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297)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5)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4)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9-20 00:0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창원시 사림동에 있는 창원의 집. 이곳에는 옛날에 쓰던 물건들을 전시해놓은 유물전시관이 있다. 내가 어렸을 때 사용하던 물건들도 많이 있는데 처음 보는 것들도 제법 있다. 그러고보면 내가 완전히 옛날 사람은 아닌 모양이다. 위의 사진은 창원의집 내부에 있는 유물전시관 전경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홅이. 벼이삭을 빗처럼 싸악 홅아내는 기구다. 어렸을 때의 기억을 더듬으면, 저 홅이를 세워놓고 벼를 한 뭉텅이 잡은 채 빗살 사이로 벼 알곡이 떨어지도록 잡아당겼던 것 같다. 지금 세상에 타작할 때 저 기구 사용했다간 손가락질 받기 알맞겠다. 하지만 저걸로 머리 빗질을 하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을 멀리서 찍는 바람에 붙여 놓은 게 잘 보이지 않는다. 속속들이 이름은 알기 어려워도 여기에 있는 물건들은 모두 베를 짜는데 필요한 도구들이다. 옛날엔 아낙들이 이런 물건들로 옷을 짜서 해입었다. 명주 삼베옷이 다 이런 기구로 만들어졌다는 사실 신기하지 않나? 그리고 옛사람들, 할머니의 어머니, 그 어머니의 할머니는 대부분 스스로 옷을 해입을 줄 알았다는 사실. 요즘 스스로 옷을 해입을 줄 아는 사람 과연 몇이나 될까. 세상이 편리해진 만큼 개개인의 능력과 기능은 점점 퇴화하고 있다는 점을 깨달아야 할 듯.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갓, 망건, 패랭이, 방갓(상주삿갓), 치마저고리, 그리고 짚신. 내가 입고 쓰면 어떤 모습일까. 게다가 짚신까지 신으면... ㅎㅎ. 뭐? 어울리겠다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고무신과 나막신. 고무신만큼 편한 신도 없지. 내 어렸을 때 검정고무신과 흰고무신을 갖고 있었는데 아무래도 흰고무신은 좀 비싸기도 하려니와 고급이라는 생각을 했다. 사진에 보이는 고무신은 여성고무신인데 상표가 보인다. 동양고무에서 나온 '새아씨'다. 기차표신발, 아직도 기억에 선하다. 진양고무에서 나온 고무신도 제법 인기 있었지. 나막신... 어떻게 신을 나무로 만들 생각을 다 했을까. 나막신은 한 번도 신어 본 적이 없다. 짚이나 가죽으로만 신을 만들어 신던 시절 비가 오면 빗물에 젖기 때문에 나무로 신을 만들어 신었는데... 얼마나 불편했을까 싶다. 바닥이 대부분 흙이었으니 소리가 별로 나지 않았지 만약 요즘처럼 시멘트 바닥이거나 아스팔트였다면 비오는 날 탭댄스 소리 저리가라였겠다. 따닥 따닥 따다닥...

사용자 삽입 이미지

휘양과 토시. 휘양은 여성들이 외출할 때 쓰는 모자요, 토시는 팔과 손목을 따뜻하게 보호하는 물건이렸다. 토시는 양털과 비단으로 만들었다. 실제로 본듯도 한데 TV로 워낙 많이 보아온 탓에 그것이 더 눈에 익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주로 여름에 쓰는 물건이다. 사타구니 시원하라고 끼고 자는 죽부인도 있고, 베옷이 몸에 착 달라뭍지 말라고 안에 걸치는 등등거리도 보인다. 그리고 팔에 끼는 토시도 있다. 참 그리고 아내가 보더니 갖고 싶다고 한 부채. 여름의 대표적인 상품이다. 요즘엔 선풍기와 에어컨에 밀려 사라져가는 물건으로 취급받기 일쑤지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의 사진에 있는 물건들은 얼핏봐도 뭐하는 데 쓰는 것인지 모르는 초등학생 없겠지. 활과 화살, 그리고 칼, 맞았어요. 사냥할 때 쓰는 물건이에요. 아래에 있는 동그란 게 뭐냐고요? 이해하기 어렵겠지만 그건 거울이에요. 구리로 만든 거울. 옛날엔 청동으로 거울을 삼았답니다. 쉽게 녹이 스는 물건인데 옛사람들 얼마나 부지런했을까 쉬 짐작이 갑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술도가에서 많이 봤음직한 물건, 탁주말통이다. 한 말이면 20리터, 탁주 한 말 하니 옛날 생각이 난다. 20년 전, 대학 다닐 시절, 세미나한답시고 천주산 달천계곡에 놀러 갔을 때 앉은 자리에서 북면막걸리 한 말을 비웠더랬는데... 