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286)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67)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4)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3-29 00:0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역사기행]선사시대 고인돌을 찾아서

함안박물관 앞 고인돌공원에서 배우는 옛사람들 죽음의 양식


‘고인돌’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뭐가 있을까? 나이 40이나 50대라면 박수동의 만화 그 고인돌? 더 연관지어서 ‘배배~ 꼬였네♬’ 하는 아이스케이크 광고? 아니면 강화고인돌축제에서 펼쳐지는 각종 공연들이 생각날까. 고인돌이 뭔지 아예 알지 못하는 초등학교 자녀들도 있을 것이다.



함안고인돌공원


역사 시간에 대충 배웠듯이 들판 가운데 혹은 낮은 언덕에 커다란 바위가 밥상처럼 묘하게 얹어져 있는 모습으로만 고인돌을 정의해버리는 사람도 있겠다. 고인돌이 원시인 족장의 무덤으로 아는 사람도 있을 테고 원시시대 제사상으로 추측하는 아이도 있을 것이다. 고인돌이 대체 뭘까. 함안에 고인돌이 뭔지 한눈에 알 수 있게끔 꾸며놓은 ‘고인돌공원’이 있다.


고인돌공원은 함안박물관 들어가는 입구에 있다. 바로 옆에 몇 년 전 함안 성산산성에서 발굴된 고려시대 연꽃의 씨앗을 재배한 ‘아라홍련 시배지’가 있기도 하다.


선돌





선돌은 거석기념물의 한 종류다. 대개 신앙의 대상물이 되고 또한 마을의 경계표시를 위한 역할도 한다. 명칭은 지역마다 다양하게 불린다. 돌꼬지라고 하는 곳도 있고 도두, 석주라고도 하고 구지바위, 돌장승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선돌의 형태는 둥근뿔 모양의 것이 많다. 비석 모양도 제법 있는 편이다. 선돌은 전국에 걸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선사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세워지는 것으로 보아 그 문화적 인식은 변하지 않은 모양이다.


선돌은 마을 입구에 세워지므로 벽사나 수구막이(마을에 나쁜 기운이 들어오거나 마을의 기운이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것) 역할을 하거나 마을의 수호신 역할을 한다. 대개 논밭이 내려다보이는 나지막한 구릉에 세워지며 풍요를 기원하는 역할도 한다.


기반식 고인돌





기반식 고인돌은 땅을 파고 판돌을 세우거나 깬돌을 쌓아올려 무덤 벽면을 만들고 그 주위에 고임돌 4~8개 정도 놓은 다음 큰 덮개돌을 덮는 형태다. 덮개가 마치 큰 바둑판처럼 생겼다 하여 기반식 고인돌이라 부른다. 우리나라에선 주로 영호남지역에 분포하여 남방식 고인돌이라고도 한다.


무덤의 형태는 일정한 형식이 없는데 덮개돌을 큰 걸 쓰기 때문에 이를 구하고 운반하기 쉬운 평지나 구릉에 주로 분포해 있다. 아주 드물게 산 정상부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고인돌 공원에 있는 이 기반식 고인돌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전남 화순의 고인돌을 모방한 것이다. 화순고인돌유적 홈페이지(http://www.dolmen.or.kr/) 참고.


동촌리 1호 고인돌





함안군 군북면 동촌리 1482번지 일대는 고인돌 군집지역이다. 그래서 이곳은 경상남도 기념물 제183호로 지정됐다. 동촌리는 분지지역이다. 여기에 있는 고인돌 24기는 동촌벌에 3~4기씩 삼삼오오 모인 채 열을 지어 분포해 있다.


동촌리 1호 고인돌은 덮개돌이 길이 256, 너비 185, 두께 110㎝ 정도다. 덮개돌 아래에는 깬돌로 조성한 무덤칸이 있었고 여기서 간돌검과 돌화살촉, 대패날도끼 등이 출토됐다. 이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의 것으로 2002년 경남발전연구원이 발굴조사하여 원형 그대로 이곳 함안박물관 고인돌 공원으로 옮겨진 것이다.


탁자식 고인돌





기반식 고인돌이 남방식이라면 탁자식 고인돌은 북방식이다. 지상에 4개의 판석형 고임돌을 세워 무덤칸을 만든 다음 그 위에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놓는다. 그 모습이 탁자처럼 생겼다 해서 탁자식 고인돌이다.


탁자식은 지역에 따라 중대형과 소형으로 나뉘어 분포되어 있다. 중대형은 주로 요동반도와 대동강 일대에 있으며 소형은 중부지방에 많이 있다. 탁자식 고인돌에 대해 종교적 제사 기념물로 보는 견해와 씨족들의 공공장소 등으로 보는 시각도 있으나 요동반도와 한반도 북부지역 여러 곳에서 사람뼈와 껴묻거리(부장품, 사람이 죽을 때 끼워서 함께 묻는 물건)가 발견된 것으로 보아 무덤으로 활용되었다고 보는 것이 지배적이다.


함안고인돌공원에 있는 이 탁자식 고인돌은 전북 고창고인돌의 유적 형태를 본떴다고 한다. 고창고인돌유적 홈페이지(http://dolmen.gochang.go.kr) 참고.


