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명작예술감상회]80년대 마산연극4
간혹 그런 생각을 한다. 1990년 10월부터 기자생활을 시작했으니, 그때부터 문화부 기자만 줄곧하면서 지금까지 내가 본 모든 공연의 팸플릿을 다 간직하고 있다면, 그 양이 얼마나 될까? 사실 지금도 회사 책상 집 책상 책꽂이 곳곳에 널브러진 팸플릿들. 그나마 버려지지 않은 아직까지는 이것들이 소중하다. 내 기억의 한 단편이기도 하고 언젠가 내 기억을 도와줄 훌륭한 친구이기도 하기에. 그런데 이들과 함께할 수 있는 시간은 오래지 않다. 다다음달 이사라도 가게 되면 팸플릿 뿐만 아니라 5년 전 버리고난 후에 다시 또 모이기 시작한 책들도 버림받을까 벌써 떨고 있다. 그렇게 안산다 안산다 해도 책꽂이를 더 사야할 만큼 불었다. 책이란 게 참...
삼각파도는 극단마산으로선 중요한 의미가 담긴 작품이다. 창작극이기도 하거니아 이걸로 전국연극제까지 출품했기 때문이다. 이에 얽힌 일화도 재미있다. 무대엔 뻘에 박힌 배가 한 척 등장하는데.. 이 소품을 어찌 형상화하나 고민하다가 마산 바닷가에 못쓰는 배가 한 척 있는 것을 발견하고는 이걸 그대로 무대에 올렸다는 후문. 공연중에 바닷게도 기어나오고 했다는데... 이정도면 웃지못할 에피소드다. 전국연극제 사상 이처럼 무식한 무대는 전무후무하다고.
극단 마산의 8회 정기공연 작품이 <임금알>. 일종의 선입견 같은 게 내게 있었나 보다. 창원대 극회도 이 작품을 창립 초창기에 무대화한 적이 있다. 동아리방 사진첩에 꽂혀있는 모습을 보니 무대가 썰렁하고 배우들의 포즈도 썩 매력적이지 못했다. 그래서였나 보다. 워크숍 용으로 연습삼아 공연할만한 그런 작품이라고 생각했던 게. 그래서였다. 지난 경남연극제 때 심사위원을 맡은 오태영 선생을 만났을 때 막 그렇게 신비감이 들지 않았던 것은. 그런데 오 작가와 함께 저녁을 하면서 이런저런 이야기에...참 식당 밖에서 담배를 피우면서 그의 개인사 에피소드를 많이 들었다. 작가가 되려면 이런저런 경험을 많이 해야되는구나 싶기도 하고... 제발로 빵에 들어간 이야기까지... 여하튼 <임금알>이란 작품이 어두운 시대적 환경에서 갑갑한 심정을 풀어내보고자 쓴 풍자극이라 다시금 기회를 봐서 읽어봐야겠다.
극단 마산의 제1히 청소년극장 <방황하는 별들>/ 윤대성 작 현태영 연출. 학창시절 좋아했던 작가다. 윤대성과 이근삼, 이강백. 이 세 작자 뭔가 유사성이 있는 듯하면서도 나름 색깔이 독특한... 방황하는 별들... 이 작품을 본 듯한데... 기억이 거의 안 난다.
<위기의 여자> 이 공연 봤다. 당시 창대극회 공연 <들소>를 마치고 여유가 있을 때였는 갑다. 주인공으로 등장한 김소정 현 상상창꼬 상임연출은 <들소> 끝나고 바로 극단 마산의 이 작품에 투입됐나 보다. 극단 활동에 별 관심이 없던 터라... 사실은 당시 연극을 하면서도 늘 취업시험 공부에 매달려 있었으니... 돌이켜 생각하면 당시 극단 활동에 눈을 돌렸어도 좋았겠다 싶긴 하다.
극단 창원의 2회 공연 <어떤 사람도 사라지지 않는다>. 이때 벌써 극단 창원이 생겼었군. 극단 마산서 연출로 활동하던 현태영 감독이 창원에서 극단을 만들어 활동하기 시작했던 때가 87년이었네. 한참 후인 줄 알았더니. 맞아, 이 시기 창원에 극단이 집중적으로 생겼던 것 같다. 극단 미소도 그렇고 부족도 그렇고...
1987년 경남대 21회 정기공연. <히바쿠샤>. 원폭 피해자들 이야기. 대체로 이 당시 극단이나 학생극의 소재가 사회고발성이 많은 것 같다. 객무의 문종근 감독이 연출한 작품인데 이 작품은 이후 극단 마산에서도 공연된다.
경남대 극회 정기공연인데 극단 마산 전용소극장에서 공연했었군. 이 역시 경남대 극회가 잘나간 배경이기도 하겠지.
극단 마산의 <돈내지 맙시다>. 1988년 2월 마산경찰서 맞은편 세림상가 3층에 전용소극장에서 공연.
