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언론의 현재와 과거, 경남의 문화와 전설... 익숙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애착 무한자연돌이끼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289)
돌이끼의 작은생각 (110)
돌이끼의 문화읽기 (470)
다문화·건강가족 얘기 (20)
경남민속·전통 (14)
경남전설텔링 (74)
미디어 웜홀 (142)
돌이끼의 영화관람 (21)
눈에 띄는 한마디 (8)
이책 읽어보세요 (76)
여기저기 다녀보니 (92)
직사각형 속 세상 (92)
지게차 도전기 (24)
지게차 취업 후기 (13)
헤르테 몽골 (35)
돌이끼의 육아일기 (57)
몽골줌마 한국생활 (15)
국궁(활쏘기)수련기 (16)
Total
Today
Yesterday
04-24 00:04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인간은 왜 춤을 추는가?>, 대출한지 벌써 2주가 넘었건만 페이지 수로 보면 별 진척이 없다. 뭔 일들이 그리 많은 건지 읽은 것들을 정리할 여유를 찾지 못하고 있다가 이렇게 밤 늦게야 책을 다시 펼쳐 눈여겨 보았던 부분을 가려내 옮긴다.


"세계의 대부분 지역에서 그렇듯이 춤은 주술 가무적이고 귀신을 쫓는 벽사 가무적인 내용으로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 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춤들을 보면 그러한 성향이 특히 강하다. 하다못해 오광대라든지 야류 등 각종 탈춤 놀이에도 벽사의 성격이 진하게 배었으니 두말해 무엇하랴. 생각나는 대로 예를 더 들자면, 남해안 별신굿, 사천 적구놀이, 어제가 보름이었군, 지신밟기 놀이도 벽사의 성격이 강한, 제의성을 띤 놀이란 얘기다.


책에 서술된 내용 중에 먼저 처용무를 보자.




1. 한국 처용무


"처용무는 고대 제의로부터 출발했으며, 신라 말엽에는 용왕의 아들인 처용에 관한 설화를 바탕으로 한 사람이 처용 가면을 쓰고 이 춤을 추었다. 이를 시작으로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에 이르면 악귀를 물리치는 벽사의 성격으로 행해지는 궁중의 나례나 왕의 행차, 중국의 사신 접대 등에서 처용무를 추었다. 그러다가 조선 중기에는 궁 안에서 잔치를 베풀고 즐기는 연락으로 변화되었고 현재와 같이 5인이 추는 정재가 되었다."


'5인이 추는' 이란 표현이 눈에 띈다. 오광대를 이를 때 5와 동일한 의미여서 그렇다. 다섯 명의 처용이나 오광대의 오방신장은 모두 방향을 가리키는 수치다. 중앙과 동서남북. 고대 벽화에도 이런 방향의 주술성은 표현되고 있다. 가운데 황제를 중심으로 동청룡, 서백호, 남주작, 북현무. 이들은 또한 신과 소통하는 존재이기도 하다.


"현재의 처용무는 5명이 무대에 나가 한 줄로 서서 처용가를 부른 다음 노래가 끝나면 음양오행을 의미하는 동작과 대형으로 춤을 추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2. 일본 다이니치 부가쿠


일본의 예술이자 사회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의식 무용이란 설명이다. 근데 이 춤이 5세기니까 400년대부터 800년대 사이 중국과 한국에서 전해진 춤이라고 한다. 지금은 하치만타 지역의 무형문화재로 매년 1월 2일 다이니치 사당 무대에서 이 춤을 신에게 바치는 의식을 치른단다.


"일반적으로 부가쿠는 궁중 아악이자 고상한 음악으로 불리는 가가쿠의 하나로 왕족과 귀족 등 상류 사회의 지원을 받아 번성했고 평화롭고 우아한 형태로 천황이 사는 궁정에서 의식을 하거나 여흥이 있을 때 행해졌다."


그리고 이 춤은 모두 신화적 표현과 제의의 하나로 연행되었고 또한 자연물에 신이 있다고 믿는 애니미즘과 자민족의 기원을 특정 동식물과 연결시키는 토템 사상을 바탕으로 제의적이고 놀이 성격이 강한 게 특징이라고 한다. 사진을 보니 백마와 새들이 등장한다.




3. 타히티의 상어춤


남태평양 폴리네시아 섬들 중에서 가장 큰 섬. 타히티의 대표 아이콘은 '여인'이다. 타이티 신화에 남태평양 바다를 누비는 상어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 상어가 타히티의 여인을 상징한다고 한다. 우리의 관념으로는 좀 어울리지 않는 조합이다.


상어 이야기는 별 재미 없다. "아름다운 후아인 섬의 여자가 바깥 세상을 동경하여 상어가 되어 떠났다." 이게 책에서 소개한 전설이다.


폴리네시아를 대표하는 상어춤은 남자 게 '파오티' 여자 게 '타무레'인데 남자들은 무릎을 좌우로 재빠르게 흔들며 추고 여자들은 엉덩이를 재빠르게 탄력적으로 흔들며 춘다. 이들은 춤을 추면서 '이미히레'라고 노래하기도 하는데 이는 전설 속 여인 상어가 사랑한 남자의 이름이라고 한다.


춤에 일가견이라고는 전혀 없는 우리가 보기엔 하와이 훌라춤과 별반 다를 바 없어 보이는데 이게 어째서 상어춤이라는 걸까. 다행히 궁금했던 부분을 책은 설명하고 있다. 

"상어와 관련된 여인들의 춤에는 상어의 지느러미와 꼬리를 나타내는 동작이 있다. 한 팔을 옆으로길게 편 채 다른 팔의 팔꿈치를 뒤쪽 위로 밀어내는 동작은 상어의 지느러미를 상징하고 엉덩이를 양옆으로 천천히 S자 곡선으로 움직이는 동작은 상어의 꼬리 움직임을 상징한다."


음... 그렇다고 하니 그런 줄 알아야겠지. 어쨌든 이쪽 사람들은 이 춤이 인간의 몸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언어라고 한다.


4. 러시아의 춤 '봄의 제전'


러시아에선 민속춤에 따로 제목이 붙었다. 왜? 러시아 신화를 바탕으로 전해오던 것인데 작곡가 스트라빈스키가 꿈을 꾸었다면서 인류학자 로에니치에게 말해 시나리오를 만들고 이것을 또 니진스키가 러시아 원시 풍습을 토대로 안무한 것이 '봄의 제전'이기 때문이다. 신화를 바탕으로 했다지만 자의적 구성으로 작품화되었다는 점에서 토속적 경향은 상당히 빠져나갔으리라 짐작된다.


책에선 이외에도 하회별신굿탈놀이, 봉산탈춤놀이극, 아프리카 비위티라는 춤, 그리고 피그미족의 춤과 제의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 등등 여러 자료들은 다음 기회에... 


Posted by 무한자연돌이끼
, |