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재단 편집실무]사각의 세상 만들기
한국편집연구소 여상호 대표의 강좌.
레이아웃 강의, 대표, 편집부장들한텐 별 인기가 없는 강좌라고.... 난 모르니까 관심이 많이 가는데... ㅎㅎ.
7단 편집에서 6단 편집 강조. 지금은 오히려 7단을 쓰면 촌스러워 보여.
유행이라는 것이 있다. 편집도, 디자인도 마찬가지 유행이 있다.
지금 세로쓰기 이야기하면 다들 웃는다.
그와중에 모바일 시대가 왔다. PC도 안 보는 시대에.
미디어가 존재한다는 것은 편집이 들어간다. 밸류 선정마저 편집이다.
모바일 메인 석줄. 그것이 편집이다. 메인에 올라가는 경우와 아닌 경우 클릭 수 크게 난다.
월 1000만 클릭 나와야 광고회사에서 관심을 가진다.
3만~4만 정도론 어림도 없다.
아무리 기사 잘 만들어도 네이버 타고 들어가지 않으면 클릭수 올라가지 않는다.
보통 모바일 1000클릭단 얼마 책정. 1000에 2000원, 한달에 1000만 클릭이면 한달에 4000만원. 배너 다 합치면 한 달에 몇 억 올라간다. 기사 파고 들어가는 광고 역시 돈이 된다.
교육청인사 이야기. 선생들의 전화는 신문사 전화기 불을 낼 정도였고... 옛날 생각난다. 석간할 때... 인사 실으면 교육청에서 따로 돈도 들어왔었지.
편집, 어제까지 원칙이었다고 오늘도 원칙은 아니다.
이슈다루기. 기본적으로 늘 보는 레이아웃.
남도일보 대통령 사진 없어 웬일? 창간특집호.
큰 사건 있을 때 지역 신문은 혼란이 온다. 전국적인 이슈냐, 지역 이슈냐?
제목에서 지역을 엮어 풀어내거나 다른 기사와 균형을 맞춰.
늘 비슷하게 레이아웃 짜고 있다.
외국신문을 보자.
지역 신문임에도 통사진으로 편집했다. 제목을 어디에 다느냐 차이는 있지만. 첫번째 거에 굳이 딸의 사진을 넣었을까...
이중에선 맨 앞에 있는 편집이 좋다고.
트럼프 파이터 모습. 미국 신문들 대부분 이런 장면 선호. 비호감 조성.
아메리카 퍼스터. 세번째는 그나마 좀 낫다. 기사는 빈 공간을 잘 활용하면 좋다. 따옴표 기호도 효과적이다.
첫번째 지면. 제목 흰글자 검은 글자 나뉘어 가독성 떨어질 수 있으나 '퍼스터'에 강조점을 준 의도가 보이고 기사도 변배를 주어 짜임새있는 구성이 됐다. 퍼스트 앞에 여백을 준 것도 좋다.
세번째 지면은 의도적으로 트럼프를 죽이고 오바마를 강조한 편집. 1면 머리로 다뤘지만 취임식 전체화면 사진을 쓰면서 트럼프를 의도적으로 신문사의 정체성을 드러냄.
메인 기사 주변 여백을 좀 과하게 줌으로써 시각적 효과를 높였다.
오바마는 언론들이 어떻게 편집했을까...
]
오바마에 대해선 긍적적 편집.
좋은 사진에 좋은 제목이 화음을 이루면 지면의 효과가 배가된다.
외국신문들 제호를 자유롭게 옮긴다. 우린 스포츠지 말고는 대부분 제호불가침 원칙을 너무 강하게 지키는 것 같다.
지면디자인
비슷비슷한 제호 부위 레이아웃. 전혀 변별력이 느껴지지 않는다. 이 모습만 보고 어느 신문인지 알아맞히면 대단한 신문 마니아다. 헉! 그러고 보니...
교육 참가 신문사들이란다. 이름만 다르지 모두 같은 유니폼을 입고 있었구나.
자료 찾는다고 PDF 내려받는데... 유료가 많아 불편. 음...
어쨌든 이 신문들의 제호 부분에서 제호를 지워버리니 어느게 우리 신문인지 모르겠네 증말...
외국신문들 어떨까. 제호 위에 지면안내가 나오기도 하고 제호보다 큰 지면 안내가 나오기도 한다. 제호에 장식이 들어가 제호를 돋보이게도 한다. 예쁘다 안예쁘다 문제가 아니다. 다 똑같은 모양으론 가지 말자. 신문사마다 개성이 독특해야지. 제호가 지면 가운데로 내려오면 또 어떤가.
그다음. 면머리
역시 개성이 없다. 제호 지워서 우리 것이 무엇인지 알아맞추면 용치.
외국 사례는
왜 그럴까. 다른 나라 신문들은 다양한데 우리 나라 신문들은 모두가 비슷비슷한 모양새로 면머리가 디자인되어 있을까. 이게 가장 예뻐서? 그런 아닌 것 같은데.... 그렇다면.. 익숙한 속담 때문에 그럴까. 모난 돌이 정맞는다고.
5분 휴식.
동영상. TED.