고인돌 암각화





선사시대 암각화는 동굴이나 바위 벽에만 있었던 것이 아니다. 사람이 죽고 장례를 치르고 그 무덤 위에 얹은 거대한 덮개돌에도 그림을 새겨넣었다. 물론 고인돌에 암각화를 새기는 경우는 드물다.


지난 2월 제주도 고인돌에서 청동기시대 후기 암각화가 발견되어 언론의 관심을 받은 적이 있었는데, 그것은 제주도에서 두 번째 고인돌 암각화였다는 것이다. 이처럼 고인돌 암각화는 그리 흔하지 않아 역사학계의 비상한 관심사이기도 하다.


고인돌 암각화의 내용은 대략 세 가지. 첫째, 사람의 얼굴, 또는 신체를 사실적으로 표현한 것. 둘째, 사냥하는 모습 등을 표현한 것. 셋째, 동심원, 마름모꼴과 선·무늬 등 각종 기하학적 무늬를 새긴 것을 들 수 있다. 대체로 다산을 기원하며 그렸을 것으로 보이며 청동기 시대의 신앙과 예술의 세계를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함안의 도항리 다호 고인돌 덮개돌에서는 많은 알구멍과 함께 8개의 동심원 무늬가 새겨져 있다.


칠원 오곡리 12호 고인돌





이 고인돌 유적은 칠원면 오곡리 유적에서 발굴된 것으로 그대로 옮겨와 복원한 것이다. 이 고인돌은 오곡리 일대 구릉에 있었던 것으로 청동기 시대의 것이다. 오곡리 유적지는 청동시 시대뿐만 아니라 가야시대의 무덤도 함께 발견되어 복합유적지라 할 수 있겠다.


여기서 고인돌은 총 34기가 확인됐는데 대부분 기반식과 개석식(땅속으로 무덤을 파서 안치한 후 덮개돌을 바로 덮는 형태)이 있으나 덮개돌이 잔존하는 것은 1기에 불과하다. 무덤칸은 돌덧널형, 돌널형, 토광형으로 조성되었으며, 이중 오곡리 12호 고인돌은 벽석을 강돌로 축조한 돌덧널형인데 위에 덮은 덮개돌이 2개로 구성됐다. 돌덧널은 길이 206, 너비 46㎝로 비교적 큰 편이며 간돌검 1점과 돌화살촉 2점이 출토되었다.


함안의 돌널무덤





돌널무덤이란 깬돌이나 판돌을 잇대어 널을 만들어 사용한 무덤이다. 함안에는 약 170기 정도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함안의 고인돌은 크게 도항리, 광정리, 봉성리 군을 중심으로 하는 함안·가야권, 동촌리 중심의 군북권, 오곡, 야촌, 용정리 중심의 칠원권으로 나뉜다.


함안에 가장 많은 돌널무덤은 덜덧널형이며 그다음으로 토광형, 돌널형 순이다. 봉성리 유적의 경우 40여 기가 한꺼번에 확인된 것으로 2003년 도로 확장공사 때 발굴된 것으로 함안천을 따라 줄줄이 열상배치되어 있었다.


방형구획묘





방형구획묘란 무덤칸을 중심에 두고 묘역을 사각형으로 설정한 뒤 무덤 바깥부분을 작은 돌로 쌓아 만든 무덤을 말한다. 함안고인돌공원에 있는 것은 합천 저포리 E지구 5호 구획묘를 본떠 조성한 것이다.


방형구획묘는 무덤 바깥부분 사각 공간에 깬돌과 강돌을 넣어 쌓고 작은 돌을 채워넣는 형태로 만들어졌다. 조성방식과 규모로 보아 청동기 시대 족장의 권력이 강화되면서 무덤도 대형화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방형구획묘는 김해 구산과 율하, 창원 덕천리, 마산 진동과 진북 등 많은 지역에서 발굴되었다.


원형구획묘





방형구획묘와 유사하나 무덤 주변을 사각형이 아닌 원형으로 조성한 것이 원형구획묘다. 고인돌공원의 이묘는 진주 대평 옥방 1지구 5호 구획묘를 본떠 만든 것이다. 방형구획묘와 마찬가지로 청동기 시대 족장의 강력한 권위를 표출하기 위해 만들었다.


하지만, 밀양의 활성동 유적처럼 구획묘 안에 무덤시설이 확인되지 않는 것도 있어 이것이 꼭 무덤으로서 역할을 한 것이 아니라 제사를 위한 제단시설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원형구획묘는 마산진동리, 진주가호동과 초장동, 사천 덕곡리, 산청 매촌리 등에서 확인된다.


충의공원유적 돌널무덤





이 돌널무덤은 함안 충의공원유적지에서 발굴된 것을 그대로 옮겨온 것으로 가야읍 당산마을의 구릉에 있었던 것이다. 충의공원 유적지에서는 돌널무덤이 이것 하나만 발굴이 되었는데, 대개 몇 기씩 모여 조성되는 것과 달리 따로 1기만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주목된다고 한다.


돌널의 길이는 약 1m 정도로 작고 바닥에는 판석 두 개가 깔렸다. 벽면에는 3~4매의 판석을 겹쳐서 쌓거나 1~2매 판석을 세워서 축조했다.



(그림자료)청동기 시대 고인돌 축조과정.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