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을 찾아서]“내가 영감 찾아 토영까지 왔소”
13일 한산대첩 축제 기간 세병관에서 열린 대한민국 탈춤제 ‘통영오광대’
통영한산대첩제가 한참이던 8월 13일 통영 세병관 마루에서 “얼쑤~!” 흥겨운 소리가 울려 퍼진다. 제9회 대한민국 탈춤제가 16일까지 일정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13일은 개막하는 날이었고 통영오광대는 개막공연으로 연희를 펼쳤다. 원래 통영오광대는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는 벽사의 의미가 있어서 정월대보름 하루 앞날 시연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가산오광대나 수영야류와 달리 벽사의 성격보다 오락의 성격을 많이 반영함으로써 연희를 하는 날도 3월 보름과 4월 초 봄놀이 때, 그리고 9월 단풍놀이 때 연희로 놀게 되었고 최근 들어서는 4월 정기공연과 탈춤페스티벌이나 특별한 탈춤행사에 초청되어 공연을 하거나 한산대첩 기념행사로도 연희되고 있다.
통영오광대 깃발.
오광대라는 것이 산대도감에서 비롯된 것인바 산대도감이 해체되고 경기도 쪽으로 별산대가 조성되고 남쪽 경상남도로 오면서 오광대가 되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 부산 쪽으로 넘어가면서는 동래야류나 수영야류처럼 야류(들놀음)가 되었다는 것도.
오광대란 명칭이 붙은 데는 두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오방신장무 과장에 등장하는 다섯광대가 상징하는 오행설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대개 다섯 과장으로 구성됐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물론 진주오광대의 문둥이 광대도 다섯 명이 등장한다.
오방신장무가 제의적 성격이 강한데 앞서 언급한 것처럼 통영오광대는 오락적 성격이 강화됐기 때문에 오방신장무는 빠진다.
오광대 중에서 오방신장무가 있는 곳은 가산(사천)과 진주, 마산과 창원오광대 정도다. 통영오광대는 문둥이탈춤부터 시작한다. 문둥이 한 명이 등장한다.
1과장 : 문둥(법고)탈춤
애환 어린 탈춤 추는 문둥이탈.
악사들이 굿거리장단으로 북·장구를 친다. 떵더꿍 덩더꿍. 흐느적거리는 춤사위가 보기만 해도 애틋하다.
“아이고 여보소. 이네 한 말 들어보소. 삼대 할아버지 삼대 조모님 그 지체 쓸쓸한 울 아버지 울옴마 인간의 죄를 얼마나 지었건대 몹쓸 병이 자손에게 미쳐서 이 모양 이 꼴이 되었을까.”
한참을 신세 한탄을 하고는 기어이 북채를 잡고 소고춤을 춘다. 춤사위는 점점 갈수록 경쾌해진다. 구성은 다른 오광대와 유사하다.
2과장 : 풍자탈놀이
풍자탈놀이 과장에서 양반들이 무대를 빙글빙글 돌면서 덧배기춤을 추고 있다.
통영오광대의 풍자탈놀이는 다른 오광대의 양반과장과 같은 과장이다. 오광대의 대표적 아이콘 말뚝이가 양반들을 골려주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굿거리장단에 양반들이 무대로 등장한다. 말뚝이가 맨 뒤에 따라 등장한다.
원양반을 비롯해 차양반, 홍백양반, 검정양반(먹탈), 곰보양반(손님탈), 비틀양반(비뚜라미), 조리중이 무대를 빙글빙글 돌면서 춤을 추다가 쉬~ 하고 멈춘다.
“오늘 심심하니 말뚝이 이놈이나 불러다가 농담이나 해볼까요?” 원양반의 제의에 다른 양반들이 그러자고 호응을 한다. 말뚝이가 함께 등장해서인지 불러도 불러도 대답이 없다가 겨우 나타나는 가산오광대의 말뚝이와는 달리 통영의 말뚝이는 바로 대답을 한다.
원양반이 양반 자랑을 하니 말뚝이가 되받아서 바로 면박을 준다.
“내가 너이 고을에 살로 온 지가 수십 년이라 어이들 근본을 모를쏘냐? 내가 일러 줄 터이니 자사히 들어라. 첫째 양반 널로 두고 말하면 니 집안에 기생이 여덟이고 비자가 일곱이라 부정한 계집이 열다섯이니 니가 양반이라 자랑하며, 둘째 양반 널로 두고 말하면 니 에미가 주주모라….”
이렇게 말뚝이는 근본 자랑하는 양반들을 하나하나 그 근본을 들춰내며 기를 죽인다. 양반 중심사회에서 양반에게 불만이 많았던 당시 서민들에게 통쾌함을 주기에 충분한 풍자였다.
이날 통영오광대의 풍자탈놀이는 별 대사 없이 한바탕 덧배기춤으로 놀고 퇴장했다.
3과장 : 영노탈놀이
영노탈놀이과장에서 비비양반이 영노를 보고 놀라 뒤로 나자빠지고 있다.
