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289)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0)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4)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4-27 00:0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1999년 5월 11일 화요일. 경남도민일보 창간호가 발행됐다. 1998년 외환 위기로 수많은 기업이 연쇄부도를 맞을 때 동성종합건설의 손에 있던 경남매일 역시 부도를 피하지 못하고 그해 10월 31일 3000호를 마지막으로 문을 닫았다. 1988년 남도일보로 시작한 10년의 수명을 다했다.


그후 6개월 여 동안 옛경남매일 구성원 중에서 언론의 독립성을 보장할 수 있는 형태의 신문 만들기에 동조한 30명이 동분서주하며 준비했던 신문이 경남도민일보다. 시작할 때 신문의 이름을 내부 공모하기도 했다. 정확히 기억나진 않지만 해오름도 있었던 것 같고.. 어디 기록이 있을 텐데... 다양한 이름이 나왔다. 그중에서 신문의 성격을 가장 잘 대변할 수 있는 이름이 '경남도민일보'라고 공감을 많이 했다. 나도 이 이름을 지지했구.


경남도민일보가 처음으로 살림을 차린 곳이 마산역 앞 당시 삼성AS 지하와 3층이었다. 지하는 경영국이었고 3층은 편집국이었다. 도시락을 싸서 옥상에서 종종 먹었더랬다. 이 건물은 지금 동도센트리움으로 바뀌었다. 맞은편 양덕성당은 예나 지금이나 그대로 있다. 양덕성당은 오랜 세월 보존되었으면 좋겠다.


내서 윤전공장에서 첫 신문이 인쇄되어 나올 때 모두 환호성을 질렀다. 아직 그 기억이 생생하다. 벌써 20년 전의 일이다. 자료정리를 하다가 우연히 창간호 파일을 봤다. 그땐 몰랐는데 이선관 시인이 축시를 썼다. 경남매일, 내가 문화부 기자일 때부터 알고는 있었지만 썩 친하게 지내거나 그러지는 않았다. 희한하게도 책사랑에서 만나거나 선생이 병원에 입원했을 때 병문안 가는 게 고작이었다. 그런 기억 때문인지 파일을 넘기다가 시인의 글에 잠시멈춤했다.


<축시> 


오늘 태어난 도민신문은 투박한 질그릇이어야 하느니

이선관


그래 그래서 다시 시작하자고

다짐한 그대들은

마치 산모의 진통을 참아내는 양

기다림에서 보람으로 마침내 태어났으니

이름은 도민일보

바다 건너에서 수입한 대리석으로 만든 화려한 그릇이 아니라

이 고장에서 나는 흙으로 빚은 투박한

질그릇이어야 하느니

지나간 날날 허무한 날날

중앙지나 지방지나

힘있는 자들 가진 자들에 대변인인 양

경제대국이니

일등국가니 일등정부니 일등국민이니

초일류신문이니 하면서 우습게도

아이엠에프를 맞이하지 않았던가

그러면서도 며칠 전에는 한사나흘

나라를 온통 흔들어 놓은 도적은

도적일 뿐

한심한 건 고백이건 자백이건

횡설수설이듯

한갓 도적을 양심선언자라고

우리를 기만하지 않았던가

각설하고

그리하여 오늘 태어나게 한 그대들은

언론의 본질은 사회의 공기며

지역언론은 그 지역의 공기이기에

도민의 슬픔과 기쁨을 그려내야 하며

공론화해야 할 사명을 잃어서는 

안되느니

정보화시대가 오는 이십일세기를

조심스럽게 맞아히면서

도민의 빠짐없는 식탁마다

이 고장 내음이 불씬 풍기는 투박한

질그릇을

놓아드리며 넉넉한 양식으로 채우리니

작은 것이 아름답다라 하는 말씀과 같이

도민과 함께 도민일보여 지속적으로

이어지게 하라

이어지게 하라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