팸플릿을 보면, 경남연극제가 당시 6회였고, 도내 9개 극단이 출품했음을 알 수 있다. 불씨촌, 부족, 벅수골, 마산, 어릿광대, 입체, 현장, 메들리, 터. 마산, 창원, 통영, 거창, 진주, 밀양의 극단들이다. 그리고 당시 경남대 완월대강당이 연극 공연장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극단 부족의 <들소>는 내가 창원대 극회 작품으로 뛰었었다. 극단에 배우로 참여해달라는 박성근 연출의 제의를 받았지만 아버지의 권유로 7급 공무원시험을 준비하고자 맘을 먹었던 터라... 이때는 1년 휴학계까지 내고 부산서 지냈기 때문에 연극판 돌아가는 상황을 전혀 알지 못했다. 팸플릿들을 보니 대충 당시의 상황이 그림그려진다.
출연진을 보니 박명숙, 최규민 두 사람만 같은 배역을 가지고 경남연극제 참여했었군. 종갑씨가 내가 맡았던 뱀눈역을 소화했구나. 언제 한 번 그 이야기를 했던 것 같기도 하구... ^^
6회 경남연극제에는 극단 창원에서 연출을 했던 현태영 감독이 극단 마산서 연출을 맡아 작품을 올렸다. <노비문서>. 윤대성 작가의 희곡. 등장인물에 아는 이가 많다. 고 김태성, 문종근, 오용규, 김종찬, 이태환, 김소정... ㅎㅎ.
천영형(천영훈) 현 극단 미소 대표는 당시 극단 어릿광대의 <망명정부주식회사>에 출연했었군. 88년, 이 해에 아마 미소가 창단했을 걸. 장은호 씨가 고수로 출연했구나.
극단 마산의 <노비문서> 24히 정기공연이다. 이 역시 윤대성 작가의 희곡. 문종근 감독, 강의 땐 사투리 때문에 무대에 별로 안 섰다더니 제법 많은 작품에 출연했구나.
경남대 23회 봄 정기공연 <아벨만의 재판> 이근삼 작.
1988년 12월인데 극단 부족이 벌써 6회 정기공연을 올렸다. 상당히 활발한 공연활동을 했다는 방증이다. 조오튼 작 이순노 연출의 <미친 사람들>. 그래 당시 창원 중앙동에 주택가 지하에 전용소극장이 있었지. 몇 번 가봤더랬다. 다시금 생각하면 당시 아버지의 권유로 공무원 시험 준비만 하지 않았더라면 극단활동을 열심히 했을 수도 있겠다 싶다. 왜냐면, 내가 안한다 안한다 해도 술로 유혹하면 바로 넘어가는 스타일이라. 첫 작품 <문밖에서>도 그랬고 두 번째 <들소> 역시 그렇게 말려들어 작품에 참여했었으니. <들소> 같은 경우 처음엔 대사가 별로 없는 붉은노을 역을 맡았다가 목소리가 안 맞다 해서 뱀눈으로 바꿨는데.. 으... 혼자 대사만 읊어도 40분짜리... 희한하게 그 긴 걸 어찌 다 외웠나 몰라.
연출은 맡은 이순노...선배는 음. 배우로도 뛰었구나. 당시 연출이 무대에 서는 경우는 거의 없었는데... 동아리 선배들인 오세갑, 김경화, 이미화 등은 스태프로 일을 맡았었군.
극단 마산의 34회 정기공연 <메야 마이다>. 진주서 활동하던 서용수 선배가 처음으로 마산서 활동하기 시작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제7회 경남연극제 대상, 연출상과 전국연극제 무대미술상을 받았다.
극단 마산 <사람의 아들> 이문열 작 현태영 연출. 이 작품은 극단 마산 전용소극장에서 봤다. 대학 시설 친구들과 신의 존재에 대해 밤새 토론하기도 했던 터라 작품을 보면서 '신과 인간'이란 화두를 들고 아주 깊숙히 빠져들었던 기억이 있다. 민요섭이 문종근, 조동팔이 김종찬, 여인에 김소정...모두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내용 중심으로만 봐서 그런가... 그런데 형사를 맡은 김태성은 인상이 강렬해서였는지 그 모습, 목소리가 기억난다.
'돌이끼의 문화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연극지에 실린 극단 객무의 '락시터' 기사... (0) | 2018.06.05 |
---|---|
[화요명작예술감상회]6월 첫강 김경옥 교수의 '버킷리스트' (0) | 2018.06.05 |
[화요명작예술감상회]80년대 마산연극3 (0) | 2018.05.30 |
[화요명작예술감상회]문종근 연출의 '3.15의거 정신의 무대화' (0) | 2018.05.29 |
어쩌다 보니 무대 오르게 됐던 예도 <어쩌다 보니> 거제 공연 (0) | 2018.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