 증가만큼 초등학교에서부터 이들 자녀가 차지하는 비중이 올라갈 것입니다.

2000년 한 해만 하더라도 국제결혼이 1만 2319건으로 지난해 초·중·고 학생 수와 비슷하니 얼마나 늘어날지는 굳이 통계를 따로 내지 않아도 예상 가능합니다.

다문화가정 자녀 학교 부적응

기하급수적이라 할 만큼 늘어난 국제결혼 건수는 2005년을 정점으로 조금씩 줄어들고 있긴 하지만 그 수는 우리 사회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05년 4만 3121명, 2006년 3만 9690건, 그리고 지난해 3만 8491건입니다. 이들 가정의 아이들이 학교에 들어갈 시점이 되면 다문화가정 학생의 비율은 지금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게 형성될 것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들 가정의 자녀가 다른 아이들과 비교해 학습 능력이나 사회성이 떨어져 자칫 잘못하면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국민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정부나 자치단체, 시민단체에서 다문화가정에 관심을 두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지난 18일 창원여성의 전화는 창원컨벤션센터에서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교육현황과 대안 모색'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습니다. 이런 행사들은 우리 사회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관심을 그대로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이날 사례를 발표한 베트남 출신 김안 씨나 태국 출신 정묵다 씨의 처지처럼 우리 사회엔 나름대로 열심히 정착하려고 애를 쓰지만 태생적 환경의 한계로 어려움을 겪는 다문화가정이 대부분입니다. 할머니나 할아버지와 함께 생활하는 다문화가정의 아이는 그나마 좀 괜찮아 보입니다. 엄마가 할머니와 대화하는 모습을 자주 보기도 하고 할머니나 할아버지와 직접 대화를 하면서 자라기 때문에 언어습득이 좀 늦긴 해도 크게 문제가 될 정도는 아닙니다.

하지만 아빠가 출근하고 나면 엄마와 단 둘이 있는 다문화가정의 자녀는 애초부터 한국어를 습득할 기회를 잃어버립니다. 아무 말도 배우지 못한 채 유치원이나 초등학교를 들어가게 되면 학습도 못 따라갈 뿐만 아니라 다른 아이들로부터 놀림의 대상이 되어 올바른 인격형성에도 지장을 주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은 아이가 아주 어렸을 때부터 교육기관이나 사회에서 신경을 써야 할 것입니다.

그날 세미나에서 들은 이야기입니다. 다문화가정의 자녀는 주로 혼자서 논답니다. 유치원에 다니는 한 아이는 다른 아이들과 함께하는 놀이보다는 퍼즐이나 블록 쌓기, 그림책 읽기, 컴퓨터나 그림그리기 등을 하며 지내길 좋아한답니다. 언어적 표현이 다른 아이들만큼 익숙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부모 적극성·제도 확대 절실

하지만 이 아이도 다른 친구들과 함께 어울리고 싶은 마음이 많다고 합니다. 누군가 먼저 다가와 말을 걸어주기를 바라는 모습이 역력했다고 합니다. 또 초등학교 사례를 발표한 교사는 다문화가정의 자녀는 저학년일수록 또래에 비해 미숙한 발음을 하거나 자기표현을 하지 않는다고 분석했습니다.

"처음에는 우리 반 아이들 대부분이 은희가 벙어리인 줄 알았어요. 저도 정말 그 아이가 말을 할 줄 아는지 의구심이 들었고요. 그런데 일 대 일로 천천히 말을 걸면 아주 작은 목소리로 대답을 해요." 여러 교사들이 겪은 다문화가정 아이들의 공통점입니다. 표현력이 부족하다 보니 적극적으로 또래와 어울리지 못하고 또 이 때문에 점점 더 외부와 담을 쌓게 되는 것 같습니다.

교육도 결혼이민여성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공부 위주에서 다양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몇몇 자치단체가 시행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방문 교육제도를 잘 활용한다면 유아기 자녀교육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을 겁니다. 주 1~2회 정도의 교육과정도 더 늘릴 필요가 있으며 방문 교육 때 자녀도 함께 교육하면 시너지효과도 있을 듯합니다. '친정엄마 결연' 역시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무엇보다 다문화가정 스스로 한국사회에 정착하려는 노력이 절실합니다. 집에서 남편만 내조하면 됐지 하는 생각으로 한국어 습득과 사회 적응 노력을 소홀히 하는 가정이 적지 않습니다. 하지만 아이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부모가 더 적극적으로 움직여야 합니다.
 

 관련기사
· 이해하고 보듬어줄 교육정책 절실 · 다문화가정 방문교사제 "효과적"
· 다문화 가정 자녀 교육현황·대안 세미나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