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해간다는 것, 자연스러운 것
은행잎이 끄트머리서부터 노란빛을 띠기 시작했다.
찬바람이 두어번 더 지나가면 햇살의 안타까운 손짓에도 불구
은행잎은 속이 타들어가듯 노랗게 노랗게 물들어 갈 것이다.
멀리 산도 울긋불긋 옷을 갈아입기 시작했다.
작년에도 그 전 해에도 그랬듯 햇살의 안간힘에도 불구
온산은 하나하나 옷을 찢어날리고 맨몸으로 찬바람을 견딜 것이다.
....
나뭇잎이 초록을 벗고 단풍이 들고 낙엽이 된다는 것은 슬퍼할 일이 아니다. 엊그제 경남도민일보에 난 과학칼럼을 보니 나무가 봄 여름 가을 그렇게 애지중지 뿌리로부터 빨아들인 물과 영양분으로 키워왔던 잎들을 과감하게 떨구는 것은 생존을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가을이 되어 단풍이 들고 낙엽이 지는 것은 겨울나기의 시작이다. 광합성에 의해 잎에서 만들어진 당분을 가지로 보내는 것은 생존에 필수적인 과정이다. 그러나 가을이 되어 온도가 내려가면 이 작업이 둔해지고, 잎자루와 줄기 사이에는 '떨켜(離層)'라는 조직이 만들어진다. 이로써 당분의 수송은 물론 뿌리에서 잎으로 수분을 운반하는 것도 함께 중단된다. 이와 동시에 녹색의 클로로필이 분해되기 시작하고 엽록소가 점점 감소한다. 그 결과 잎에는 카로티노이드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기 때문에 노란색으로 물든 것으로 느끼게 된다. 은행나무나 미루나무가 그 대표적인 수종이다.
또, 잎에서 엽록소가 완전히 사라지기 전에는 햇빛을 받은 잎은 광합성을 계속한다. 하지만 줄기로 통하는 길은 이미 막혀버렸기 때문에 당분은 잎에 쌓이게 된다. 바로 이 당분이 빨간색 색소인 안토시아닌(anthocyanin)으로 합성되기 때문에 화려한 붉은색 단풍이 탄생되는 것이다.
낙엽수에 단풍이 들고 또 낙엽이 지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생각할지 모른다. 그러나 단풍과 낙엽은 수목의 생존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나무는 뿌리에서 빨아올린 물을 잎의 기공을 통한 증산작용으로 대기 중으로 되돌려준다. 겨울은 연중 가장 건조한 계절이다. 만일 이 시기에 낙엽수에 잎이 붙어 있다면 기공을 통해 물이 점점 증발되어 버리기 때문에 순식간에 시들고 말 것이다. 가을이 되어 광량이 부족해지면 잎에서 광합성을 통해서 얻는 정(+)의 효과보다는 잎에 양분이나 수분을 보내 주는 부(-)의 효과가 더 크기 때문에 낙엽수는 자신의 잎을 버림으로써 살아남는다. 이것이 바로 낙엽수의 생존 전략인 것이다."
'직사각형 속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나게 내리는 폭설... 그러나 보기좋지만은 않은... (0) | 2010.12.30 |
---|---|
모자 저글링 감상해보세요 (0) | 2010.12.12 |
1973년 사진속 추억여행 (0) | 2010.10.25 |
아버지와 단둘이 찍은 사진 (0) | 2010.09.20 |
아버지의 벌초 (0) | 2010.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