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285)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67)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4)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3-19 09:43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4회 코로나19 예술포럼-코로나19 이후 지역문화예술 환경과 분권

2020917일 문화체육관광부 페이스북 중계

발제-포스트코로나 시대, 지역문화재단의 방향과 과제는 무엇인가?

임학순 한국지역문화정책연구소장. 가톨릭대 미디어기술콘텐츠학과 교수

 

-코로나19 위기였어도 예술인들의 관계망이 끊어진 것은 아니다.

-온라인 활동이 많았으나 지역민들에게 소비되었는가 하는 부분에선 부정적이다.

-온라인 플랫폼은 확대되었고 가능성을 보였다.

-지역문화재단의 지원체계는 방향전환이 필요하다.

-공모지원사업의 다양한 문제점 지적. 서류 등.

-문화예술 예산 줄어들 수 있을 것이라는 인식 확대.

-제한된 여건에서 지역문화재단의 존재감이 있었다.

-바깥 전문가들이 긍정적으로 평가. 종사자는 긴급성 일시성 관점. 전문가는 지속성 변화가능성에 대한 기대.

-위기대응 체계는 공통적으로 구축되어 있지 않다는 평가. 새로운 정책을 만들어내야 하는 상황. 콘트롤타워가 없고 유연성이 부족했다.

-3,4,5년 긴 호흡으로 본다면 위기대응 체계가 필요하다.

-어떻게 지역문화재단이 달라져야 하는가? 예술인 복지 등 안정망 주요 과제로 설정. 온라인 문화 플랫폼이 개인보다는 새로운 시스템 필요. 데이터 구축 필요. 소통과 공유를 넘어선 정책 설계 단계에서 행위자들의 참가 필요. 문화행정의 유연성, 수평적 운영 필요.

 

-과제는? 코로나 이후 시대.

1. 단기 긴급대응 차원이 아니라 3~5년 대책 필요. 사업 전략뿐만 아니라 문화재단의 조직, 제도 전반에 걸친 변화 필요. 현장 즉시성 있는 시스템 필요.

2. 지역문화재단 협의체 필요. 지휘본부(콘트롤타워) 만들어야. 위기대응 매뉴얼 개발. 정보 소통과 공유 필요. 정책 역량 강화 전문가 네트워크 중요.

3. 지역예술인 데이터 정립

4. 법제도 개선 문제. 중앙정부와 지역 간 자치분권 제도 마련 필요. 조례 제정 개정 통해 위기 상황에서 지역문화재단 역할 조례에 넣는 방법 필요. 기금 조성, 활용에 관한 내용. 직원 역량 강화도.

5. 지원체계를 바꾸자. 예술활동의 다각화. 다년도 사업을 하자. 무정산 등도 고려하고.

6. 디지털 전환 필요. 온라인 플랫폼은 지역문화 다양성 반영되어야. 예술과 기술의 플랫폼 생태계 연계. 지역문화협력망 필요. 협업도 강조.

제도와 정책으로 실현되어야.

 

* 페이스북 댓글 중에 기록해둘 만한 내용.

-전통을 계승하고 보존하는 역사학적 가치를 새기는 전시, 공연, 교육의 재편이 필요하다. 우리 전통문화는 지금, 문화재 사적과 무형 문화재, 왕실 인간문화재에 대한 의식이 조금 더 고취되어야 한다.

-문화 부문 영향에 있어서 창작자뿐만 아니라 일자리(종사자 고용 안전망) 대응정책도 마련돼야.

-예술인기본소득제를 검토해야.

-문화예술교육 분야도 관심을 기울여야.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