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299)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7)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4)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11-23 00:04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 무슨 말인지 아는 사람?"
"......."

2010년 7월 10일(土). 경남 창원시 경남이주민센터 5층 강당. 창원다문화어린이도서관장 이철승 목사가 모둠별로 앉은 스무여 명의 학생들에게 뭔가를 이야기하고 있다. 이날부터 29일까지 매주 토요일마다 열리는 청소년다문화학교의 풍경이다.

"한 달동안 이 프로그램에 참여해 배우다보면 다문화 친구를 이해할 거예요. 지금 우리나라엔 수많은 사람이 들어와 있고 또 수많은 사람이 다른 나라에 가서 살고 있어요. 상품만에 세계 곳곳을 가는 것이 아니라 사람도 세계 어느 나라든 가서 직업을 선택하는 시대가 되었어요."


중학생 대여섯 명과 나머지 고등학생들로 이루어진 강의실은 조용하다. 간단한 답변을 요구하는 질문에도 조용하다. 이 관장의 설명은 계속 이어진다.

"그러기 위해서는 세계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예요. 공존의 시대에 꼭 필요한 것이 무엇이냐면 서로 다른 것을 틀리다 하지 않고 이해하는 것입니다.내가 한국에서 태어날 거다 하고 태어난 사람 있어요?"

세상 사람 누구든 자기 의지로 어느 나라에, 어느 부모에게서 태어나겠다고 골라서 태어나는 사람 없다. 그래서 모든 사람은 평등해야 한다. 피부색이 검다고 해서 천대받고 희다고 해서 대우받거나 하는 차별이 있어선 안 된다는 얘기다.


첫날 공부는 박찬욱 감독의 영화 <믿거나 말거나 찬드라의 경우>라는 영화를 보고 느낀 점을 말하는 것이다.

영화 <찬드라>는 네팔 이주노동자 찬드라가 겪은 일을 찬드라의 시각으로 다뤘다. 찬드라, 궁금해서 정보검색을 했더니, 힌두교에선 '달의 신'이란 뜻이 있단다.

찬드라가 6년 4개월 동안 경찰서와 정신병원, 부녀보호단체를 이송되어가며 매인 몸이 되어야 했던 이유는 몇천 원 하지 않는 라면 값을 지불하지 못한 것에서 비롯된다. 세상 참 아이러니다.

찬드라가 출동한 경찰에 잡혀가면서 시작된 불행한 한국생활의 핵심은 말이 안 통한다고 제맘대로 생각하고 판단하고 규정해버리는 한국사회의 외국인에 대한 몰이해다.

영화를 보면서 귀에 들어온 말만 쭉 나열해본다.

냄새, 찬드라 꾸마리 꾸루, "어쩌냐? 얘!", 정신병원, 정신박약, "시골서 온 아줌만줄 알았죠?", "늘린 게 외국인 노동자 애들인데...", 정신나간 사람이 횡설수설하는 소리, "태국사람이라고요? 필리핀 사람?", "머리 아파", "어쩌면 네팔사람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어요.", 신원불상자, 부녀보호소로..., 실종신고, "몰랐다기 보다 솔직히 까먹은 거지 뭐.", "일주일째 자기가 네팔 사람이라고 우기고 있는데...", 진단서, 정신분열증, 5년 후, "일단 말이 통해야" 인턴이 파키스탄인 소개, "네팔과 파키스탄 달라요.", "겨우 여권번호, 이름 받아적었어요.", "내 이름은 노미아입니다." "내 이름은 찬드라입니다." "네팔사람 아네요. 방에 데려다주세요." "제가 왜 한국말로 인사를 했는지 나도 잘 모르겠어요."

찬드라는 6년 4개월을 본인의 의도와는 전혀 다른 삶을 한국에서 살았다. 네팔인이라고 말을 해도 정신이상자로 취급하고 찬드라라고 이름을 이야기해도 한국 사람들은 자기들이 설정한 대로 '노미아'라고 이름을 강요한다. 말이 통하지 않는다고 무시하고 제맘대로 재단하는 한국사회를 극명하게 보여준 영화다.


김민옥 강사가 모둠별로 영화평과 느낀점을 발표하라고 마이크를 넘기자 한사람씩 일어서서 이야기를 꺼낸다. 강의실 분위기가 잠시지만 서로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논의를 했던 때문인지 한층 밝아졌다.

"영화는 별 4개. 내가 대신 말을 해주고 싶은 생각이 들었어요. 영화는 지루했지만 따뜻한 사랑이 필요하다고 느꼈어요."

"별 3개 반. 외국인 노동자들이 다시는 찬드라 같은 일을 겪지 않았으면 했어요."

"믿거나 말거나 라고 제목이 붙었는데 우린 사실이라고 믿는다에 영표입니다."

영화의 의도대로 대부분의 학생들은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따뜻한 시선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2003년 영화이니 실제 상황은 벌써 10년도 더 되었다. 오래 전의 일이다. 그러면 지금은?

얼마전 1주일 동안 생산직 현장에 취직해 일을 했던 몽골 출신인 아내의 이야기를 들으면 예나 지금이나 달라진 것은 별로 없는 듯하다. "야! 너! 이리와봐!" 예사로 말놓기, 한국말 모를 것이라고 지레짐작으로 말도 안 하고 손짓 발짓으로 의사 표현하기, "너거 나라는 이런 거 있나?"하고 나라 싸잡아 무시하기 등등.

다음 시간엔 한국에 온 이주민들이 어떻게 생활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무슨 이야기가 나올지 적잖게 기대가 된다.



관련글
찬드라 꾸마리 구릉과 쩐 타인 란
http://blog.naver.com/hyung314?Redirect=Log&logNo=70030275355

“외국인에 무관심·홀대 모든 한국인이 주인공”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28&aid=0000031227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