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림 경로잔치 기로연, 옛날엔 어땠을까?
기로연.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에서 배웠을 수도 있겠으나 젊은 사람들에겐 익숙하지 않은 단어다. 기로연은 조선시대에 들어 태조 이성계가 환갑이 되던 해 정2품 이상의 문신 중에 70세가 넘은 신료들에게 장수를 축하하기 위해 기영회에 직접 들어가 잔치를 베풀었던 데서 시작된다. 기로연이란 표현은 7대 임금인 세조 때 처음 등장한다.
기로연은 왕이 베풀었던 잔치임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통틀어서 기로소에 들어간 임금은 태조, 숙종, 영조, 고종, 이 네 분만이라고 한다. 다른 신료와 달리 임금은 나이 제한을 60세, 환갑으로 낮췄음에도 워낙 임금들의 수명이 짧다 보니 기로소에 들어갈 수 있었던 것이다.
그나마 숙종은 59세에 들어갔다. 1대 태조 임금 이후 18대 임금을 거치면서 기로소 들어가는 임금이 없다 보니 59세라도 오래 산 것이라며 신하들이 간청을 해서 들어갔다는 것이다. 숙종은 그럴 수 없다고 한사코 사양했으나 신하들의 청을 뿌리치지 못하고 잔치상을 받았는데, 그 과정이 어땠을지 상상이 간다.
거창향교 전경.
거창향교 충효회관 전경.
지난 10일 거창향교는 70세 이상 지역 어르신들을 모시고 ‘기로연’을 열었다. 기로연의 의미를 아는 사람이라면 ‘향교에서 무슨 기로연?’ 하겠다. 향교는 말 그대로 임금이 사는 중앙이 아니라 지역의 교육기관이잖은가? 향교에서 기로연을 열었다면 임금이 지방 향교로 왔다는 것인가?
기로연의 의미는 조선 후기에 들어 크게 변하게 된다. 나라에서 경로효친 사상을 널리 알리고 고취시키기 위해 민간에서도 잔치를 베풀도록 장려했는데, 서원과 향교 단위로 지역의 70세 이상 어르신들을 위해 잔치를 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일제강점기로 들어서면서 일절 기로연이 금지되었다가 광복 후에도 한참 지난 1070년대 들어서 유림을 중심으로 다시 개최되기 시작했다. 지금은 향교 중심으로 매년 음력 3월 3일(삼짇날)과 9월 9일(중양절)에 열린다.
하지만, 각 지역 향교의 사정에 따라 날짜는 정해져 있지 않고 나름대로 특정 날을 정해 기로연을 개최하고 있다. 참고로 지난 10일 거창향교가 기로연을 열었던 날은 음력 10월 그믐이었다.
거창향교 신석봉 전교가 축하인사를 하고 있다.
거창향교의 기로연은 향교 서예전시회를 겸해서 충효회관 2층에서 열렸다. 기로연 행사는 신석봉 현임 전교와 김광수 원임 전교, 최종길 성균관 유도회 거창지부장, 이성복 군의회 의장이 환영사와 축사를 통해 기로연의 의미를 되새겼고 인근 강남어린이집 아이들의 부채춤 공연, 이어서 이성복 의장의 축하노래 무대 등으로 진행됐다.
기록에 따르면 옛 기로연은 오전부터 기로연이 개최되었는데 이 잔치는 해가 지고 날이 어둑해서야 마쳤다고 한다. 참석 규모로 보면 지금과 비교가 되지 않았다. 평균 수명이 길지 않았던 탓에 기로소 신료는 기껏해야 10명 안쪽이었고 게다가 당시 70세 이상이면 기력이 요즘 같지는 않았을 터, 그래도 80세 이상의 문신들에게만 가족들이 함께 참석할 수 있도록 했다고 하니 노신들의 정신력을 시험한 잔치인가 싶기도 하다.
참고로 기로연의 ‘기(耆)’는 나이 70일 가리키고 로(老)는 나이 80을 가리킨다. 당시 사료를 보면 기로연만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기영연(耆英宴)도 있었고 중구연(重九宴)도 있었다. 또 조선시대 이전에도 유사한 경로잔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기로연 행사장 벽에는 12회째를 맞은 거창향교 서예전 작품이 걸려있다.
중국의 당송시대서부터 있었던 기로 모임은 우리나라에선 고려시대 신종과 희종 때 문하시랑을 지낸 최당 등이 치사(致仕·벼슬을 마다함)한 뒤 유유자적을 목적으로 기영회를 조직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유사한 경로잔치는 훨씬 전부터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태조가 친히 참석하여 자격을 강화한 조선시대 형 기영회는 태종 때에 와서 폐단이 나타나 전함재추소(前銜宰樞所)를 따로 설치해 이들을 귀속시켰는데 세조 때에 명칭에 불만이 많아 이름을 ‘기로재추소(耆老宰樞所)’로 바꾸면서 이를 줄여 ‘기로소’라고 불리게 된 것이다.
현재는 대부분 향교에서 유림 출신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여는 경로잔치를 기로연이라고 일컫지만 차츰 유림이 아니더라도 초청받는 사례가 느는 추세다. 그러다 보면 언젠가는 여성 어르신도 기로연에 초청받아 참석할 날도 있지 않을까 싶다.
지난 2009년과 2010년 서울 경복궁 수정전 앞에서 기로연 재현 행사가 정기적으로 열렸는데, 이때 진행했던 기로연 행사를 자료를 통해 살펴보는 것으로 글을 마무리한다.
향교 인근 강남어린이집 원생들의 부채춤 축하무대가 펼쳐지고 있다.
1719년 숙종 때의 기로연이다. 먼저 수정전 월대에 연회석이 마련된다. 이윽고 임금의 거동을 알리는 엄고수가 북을 두드려 초음을 알린다. 제일 먼저 임금을 호위하는 내금위의 사금이 월대에 올라 경계태세를 갖추고 그다음, 임금의 권위를 상장하는 의장기 등이 등장한다.
호위 사금의 입장에 이어 휘(麾)를 든 음악관리(협률랑)가 악공을 이끌고 등장해 전해진 곳에 자리를 잡는다. 그러면 의식을 담당하는 집사관이 입장하고 뒤이어 임금이 여(가마)를 타고 연회장에 나타난다.
임금이 어좌에 앉으면 세자(경종)가 입장하고 잇따라 70세 이상의 노신들이 들어온다. 비로소 기로연이 시작된다.
집사들이 모인 노신들에게 잔치상을 차려주고 임금에게 술을 따르며 만수무강을 기원하면 궁중의 무희들이 나와서 춤을 추며 공연을 펼친다.
정악에 맞춰 초무(간단한 춤), 아박무(박을 치면서 추는 춤), 처용무, 그리고 북을 가운데 두고 4명이 돌아가며 추는 무고 등이 공연되고 나면 도승지가 임금의 교지를 대독하고 임금의 퇴장과 함께 기로연은 막을 내린다.
'경남민속·전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남지역에서 대보름 께 전승되는 지신밟기 사설 (0) | 2016.01.13 |
---|---|
경남에는 무형문화재 전수관이 몇 개나 있을까? (0) | 2016.01.08 |
오방신장.문둥이탈춤.사자무.말뚝이.영등할미-거제영등오광대 (0) | 2015.11.29 |
[전통을 찾아서]벽사 의식 짙은 굿판 ‘진주오광대’ (0) | 2015.10.16 |
보리타작에서 망시논매기까지 웅상농청장원놀이 (0) | 2015.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