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이끼의 작은생각

'기자를 위한 신문언어 길잡이' 페이지를 넘기며

무한자연돌이끼 2013. 6. 12. 15:34

선소리 : 블로를 만들고서 한때는 하루에도 수십번 들락거리며 괴발새발 끼적이는 것을 재미삼아 살기도 했고,

블로그 관리할 시간이 없을 땐 몇날 며칠 쓸 거리들을 모아서 한꺼번에 분출하기도 했는데,

이제는 나이 들어 그런지... 올리고 싶은 것도, 올린 것을 보고 싶은 마음도 별로 없으니....

 

이를 갱년기라 하겠다.

 

각설.

 

회사에 있는 '기자를 위한 신문언어 길잡이'란 책을 선배에게 부탁해서 회식 때 받았다. 경남도민일보 편집국장이 기자들에게 한 번씩 읽어보라고 '엄명'을 내렸기 때문이다.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건데.. 주로 맞춤법과 단어의 쓰임새에 관한 올바른 사용법을 기술해 놓았다. 국립국어원에서 발행한 유사한 책들 만큼... 여러번 우려먹는 내용도 많이 있어 식상하긴 하지만... 인내심을 품고 쭈욱... 읽어보았다.

 

의외다. 내가 아는 것과 다른 설명들이 제법 있다. 나야 내가 옳다고 고집하고 싶은데... 교열 경력 한 6년 해먹은 게 어디 명함 내놓을 데야 없지만... 어쨌든 내 무식함을 드러내놔야 조금이라도 더 배운다 싶어 읽으면서 책에 부딪힌 소견들을 까발리기로 한다.

 

 

1. 최근엔 점심시간이나 퇴근 시간 등을 이용해 간단하게 시술받을 수 있는 '쁘띠'성형에 대한 문의도 이어지고 있다. '쁘띠성형'은 '작다'라는 뜻의 프랑스어 쁘띠(petit)에서 유래된 신조어로 시술 부위가 국부적인 성형을 말한다.(20쪽)

 

--> 일단 쁘띠가 무슨 말인지 몰랐다. 그런데 영문으로 petit... 라고 쓰지만 프랑스어라면서... 프랑스 사람도 쁘띠라 안 하고 프티라 하는지 궁금하다. 파리 라고 하지만 프랑스 영화에서 보면 그쪽 배우들 발음은 '빠리'에 가깝게 들리던데... 우리의 외래어표기법에 왜 된소리를 쓰지 않는 걸 원칙으로 삼았는지... 이제 표기 원칙을 손질할 때도 되지 않았나 싶다.

 

2. 이밖에도 웨딩케이크 100만 원, 기념초 30만 원 등 양가의 혼주가 호텔에 낸 돈은 1억 원을 넘었다.(21쪽)

 

--> 외국인 열이면 열 한국어가 어려운 이유를 띄어쓰기 때문이란다. 어지간히 한국어를 익힌 한국사람도 띄어쓰기 앞에선 맥도 못 춘다. 띄어쓰기에는 원칙이 있다. 말하자면 문법을 알아야 그 원칙의 비결을 알 수 있는데... 문법만큼 어렵고 공부하기 싫은 게 없다 보니... 어쨌든 '밖에도' 할 때 밖이 '외에도'라는 단어를 넣어 말이 통하면 명사다. 그러므로 띄어쓰야 한다. 바꿔서 어색하면 조사다. 그러면 붙여 쓰야 한다. 그런데 정말 밖이란 글자는 무조건 앞말에 붙여쓰고 싶다. 모양새가 이상하니까. 언어의 경제적 효율을 위해서라도...

 

3. 시즌2가 기획된다는 것은 그만큼 시즌1에서 만들어진 기대감이 크다는 반증이다.(26쪽)

 

--> 바로잡기 말이 '증거'다. '증거'는 말맛이 줄어든다. 오히려 이런 때엔 '방증'이라는 표현이 더 적합할 것 같다. '방증'이란 사실의 직적적인 증거가 되지는 않지만 그러한 상황이 증거가 되는 것임을 말하니까...

 

4. 해학적인 춤으로 서민 애환을 달래주던 '시대의 예인'(39쪽)

 

--> 일단 '애환'이란 말이 슬픔과 기쁨이므로 뒤에 '달래다'가 따라오면 무조건 안 된다. 기쁨을 달래는 경우는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애환'이란 단어에 기쁨의 의미가 없다고 느껴지는 것은 '조상의 애환이 깃든 덕수궁 돌담길' 같은 표현이 주로 한이 깃든 분위기로 많이 쓰였기 때문이 아닐까.

 

5. 롯데가 창단 이후 첫 출전한 아시아시리즈에서 첫 승을 거뒀습니다.(47쪽)

 

--> 책이 제시한 올바른 표현은 '처음으로 출전한'이다. 뒤따라 오는 말이 동사이면 '첫'을 쓰면 안 된다. '첫'은 관형사로 쓰이기 때문에 뒤에 불완전 명사나 명사가 따라붙어서 '첫째' '첫날' '첫 출하' 등으로 활용되는 게 맞다. 그런데 이 표현, 예를 들자면 '둘째승'이나 '둘승' 등의 표현을 쓰지 않기 때문에 하나의 명사로 인정해 오만 신문에 다 쓰이는 현실을 받아들여 표준어로 삼음이 어떨까 싶다. '처갓집'도 표준어가 되는 마당에...

 

6. 뒷골목 전당포보다 못한 제도권 금융의 도덕적 해이라는 지적이다. 한마디로 '금융장막'이다.(48쪽)

 

--> '지적이다'를 '지적을 받고 있다'로 고칠 것을 안내했는데.. 이렇게 해도 이 문장은 말이 안 된다. 주어가 없기 때문이다. 이건 문장을 완전히 바꾸어야 한다. "제도권 금융의 도덕적 해이는 뒷골목의 전당포보다 못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렇게.

 

7. 다음, 모바일 카페 '르네상스'를 꿈꾸다.(57쪽)

 

--> 외래어나 외국어를 아예 쓰지 못하게 했으면 모를까. 그걸 '전성기/부흥기'로 바꿔라는 것은 솔직히 받아들이기 어렵다. 여기서 '르네상스'는 비유법으로 쓰였기 때문이다. 이런 기준이라면, '박근혜 정권, 요순시절을 꿈꾸다' 하면 '땡' 하겠네. '평화시절'을 꿈꾸다? 한국어는 말맛이 없는 기계어가 아니란 점을 국립국어원이 받아들여야 할 듯.

 

8. 빈축을 사다→'비난을 받다/비난을 사다' 등(71쪽)

 

--> 빈축이란 단어가 남에게 거슬리는 행위를 해서 돌려받는 일종의 비난인데... 한자어를 그대로 풀이하면 눈을 찡그리고 얼굴을 찌푸린다는 말이다. 그래서, 왜 굳이 비난으로 바꿔 쓰라는지 이해가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