지금 그렇게 먹었다간 아마 죽지 싶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줏고리. 대충 술빚는 항아리쯤으로 알면 되겠다. 언젠가 TV에서 술빚는 모습을 비춘 적이 있었는데 어떻게 여기서 술이 만들어지는지 설명하기는 힘들다. 모르니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무함지박. 대부분 함지박은 나무나 박으로 만든다. 혹시 박을 모르는 사람이 있을 듯해 보충설명하자면, 호박 말고 초가 지붕에 영그는 박을 이름이다. 흥부가 박을 타 부자됐다는 이야기 모르는 사람 없을 테고... 그 이야기에 박이 소재로 등장한 이유는 아마도 크기 때문이 아닐까. 함지박은 크다는 데서 그 쓰임새가 있다. 여러사람이 먹을 비빔밥도 함지박으로 비벼 먹는다. 요새는 멋맛으로 식당에 함지박비빔밥이 나온다. 어떤 곳엔 사진에서처럼 제법 무거운 함지박도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패가 보인다. 위쪽에. 쥘대패와 홈대패다. 설명을 보니 목공일을 할 때 편하도록 손잡이를 만든 대패란다. 아래에 자물통이 보인다. 자물쇠가 꽂혀있다. 요즘엔 자물통을 거의 안 쓰는 것 같다. 대부분 문에 자물통 역할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열쇠가 있다. 왜 자물쇠가 열쇠로 바뀌었는지 모르겠다. 옛날엔 잠그는 것에 더 큰 의미를 두었고 요즘엔 여는 것에 더 큰 의미를 두어서인지... 자물쇠는 잠그는 것, 열쇠는 여는 것인데 어쨌든 두 물건의 용도는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곰방대. 어렸을 때 할머니께서 이 곰방대로 담배를 피우시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 아버지 담배 끊어실 때 같이 끊어 30년 넘는 세월 연기 내뿜는 일 본 적 없지만 어렸을 때 긴 곰방대로 뻐끔뻐끔 담배 연기 내뿜던 모습은 아직도 선하다. 곰방대 끝에 담배를 쑤셔넣는 모습도 기억나고 쇠로 만든 재떨이에 깡깡 떨어내는 모습도 선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물바가지는 아직도 쓰는 집이 있는 것 같다. 얼마전 TV에서 본 듯도 하다. 물론 요즘 비슷한 모양의 플라스틱 제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참 옛사람들은 힘도 세었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것은 망태다. 아이들은 망태할아버지라는 말에 더 익숙할지 모른다. 만화영화에 등장하는 망태할아버지 덕분이겠다. 어렸을 때 헛간에 걸린 망태를 보기는 많이 봤는데 이걸 짊어지고 뭘 하는 모습은 본 기억이 없다. 좀 깨끗한 망태는 없나 몰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도롱이라고 들어본 적이 있나 몰라. 무협만화에서 본 사람들은 많겠다. 무사들이 삿갓에 도롱이 걸치고 빗속을 걸어가는 모습은 아주 전형적이다. 어렸을 때 할머니께서 이 도롱이를 쓰고 논일 나가는 모습을 본 기억이 있다. 나도 장난삼아 몇 번 걸쳐본 듯 한데 구체적으로 내 모습이 기억나지는 않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에 보이는 길다란 물건, 이름이 양따비다. 생소한데, 논밭을 갈아엎는데 사용하는 물건이란다. 소가 앞에서 끌면서 뒤에서 농부가 잡고 흙을 뒤엎는데 사용하는 모습을 본 기억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무오줌통. 오줌을 받아서 밭에다 뿌리는 통이다. 우웩. 지린내가 물씬 풍긴다. 사진만 봐도... 기억이란 참 무서운 것이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것들은 어디에 쓰는 물건인고. 하나는 저울이고 하나는 가마니짜는 물건이다. 저울은 어떻게 사용하는지 모르는 사람 없을 테고, 가마니바디는 작은 구멍에 새끼줄을 넣어 가마니를 짜는 구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도리깨 모르는 사람 있을까. 농촌 출신에 40줄 넘은 사람 중에 사용하지 않은 사람 없을 듯하다. 나도 콩타작하면서 장난질하듯 많이 휘둘러 봤는데 참 재미있다. 그런데 이것 돌리는 데 기술이 필요하다. 무조건 휘두른다고 되는 게 아니다. 상모돌리듯 박자도 잘 맞아야 하고 방향도 잘 잡아야 한다. 콩알 튀는 것도 재미있지만 지푸라기 휙휙 날아다니는 모습도 정겹다. 언제 다시 도리깨질 할 수 있을까.... 아, 옛날이여.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