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립미술관 'DNA, 공존의 법칙' 전시회-야외설치미술에 대해
경남도립미술관에서 진행하고 있는 설치미술 전시회 'DNA, 공존의 법칙'은 야외에서 전시되었으면 하는 것들이 많다. 그럼에도 굳이 실내로 가지고 들어온 것은 그만한 이유가 있을 터. 여기 전시된 작품들은 모두 버려지는 나무들이 다시 작품이란 생명을 얻은 것들이었다. 그게 공존의 법칙인가?
"야외 설치미술은 미술의 상업화에 대한 반감으로 생겨난 장르이니만큼 당연히 상업행위를 목적으로 하는 갤러리와는 접근이 어려웠다. 때문에 장기적인 작품 활동을 이어가는 작가들도 그리 많지 않아 어렵게 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의 야외미술은 1990년대에 들어 공주, 수원, 대청호 등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이는 서구나 유럽과는 달리 자연환경의 보호나 상업화에 대한 반감에서 생성된 미술이라기보다 세계미술의 트렌드를 무작위로 수용하고 모방해 왔던 한국미술의 한 시대의 단면을 차지했던 현상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전시에 출품된 작품들은 제한된 공간의 갤러리나 미술간 실내 전시를 위해 기획된 작품들의 성향과는 다른 측면이 있다. 야외설치작음은 작가의 작업공간에서 완성되는 캔버스 위의 페인팅이나 조형적 형태를 구사하는 입체작품과는 다르게 오픈된 야외공간에 배치되어 규모와 공간의 한계성을 넘고, 때로는 존재하는 공간에 작품을 맞추어 완성되기도 하는 역순환의 단계를 거치기도 한다.
주어진 시간 속에서 광간과 작가의 소통을 통해 얻어진 행위와 그 흔적이 작품으로 완성된고 시간의 흐름과 보는 각도에 따라 변화되는 설치작업은 감상자로 하여금 다양한 상상을 이끌어내는 장르라고 할 수 있다. 즉, 공간과 시간과 작품이 공존하는 장르다.
작품으로서의 결과물이 시간과 함께 자연 소멸되거나 다시 해체되는 최후의 과정은 보존과 소장보다는 환원의 순리에 가까우며 작품은 사진이나 기록을 통해 보존되어 그 흔적을 남기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팸플릿)
보존과 소장보다는 사진이나 기록을 통해 보존된다는 표현이 갑자기 떠오른 예술가가 있다. 이효재. 그의 작품은 작년 경남도립미술관에 전시된 적이 있다. 그의 작품도 소재가 나무다. 그의 작품은 실내전시가 가능하기도 하지만 주로 야외 전시용 작품이 많다. 용지호수 아래쪽 입구에 그의 작품이 설치되어 있다. 지난해 정선 국제불조각축제에 전시되었던 그의 작품이 화염 속에서 사라져가는 모습을 영상으로 본 기억이 있다. 작품은 사라지지만 흔적은 두고두고 콘텐츠가되고 온오프라인 공간에 남을 것이다.
그런 생각을 하면서 도립미술관의 야외설치미술들을 감상했다.
이거 올라타고 놀아도 괜찮은 건가???
문병탁 작 회귀. 개발을 위해 잘려나간 나무와 수해 때 떠내려온 나무들을 활용해 만든 코끼리. 아이들의 놀이터다. 작가는 아이들의 마음 속에 또 다른 숲의 기억이 자리했으면 한다는 바람을 나타냈다.
부지깽이들의 강강술래. 1전시실 입구에 있는 건데 누구 작품인지 모르겠다.
최옥영 거대한 나무별 '木星'
박봉기 작. 나무구름? 작가노트엔 이렇게 적혀있다. "숲의 나무와 가공된 목재의 사이에 내 작품이 존재하고, 자연 상태의 나무의 흔적이 일부 남아있고 대부분은 제거되고 다듬어진다. 조각된 나무들이 공간에 무리지어 매달려 환경과 관람자 사이에서 서로를 일견 멈추고 돌아보게 하는 거울 같은 매개 작용을 기대한다."
문병탁 작가의 머리에 뿔 혹은 꼬리가 달린 사람 형상과 처박힌 용 형상 작품.
김근재 작품 아래로 걸어가고 있는 아주 잘 아는 사람.
'돌이끼의 문화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남연극제 출품작(8)극단 벅수골 '꽃잎' (0) | 2017.03.30 |
---|---|
경남연극제 출품작(7)극단 아시랑 '후궁 박빈' (0) | 2017.03.29 |
경남연극제 출품작(6)진해 고도 '오케이 컷!' (0) | 2017.03.27 |
경남연극제 출품작(5)거제 예도 '어쩌다 보니' (0) | 2017.03.26 |
[보go듣go즐기go]24~30일 경남 지역 공연과 전시 (0) | 2017.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