야섹 우트코 https://www.youtube.com/watch?v=43uLdQfpzT0
이미지와 기사가 어울려야 좋은 편집이 나온다. 국장이나 부장이 적극적으로 바꾸도록 하라.
야섹 우투코가 편집한 지면들....
베를리너판형이 종이가 모자라서 만든 거라고? 중앙일보 베를리너판. 오히려 독자 늘어나. 돋보기 없이 신문 볼 수 있도록. 강원일보 16.2포인트 본문서체. 베를리너판형은 절대 서체를 키울 수 없다. 아니면 서체를 키워라. 와글와글 작게 쓰면 정말 보기 어렵다. 한 지면에 열몇 꼭지 꽉꽉 집어넣어 편집하는 것만큼 어리석은 짓 없다. 아무도 안 본다.
같은 서체라도 어떻게 자간, 장평, 행간 등등 잘 맞추면 달라 보인다.
오른쪽 지면. 컬러지면. 4도 색을 다 쓰면 글자가 잘 안보일 수 있다. 이 부분만 단도 k 100으로 검정바탕에 흰글씨로 제작.
또 여백을 잘 활용한 지면. 포인트를 활용한 지면 변화를 느낄 수 있어 좋다.
사진 한 장 없이 상자만으로도 깔끔하고 비주얼한 지면 만들 수 있다.
포르투갈 <i>라는 신문. 디자인이 핵심. 혁신적 편집 눈길.
1면. 기사는 별로 없다. 오히려 바탕 색을 드러나게 하려고 사진을 흑백으로 처리했다. 이런 용기를 가진 편집자... 한국에 없겠지.
정답이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뭔가 읽고싶어지도록 만든 편집이다. 그래픽을 활용한 편집은 기사와 제목으로 잘짠 편집보다 더 유인효과가 크다.
여백을 잘 주면 잘 짠 편집이다. 특히 여백은 왼쪽에 많이 준다. 가로쓰기이기 때문. 면머리부분, 선으로 가로지르지 않더라도 오른쪽을 다 비워줌으로써 면머리임을 알게 한다.
여백을 알면 레이아웃은 끝난다. 여백의 크기, 정해진 것 없다.
종이신문의 장점을 잘 보여준 지면. 중앙일보
실제 닭이 평생 살아야 하는 실크기 공간을 지면에 나타냈다.
여백이 있으면 서체 크기가 작아도 더 잘 보인다.
사진과 제목의 거리. 왼쪽 지면은 사진과 부제간 거리가 너무 멀어 다른 기사인줄로 착각하게 한다. 오른쪽 제목 빈공간의 가운데 배치할 수도 있지만 아래로 내려서 오히려 가독성을 높인다.
손바닥 하나에 큰 여백.
손바닥 실제 크기. 오른 쪽은 사진을 빼내어 여백에 대화, 괜찮은 아이디어.
사진을 어떻게 트리밍하는지 다루는 자료의 고전.
중심 사진에 대한 강의
신문 지면에서 인물이 클수록 강한 사진이다. 영화 마지막 장면 주인공 클로즈업해서 쫑낸다. 그래야 다음 편 보게끔 강한 인상을 준다.
어떻게 트리밍을 하느냐에 따라 느낌이 달라지는 지면.
인물 사진에선 관절이 있는 부분은 절대 손대지 마라. 굳이 전신사진을 쓸 필요없다.
펼침막 사진이 들어가는 지면. 현수막에 있는 내용은 제목에 달지 마라. 쓰려면 현수막을 잘라라.
특히 사람과 현수막이 너무 떨어져 있을 땐 더 어색한 사진이 나옴. 다 살리자면 아무 것도 못 살린다. 차라리 사람 얼굴을 써라.
취재원은 자기 얼굴이 얼마나 잘 나왔나 본다. 발 안보고 글자 안본다.
랜드마크로 시선잡기. 독자의 시선이 머무는 곳.
사진이 없으면 단순한 기호를 이용해 지면을 임팩트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미지가 없을 때는 본문을 물방울 모양으로 하거나 오스카상 모양. 빌딩(9.11테러) 모양. 이 방법, 실루엣을 활용하려면 제목이 잘 어울려야 하고 대상이 누구나 아는 모양이어야 한다. 중심사진을 잘 잡아야 한다.
사진을 많이 넣고 공이 많이 들어가더라도 중심사진이 없으면 효과는 떨어지고 만다. 스파이더맨 지면과 역대 제임스본드 007 지면.
제호는 신성불가침 아니다. 별난지면 설명하면서.
수업끝!
'미디어 웜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 또 계란 대란...'살충제 계란' 파동 신문 1면 제목들 (0) | 2017.08.16 |
---|---|
[언론재단 편집실무]편집의 렌즈로 사진 다시보기 (0) | 2017.06.23 |
[언론재단 편집실무]제목엔 문법이 없다 다만 화법이 있을 뿐이다(2) (0) | 2017.06.22 |
[언론재단 편집실무]제목엔 문법이 없다 다만 화법이 있을 뿐이다(1) (0) | 2017.06.22 |
헷갈리는 편집에 아이서퍼의 헷갈린 분리작업 (0) | 2017.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