영노는 다른 말로 비비라고도 한다. 버드나무 피리를 비비하고 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비비라는 이름은 고성오광대에서 쓴다.
통영오광대의 영노는 다른 지역 탈과 달리 독특한 모습을 하고 있다. 얼굴이 용처럼 생겼고 입은 긴 부리처럼 생겨 말을 할 때마다 부리가 움직인다. 비비란 이름은 양반에게 가서 붙었다.
비비양반이 무대를 한 바퀴 돌고 있는데 갑자기 등에서 영노가 비비 소리를 내고 놀래킨다.
“아이고 놀래라. 니가 뭣고?” 하니 “나는 구령에 사는 영노다”하고 받는다. 양반이 “구령에 사는 영노사면 구령에 있지 뭣하러 여기 왔노?”하니 영노는 양반놈들 행사가 나빠서 양반 잡아묵으로 왔다고 한다. 아흔아홉을 잡아먹었고 이제 하나만 먹으면 백을 채우고 하늘로 간다고 한다.
그러자 비비양반은 자신은 양반이 아니라고 발뺌을 하고 영노가 도포를 보니 양반이라고 하니 도포를 벗으려고 한다. 도포를 벗어도 너는 양반이라는 말에 옥신각신하다가 대결을 벌이고 결국 비비양반은 영노에게 잡아먹히고 만다.
영노과장의 결말은 오광대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 가산오광대의 경우 영노가 오방신장을 다 잡아먹고 포수에게 총을 맞아 죽지만 고성오광대에서는 양반이 재치있게 “니 고조 할애비다.”하고는 위기를 모면한다.
4과장 : 농창탈놀이
농창탈과장에서 등장하는 할미탈.
다른 오광대의 영감할미과장과 같다. 통영오광대에선 영감과 작은어미가 먼저 등장해 알콩달콩 재미있게 사는 모습을 보여주고 또 나이 많은 영감과 함께 사는 것이 재미가 없는지 영감이 장에 간 틈을 타서 동네 남정네들을 불러 모아 아리랑을 부르고 춤을 추며 논다.
이윽고 할미가 등장하여 충청도에서 예까지 영감을 찾으러 왔다고 한다. 등장인물 중에서 유일하게 경상도 사투리를 쓰지 않는 캐릭터다. 할미는 몸단장을 하고 굿을 하여 영감 찾기를 염원하고 결국은 만나게 된다.
그런데 영감은 이미 작은어미를 두고 있다. 게다가 작은어미는 출산을 앞두고 있다. 영감은 봉사를 불러 경을 읊게 한다. 이 장면은 가산오광대에서도 등장한다. 북을 치고 경을 읊을 때 빙글빙글 돌아가는 갓이 웃음을 자아내게 한다.
작은어미가 아기를 순산하고 아기를 두고 할미와 작은어미가 승강이를 벌인다. 그 와중에 할미는 작은어미에게 채여 넘어져 죽는다. 통영오광대 대본에는 없지만 작은어미가 쓰러진 할미를 밟아 일종의 ‘확인사살’하는 애드리브는 창원오광대 등에도 등장하는 장면이다. 마산오광대에선 영감이 할미를 몽둥이로 때려 숨지게 하고 김해오광대와 가산오광대에선 영감이 죽는다.
마지막으로 상여가 등장하는 장면은 여느 오광대와 차이가 없다. 상여가 무대를 한 바퀴 돌면 구경꾼들이 지폐를 들고 나가 새끼에 끼운다.
5과장 : 포수탈놀이
마지막 과장인 포수탈놀이 과장./문화재청
통영오광대의 포수탈놀이는 다른 오광대의 사자무 과장에 해당한다. 담보와 사자가 등장하고 서로 싸운다. 한바탕 춤으로 질펀하게 싸운 끝에 사자가 담보를 잡아먹자 포수가 창을 하며 나타난다.
“관사령 났네, 관사령 났네, 훈련도감에 관사령 났네…”
사자를 발견한 포수 주위를 빙글빙글 돌면서 저격 기회를 잡는다. 때론 관객을 불러 함께 사냥을 하기도 한다. 담보를 먹고 다리가 여섯이 된 사자는 포수가 있는 줄도 모르고 춤을 추고 놀다 결국 포수의 총에 맞아 죽는다. 그렇게 통영오광대 연희는 끝이 난다.
이날 연희에서는 다음 순서 양주별산대 연희가 있어 시간 관계상 마지막 과장은 생략했다.
'여기저기 다녀보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심산책]조각품 감상하며 여유부리기 (0) | 2015.11.11 |
---|---|
[전통을 찾아서]거제 팔랑개 어장놀이 (0) | 2015.09.15 |
폭포수 아래에서…“더위야, 너 누구니?” (0) | 2015.08.03 |
아이와 함께 실컷 놀아보자! 무료 물놀이장 (0) | 2015.07.29 |
[인포그래픽]경상남도 볼만한 연꽃 공원 9경 (0) | 2015.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